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397644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 기타서명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low birthrate & occupation sensitive birth assistance programs for working women

  • 저자

    이연주                                       

  • 형태사항

    79장: 삽도;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재일
    참고문헌 : 67-69장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2008. 8

  • DDC

    363.9 22

  • 발행국

    경기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8                                           

  • 초록 (Abstract)
    • 최근 40년간 우리나라의 급격한 출산율 감소는 경제성장 둔화 및 국가경쟁력의 장애요인으로 대두됨은 물론 여러 사회적 문제를 유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출산의 ...
  • 최근 40년간 우리나라의 급격한 출산율 감소는 경제성장 둔화 및 국가경쟁력의 장애요인으로 대두됨은 물론 여러 사회적 문제를 유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출산의 원인을 재분석해 보고 현재 시행 되고 있는 출산장려정책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대안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고찰해본 결과 저출산 원인의 주요 요인으로 첫째, 초혼연령의 상승과 미혼의 증가에 따른 인구학적 요인, 둘째,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과 경제활동참여 욕구의 증가, 자녀 양육부담의 증가, 가정과 직장 양립의 곤란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 셋째,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이 저출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직업4군(공무원, 일반기업체, 은행원, 자영업) 기혼여성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군별 이상 자녀수와 실제자녀수의 차이, 둘째, 직업군별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인지도, 제도이용 수, 셋째, 정책홍보 넷째, 직업군별 선호하는 출산장려정책, 정책요구가 자녀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상 자녀수와 실제 자녀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평균 이상 자녀수는 2.15명이며, 실제자녀수는 1.05명으로 1명 이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자녀수가 이상 자녀수 보다 적은 원인은 자녀양육비에 대한 부담과 일과 가정의 양립의 어려움이 자녀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산장려정책의 인지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공무원(71.07%)이 그 외 직업군(54.25%)에 비해 인지도가 상당히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자녀출산의지에는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책으로 구성되지 못한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셋째 출산장려정책의 홍보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홍보가 ‘전혀 되고 있지 않다’ 또는 ‘되고 있지 않다’가 83.8%로 나타나 정책에 대한 효율적 홍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넷째 직업군별 선호하는 출산장려정책의 우선순위와 정책요구 분석결과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정책 1위부터 3위까지는 ‘일과 가정의 양립정책’으로 조사되었으며, 4위부터 5위까지는 ‘영유아 지원정책’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직업군별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요구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저출산 문제의 원인으로 자녀양육비에 대한 부담과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출산장려정책 인지도와 제도이용 수 분석결과 인지도와 이용률이 낮은 이유는 홍보부족과 효과적인 정책의 부재에 기인한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출산장려정책으로서 직장 근무 환경 개선과 영유아양육비지원 정책을 우선 정책목표로 하고 직장과 가정을 병행 할 수 있도록 가족 친화적 직장문화를 조성하는 출산장려정책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 3
  • 제2장 저출산에 관한 이론적 고찰 = 4
  • 제1절 출산관련 이론 = 4
  • 1.인구학적 관점 = 4
  • 2.사회학적 관점 = 5
  • 3.경제학적 관점 = 6
  • 제2절 저출산의 실태 = 11
  • 1.합계출산율의 변화 = 11
  • 2.저출산의 영향 = 12
  • 제3절 저출산의 원인 = 16
  • 1.인구학적 요인 = 16
  • 2.사회 경제적 요인 = 18
  • 3.가치관의 변화 요인 = 25
  • 제4절 출산장려정책의 현황과 분석 = 27
  • 1.저출산 정책 현황 = 27
  • 2.저출산 정책의 문제점 = 30
  • 3.저출산 대책의 개선방향 = 34
  • 제3장 연구방법 및 결과분석 = 36
  • 제1절 연구방법 = 36
  • 1.연구모형 = 36
  • 2.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37
  • 3.조사도구 = 38
  • 4.연구 분석방법 = 40
  • 제2절 연구 결과분석 = 40
  • 제4장 결론 = 64
  • [ 참고문헌 ] = 67
  • (Abstract) = 70
  • 설문지 = 7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788 18 인체실험 임상 연구 심의에서의 'minimal risk' 판단 기준 / 임인애 2008  276
1787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6
1786 1 윤리학 법률행위의 일부가 강행법규를 위반한 경우의 법률관계 / 강윤희 2017  276
1785 19 장기 조직 이식 종교와 종교성이 뇌사 시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조광덕 2017  276
1784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의 정당성에 관한 형법이론적 고찰 2010  276
178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업무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도 2007  276
1782 9 보건의료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현진, 박호란 2017  276
1781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최준희 외 2017  276
1780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의 개설과 부당청구에 대한 규제에 관한 소고 / 백경희 외 2015  277
1779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 유성이 2016  277
1778 15 유전학 생화학적 검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해 뮤코다당증 제3A형으로 진단된 한국인 환자의 증례 보고 / 김보람 외 2015  277
177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사책임과 입법적 고찰 / 최은희 2006  277
1776 14 재생산 기술 배아,태아,유아에 대한 불법행위와 위자료청구권 / 최장섭 2013  277
» 13 인구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 이연주 2008  277
1774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 예방 캠페인이 자살 예방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신념모델(HBM)을 중심으로 / 이주민 2017  277
1773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지침 개발에 대한 조사연구 / 서순정 2017  277
1772 14 재생산 기술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 『네버 렛 미 고』 연구 / 손영도 2017  277
1771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헌장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연구/변순용 외 2017  277
1770 7 의료사회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윤리적 가치관 및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따른 간호사 윤리강령인식, 윤리강령 적용정도 및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차이 / 정계선 2018  277
1769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죽음과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강지혜 2019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