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정보기술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434760 
4차 산업혁명과 유전자 알고리즘
=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G.A Algorithm

                                    

  • 저자명

    유성민(SungMin Rue)                                             

  • 학술지명

    한국정보기술학회지                           

  • 권호사항

    Vol.14 No.2 [2016]                                                          

  • 발행처

    한국정보기술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i-it.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3-19(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2016년은 4차 산업혁명 도입 년 이라고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은 2016년 다보스포럼의 주제로 선정했을 만큼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기기의 지능화"로 인해 발생한 사회변...
  • 2016년은 4차 산업혁명 도입 년 이라고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은 2016년 다보스포럼의 주제로 선정했을 만큼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기기의 지능화"로 인해 발생한 사회변화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앞으로 인공지능 분야에서 큰 진보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2016년 4월에 알파고가 바둑천제 이세돌이 압도적으로 이긴 사건이 있다. 이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공지능이 크게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인공지능에서 가장 부각되고 있는 알고리즘이 있다. 바로 유전자 알고리즘이다. 유전자 알고리즘의 생물학의 진화론을 알고리즘으로 구현한 것으로, 현실세계처럼 수많은 변수들이 있는 상황에서 기계를 스스로 학습하게 해 최적화 시나리오를 찾아가게 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게 하는 알고리즘이다. 현재 유전자 알고리즘은 다양한 분야에서 크게 활용하고 있는데, 기계가 스스로 계속해서 최적의 결정을 찾아서 학습해나가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유전자 알고리즘을, 교통정보시스템, 주식시장 가격 예측, 에너지 최적화 등 인공지능이 필요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인공지능이 더욱더 부각됨에 따라, 자동차, 의료, 법률시장 등 더욱더 많은 분야에서 활용 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유전알고리즘 정의 [11]
  • Ⅲ. 유전알고리즘 사례
  • Ⅳ. 4차 산업혁명과 유전알고리즘
  • 참고문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248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2007  129
3247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3246 5 과학 기술 사회 가습기 살균제 연구의 교훈과 의생명과학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김승훈 2018  129
3245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
3244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해석을 통한 자기결정권의 재고 : 존엄사를 중심으로 / 김태일 2012  129
3243 9 보건의료 정치경제학으로 한국의 건강과 보건의료 들여다보기 / 우석균 외 2017  129
3242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 목광수 2018  129
3241 20 죽음과 죽어감 현행법상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과제 / 주호노 2018  129
3240 20 죽음과 죽어감 “내가 죽으면”: 초고령화 일본사회에서 생명정치와 죽음윤리 / 김희경 2018  129
323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2018  129
3238 10 성/젠더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연구 : 노동 및 젠더 요인을 중심으로 / 박소영 2019  129
3237 9 보건의료 환자 맞춤형 의약품 투약량 적정성 제공 시스템 / 김정훈 2019  129
3236 1 윤리학 칸트의 도덕 감정 인식과 교육 / 박장호 2019  129
3235 4 보건의료 철학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대응 양상 : Q 방법론 적용 / 최진규 2019  129
3234 9 보건의료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개인의 특성이 스마트 헬스케어 이용 경험에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가은, 박현준 2019  129
323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3232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3231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동향 / 박길하 2017  130
323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의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연숙 2000  130
3229 8 환자 의사 관계 사회행동과학연구(SBR)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의 의의 / 김진경 외 2016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