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731904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 Evaluation of the Caregiving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Famili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 저자

    이정석                                       

  • 형태사항

    v,18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숙자
    참고문헌 : p.65-7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2006.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6

초록 (Abstract)

  • 최근 생산성과 효율성에 근거한 지역사회와 가정 중심의 암환자 관리 체계의 변화로 인해, 환자를 돌보는 책임이 의료진에서 가족에게 옮겨감에 따라 가정에서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역...
  • 최근 생산성과 효율성에 근거한 지역사회와 가정 중심의 암환자 관리 체계의 변화로 인해, 환자를 돌보는 책임이 의료진에서 가족에게 옮겨감에 따라 가정에서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게 되었고 부담은 커졌다. 특히 말기암환자는 질병이 악화됨에 따라 신체적․심리적 측면에서 가족의 도움을 많이 필요로 하는데, 의료와 관련된 전문적 경험이 없는 가족들은 돌봄 과정에서 자신감 저하와 대처 능력 부족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로 인해 가족의 우울이 증가되고 삶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처럼 돌봄 스트레스는 가족의 신체적 건강과 삶의 질을 위협하고 돌봄 역할을 지속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말기암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 선행 중재연구들의 경우 가족의 자가 관리와 같은 측면을 포함하지 않고 있어 가족 간호제공자 자신의 신체적,심리적 요구를 다루는데 다소 부족할 뿐 아니라 정보 제공을 통한 지식 증가에 초점을 둠으로써 스트레스 적응의 중요 매개변수인 돌봄 능숙감과 대처 능력을 강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 간호제공자의 돌봄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심리적 적응을 증진시키고자, 스트레스-대처 모델과 주요 돌봄 스트레스 문제에 대한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CSMPF)을 개발하고, 개발된 CSMPF가 돌봄 능숙감, 적극적 대처, 지각된 사회적 지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였다.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은 2005년 5월부터 10월까지 예비 프로그램 작성, 내용 타당도 검정, 최종 프로그램 개발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긍정적 돌봄 인지 평가와 대처 능력 강화를 목적으로 환자의 통증 및 증상관리, 임종간호계획과 의사소통, 사별관리-예견된 슬픔 반응, 자가 관리 등 네 가지 돌봄 스트레스 문제에 대한 교육, 상담 및 지지로 구성된 6주간의 간호중재 프로그램으로 가정방문을 통해 개별적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3개 종합병원의 종양내과 및 가정의학과에 방문하는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 주간호제공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18명, 대조군 19명을 선정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도구는 가족의 돌봄 능숙감 측정도구, 적극적 대처 측정도구, 지각된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우울 측정도구, 삶의 만족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12월부터 2006년 4월까지였고, 사전, 사후 조사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COVA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돌봄 능숙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F=4.49, p=.04). 2.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적극적 대처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t=-1.18, p=.25). 3.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t=-0.12, p=.90). 4.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 점수가 낮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t=3.46, p<.001). 5.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삶의 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t=-2.61, p=.08).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은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 간호제공자의 돌봄 능숙감 증진 및 우울 감소에 효과적인 간호중재프로그램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간호현장에서 활용한다면 말기암환자 가족 간호제공자의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적응에 매우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연구도구는 가족의 돌봄 능숙감 측정도구, 적극적 대처 측정도구, 지각된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우울 측정도구, 삶의 만족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 월부터 2006년 4월까지였고, 사전, 사후 조사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COVA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돌봄 능숙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F-4.49, p-.04).
  • 2.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적극적 대처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tp-
  • 3.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tp-
  • 4. CSMPF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 점수가 낮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t-3.46, p<.001).
  • 목 차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 목적
  • 3. 연구 가설
  • 4. 용어 정의
  • Ⅱ. 문헌고찰
  • 1. 말기암환자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
  • 2.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간호중재프로그램
  • Ⅲ. 개념적 기틀
  • Ⅳ. 연구방법
  • 1. 연구설계
  • 2. 연구대상 및 표집
  • 3.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 4. 연구도구
  • 5.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6. 자료분석방법
  • Ⅴ. 연구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
  • 3. 가설검정
  • Ⅵ. 논의
  • 1.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 2. 가설검정
  • 3. 연구의 의의
  • Ⅶ. 결론 및 제언
  • 참고 문헌
  • 부 록
  • 영문 초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28 12 낙태 손상을 가진 태아의 산전 진단과 낙태에 대한 장애학적 논의 / 이지수 2012  159
2027 12 낙태 낙태에 관한 법적 고찰 및 여대생들의 의식조사 / 이병화 2006  175
2026 12 낙태 여성운동측면으로 본 낙태 / 김상민 1999  101
2025 12 낙태 낙태의 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 심영희 1990  219
2024 12 낙태 낙태의 허용범위와 허용절차규정에 관한 연구 / 이기헌 1994  151
2023 12 낙태 낙태규제에 관한 미국 판례와 학설의 전개 / 도회근 1998  203
2022 12 낙태 낙태의 이슬람적 시각에 대한 소고 / 김효정 2013  99
2021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2016  53
2020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형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이병혜 2016  98
2019 5 과학 기술 사회 세계 빅데이터 연구의 의미연결망분석 기반 IT정책 연구 / 권신혁 2016  99
2018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네트워서비스에서의 구성원의 다양성, 연결강도, 사회적 자본이 개인의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 / 강윤정 2016  177
201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2006  420
2015 9 보건의료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 전망 / 여재천 2016  229
2014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IoT) 공통 플랫폼 구축에 따른 서비스 기반에 관한 연구 / 유홍택 2015  524
2013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2015  77
2012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7
2011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 케어산업 성장과 글로벌 보건 및 인력개발 / 최병목 2015  139
2010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제품 및 서비스의 분석 및 제안 (1) / 이장미 2015  94
2009 9 보건의료 혁신친화형 바이오헬스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언 / 배성윤 2016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