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Information systems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85193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저자명

    김찬영,이강덕,김용진                                             

  • 학술지명

    Information systems review             

  • 권호사항

    Vol.17 No.1 [2015]                                                         

  • 발행처

    한국경영정보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mis.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9-47(2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에서 ICT 조직기능 연관성(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latedness)과 조직환경이 의료진간 또는 의료진과 환자간 상호작용과 지식공유에 어떻게...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에서 ICT 조직기능 연관성(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latedness)과 조직환경이 의료진간 또는 의료진과 환자간 상호작용과 지식공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지식공유는 의료 서비스 혁신, 그리고 서비스 혁신은 서비스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화된 모델을 통해 연구하는 것이다. 자원준거관점(Resource based view), 적합구 조화이론(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그리고 서비스 혁신이론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에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ICT 조직기능 연관성, 구성원간의 상호작용과 지식공유를 설정했고, 성과요인으로는 서비스 혁신과 서비스 성과를 설정였다. 모델의 검증을 위해 병원에서 종사 하는 의료직, 기능직, 사무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모델 검증 결과, 모든 가설들은 유의미하게 성과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조화된 조직환경과 ICT 조직기능 연관성은 서비스 조직구성원 및 환자들의 행위에 영향을 주어 상호작용 및 지식공유를 촉진 하고,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의 혁신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문헌연구
    • 2.1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과 자원준거관점(Resource Based View)
    • 2.2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에서의 ICT 활용
    • 2.3 적합 구조화 이론(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 2.4 서비스 시스템 혁신(Service System Innovation)과 가치공동창출(ValueCo-Creation)
    • Ⅲ. 연구가설
    • 3.1 조직환경(Organizational Environment)과 상호작용
    • 3.2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과 상호작용, 지식공유
    • 3.3 상호작용(Interaction)과 지식공유(Knowledge Sharing)
    • 3.4 서비스 혁신(Service Innovation)과 서비스 성과(Service Performance)
    • Ⅳ. 연구방법론 및 분석
    • 4.1 자료의 수집 및 표본의 특성
    • 4.2 자료의 분석 및 측정모델의 검증
    • 4.3 모델적합성 및 가설 검증
    • 4.4 다중 집단 분석
    • Ⅴ. 결론 및 향후 과제
    • 5.1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 5.2 연구의 한계 및 제안
    • 참고문헌
    • 변수 및 설문문항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4108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학과 간 환자안전 교육 / 하성민 외 2019  75
    4107 2 생명윤리 의사윤리 개정의 필요성과 개정방향 / 유상호 2015  76
    4106 9 보건의료 고위험병원체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입법 고찰/이인영 2009  76
    4105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6
    4104 19 장기 조직 이식 기획논문 : 뇌사와 장기이식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의 이해 2000  76
    4103 2 생명윤리 독일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 개정에 대한 일고찰 / 이현아, 김명희 2017  76
    4102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2014  76
    4101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2018  76
    4100 12 낙태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낙태의 경향성과 정책적 예방전략 / 박명배 외 2017  76
    4099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4098 23 연구윤리 새로운 의료시술의 도입과 임상적용 시의 윤리적 절차 / 강명신 외 2013  76
    4097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2018  76
    4096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76
    4095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4094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2018  76
    4093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6
    4092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혜경, 김성수 2019  76
    4091 14 재생산 기술 불임관련 기술 사용시 여성이 자신의 임신, 출산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에 관한 연구 / 조영미 1994  77
    »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2015  77
    4089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미국의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규범과 의료인의 면책규정이 주는 시사점 / 이인영 2008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