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00799 
외국의 사례에서 본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개념의 생명윤리적 기원에 관한 연구
= Studies on the Bioethical Origins of the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 from Foreign Case Studies

                                  

  • 저자명

    이준석(Lee June-Seok)                                              

  • 학술지명               

    생명윤리                           

  • 권호사항

    Vol.17 No.1 [2016]                                                         

  • 발행처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6(1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최근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및 기술혁신이론 분야에서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혹은 ‘사회에 책임지는 혁신’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주로 EU와 북미...
  • 최근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및 기술혁신이론 분야에서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혹은 ‘사회에 책임지는 혁신’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주로 EU와 북미지역에서 논의되어왔던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의 개념은, 2013년 이후 한국에서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및 한국연구재단에서 수행되는 프로젝트들의 새로운 키워드중 하나로 포함되면서 최근 한국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부상하고 있다. 본고는 이처럼 국내ㆍ외 기술혁신 및 과학정책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의 개념이 생명윤리 분야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어온 여러 전통에 기원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생명윤리 분야의 중요한 세 가지 전통을 사례연구로 분석한다. 이들은 첫째, 영국 누필드 생명윤리위원회(NCB)에서 발간한 보고서, 둘째,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에서 정의한 바른 연구 수행(GRP)의 사례, 그리고 셋째,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에서 제시하는 책임있는 연구 수행(RCR)의 전통이다. 이 사례연구들를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본고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의 생명윤리학적 연원을 고찰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글 : 과학기술학의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논의들
  • 2. 영국 누필드 생명윤리위원회(NCB)와 RRI
  • 3.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의 ‘바른 연구 수행(GRP)’과 RRI
  • 4.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책임있는 연구 수행(RCR)’과 RRI
  • 5. 나가는 글 :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 거버넌스를 위한 고찰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808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관련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 진주희 2017  157
1807 14 재생산 기술 생식내분비학 : 배란유도제의 올바른 사용과 부작용의 처치 / 김학순 2004  157
1806 9 보건의료 병원 외래고객 만족도 평가의 의료서비스 최적화 방법 적용 / 지은희 외 2017  157
» 23 연구윤리 외국의 사례에서 본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개념의 생명윤리적 기원에 관한 연구 / 이준석 2016  157
1804 1 윤리학 원불교적 관점에서 본 생명윤리쟁점 고찰 / 김은숙 2014  157
1803 9 보건의료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및 측정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장선주 외 2017  156
1802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수행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박미연 외 2018  156
180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이금주 2017  156
180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만성심장질환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황연희 2017  156
1799 14 재생산 기술 다양한 기원의 돼지 배아유래 만능성 줄기세포의 특성분석 / 김은혜 2015  156
1798 9 보건의료 의료 광고 상황에서 관계적 규범에 따른 효과적인 가격 프로모션 전략 / 김재휘 외 2015  156
179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2019  155
1796 2 생명윤리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생명 윤리 교육 / 이인재 2008  155
1795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에 관한 시민 인식 연구 /모효정 2012  155
1794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김한균 2018  155
179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인간다운 죽음은 실현될 수 있는가? /이은영 2018  155
1792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시대의 잊힐 권리에 관한 최근의 입법 동향과 법적 과제 / 김나루 2018  155
1791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와 안경원 법인화에 대한 서울지역 안경사들의 인식도 비교 조사 연구 / 강수지 외 2016  155
1790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소고 / 엄주희 2018  155
1789 15 유전학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서의 유전자 - ‘인간적 과학’을 위한 교양교육의 탐색 - / 한수영 2018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