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과학기술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67363 
의료인의 거짓 경력에 관한 의료광고에 대한 고찰
= 醫療人の虛僞の經歷に關する醫療廣告につい ての考察

                     

  • 저자명

    백경희 ( Baek Kyoung Hee )                                               

  • 학술지명

    과학기술법연구                      

  • 권호사항               

    Vol.22 No.3 [2016]                                                           

  • 발행처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3-192(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의료인의 경력을 의료소비자인 환자에게 알리는 것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현행 의료법은 의료광고를 할 수 있는 사항의 하나로 파악하고 있고, 그것이 거짓이거나 과장될 경우 의료광고로 ...
  • 의료인의 경력을 의료소비자인 환자에게 알리는 것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현행 의료법은 의료광고를 할 수 있는 사항의 하나로 파악하고 있고, 그것이 거짓이거나 과장될 경우 의료광고로 허용될 수 없다고 보고있다. 의료광고는 그동안 ‘의료`가 지니는 공공성때문에 그것이 허용되는지에 관하여 오랜 시간 논의가 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의료의 영역에서도 시장경제의 원리가 지배하고 있어 의료광고의 상업광고성을 부정할 수 없다. 또한 의료에 대한 내용을 외부에 표시하여 알리는 행위는 의료소비자인 환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고, 의료인의 표현의 자유 내지 직업의 자유의 보호영역에 해당하므로 의료광고의 상업광고성을 부정하기 어렵다. 대법원 2016. 6. 23. 선고 2014도16577 판결에서는 피고인이 적극적으로 거짓 의료경력을 작출하여 액자화하여 의료기관에 게시한 것이 거짓의료광고인지가 문제되었다. 대법원은 법문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은 `전파가능성`을 중심으로 판단하였고, 그러한 행위가 ‘전파가능성`이 없어 의료법상 의료광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의료광고도 광고의 하나라는 점을 고려할 때, 허위 의료광고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도, 광고의 본질에 따라야 한다. 따라서 이는 의료소비자인 환자 측면에서의 오인가능성과 의료시장 질서의 교란가능성을 토대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발행년 2014 

  • 조회 수 76

2 생명윤리 독일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 개정에 대한 일고찰 / 이현아, 김명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76

19 장기 조직 이식 기획논문 : 뇌사와 장기이식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의 이해

발행년 2000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발행년 2012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고위험병원체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입법 고찰/이인영

발행년 2009 

  • 조회 수 76

2 생명윤리 의사윤리 개정의 필요성과 개정방향 / 유상호

발행년 2015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학과 간 환자안전 교육 / 하성민 외

발행년 2019 

  • 조회 수 75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 - 일본의 2015년 9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손영화

발행년 2017 

  • 조회 수 7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조민석

발행년 2016 

  • 조회 수 75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 임상적용에 대한 불교적 관점 / 김민주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75

9 보건의료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김동식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75

17 신경과학 신경윤리의 성찰과 전망 / 최경석

발행년 2011 

  • 조회 수 7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 제도화’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윤리 신학적 고찰 / 이병근

발행년 2017 

  • 조회 수 75

5 과학 기술 사회 손잡고 따라가는 휴머노이드 로봇 제어기법 / 정유철, 한헌수

발행년 2009 

  • 조회 수 75

9 보건의료 의료인의 거짓 경력에 관한 의료광고에 대한 고찰 / 백경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75

5 과학 기술 사회 독점금지법상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손진화

발행년 2009 

  • 조회 수 75

18 인체실험 Oversight of Human Participants Research: Identifying Problems To Evaluate Reform Proposals

발행년 2004 

  • 조회 수 75

14 재생산 기술 코호트 완결출산율 분석 결과와 시사점 / 신윤정

발행년 2019 

  • 조회 수 74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 혁신시스템에서 규제의 역할과 새로운 방향성/ 이명화

발행년 2018 

  • 조회 수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