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685044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Empirical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the low fertility : Aronnd the whole country and 16 cities&provinces

                                        

  • 저자

    서상록                                       

  • 형태사항

    vii, 69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단면인쇄임
    지도교수: 김서훈
    참고문헌: p. 66-6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 품질정책 전공 2009.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9                                              

  • 초록 (Abstract)
    • 2005년도의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Total Fertility Rate) 유사 이래 가장 낮은 1.08명을 기록하여 미국의 인구조회국(Population Reference Bureau)에서는 초저출산 국가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세계에서도 ...
  • 2005년도의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Total Fertility Rate) 유사 이래 가장 낮은 1.08명을 기록하여 미국의 인구조회국(Population Reference Bureau)에서는 초저출산 국가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세계에서도 제일 낮은 출산수준으로 이러한 저출산 현상이 지속될 경우 인구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국가경쟁력이 약화됨은 물론 경제성장 둔화와 국가재정부담이 커져 사회혼란이 올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저출산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저출산의 원인이 무엇이고 어떻게 대처하고 준비해야 하는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저출산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인구·가치관적요인"과 "경제·사회적요인"의 두가지로 나누어 저출산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모델을 설정하였다. 각 분야에서는 정량화가 가능한 실증 자료들을 찾아내어 저출산의 설명(분석)변수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복합적으로 연계된 상호작용에 의해 합계출산율(TFR)에 영향을 미친다. 선정된 설명변수를 토대로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설명변수들로 구성된 최적의 합계출산율 회귀모형을 추정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 전국의 합계출산율(TFR) 회귀모형에서는 “경제·사회적요인”보다 “인구·가치관적요인”이 합계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16개 시·도 지역의 합계출산율 회귀모형에서도 “인구·가치관적요인”의 변수가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간에는 인구구조와 사회문화적 환경이 서로 다름으로 인해 각각의 합계출산율(TFR)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가 달랐으며 지역별로 선택된 변수가 같다고 하더라도 각각의 합계출산율(TFR)에 미치는 영향정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합계출산율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들간에 저출산 원인과 영향정도가 다름을 인식하고 각 지역에 알맞은 출산율 제고 정책을 시의적절하게 수립하여 시행함이 효율적이라 판단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3절 저출산에서 오는 현안문제 4
  • 제2장 저출산 현황 10
  • 제1절 출산력의 이해 10
  • 제2절 저출산 추이 및 특성분석 11
  • 제3장 저출산의 영향요인 18
  • 제1절 인구·가치관적요인 18
  • 제2절 경제·사회적요인 26
  • 제4장 자료분석 및 TFR 모형 추정 32
  • 제1절 가설설정 32
  • 제2절 저출산원인 분석모델 설정 33
  • 제3절 일변량 회귀분석 34
  • 제4절 다중회귀모형 분석 41
  • 제5절 TFR의 최고·최저 및 시·도 지역간 차별출산력 분석 46
  • 제5장 결과분석 및 시사점 60
  • 제1절 가설검정에 대한 결과 60
  • 제2절 저출산 영향요인에 대한 종합평가 63
  • 제3절 시사점 64
  • 참고문헌 66
  • ABSTRACT 6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8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 다층효과 연구 : 자살생각·우울을 중심으로 / 김은주 , 육성필 2017  322
1487 9 보건의료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 배현아 2009  323
1486 15 유전학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나고야 의정서의 법·정책적 대응·과제/김세규 2013  323
1485 1 윤리학 몸의 성서신학적 이해/백운철 2016  323
1484 2 생명윤리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안선민, 박경일 2016  323
1483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2013  323
148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직후부터 실시한 매일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권경혜 2013  323
1481 17 신경과학 나바에즈의 신경도덕교육 이론에 대한 평가 / 추병완 2016  323
148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의 함의 / 원동규, 이상필 2016  323
1479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법의 문제점과 실효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이인곤 2014  323
1478 9 보건의료 신설 의학교육기관 평가인증 기준 및 규정 개발 연구 / 김영창 2019  323
1477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1476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대처행동 연구 :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질의 관계중심으로 / 황영옥 2004  324
1475 1 윤리학 일본 개정 행정불복심사법에 관한 고찰 -공정성과 준사법절차를 중심으로- / 박웅광 2016  324
1474 15 유전학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정창록 2015  324
1473 13 인구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국가별 주택관련 정책 비교연구 / 이무희 2016  324
1472 18 인체실험 연재11. 인간 대상 연구에서의 윤리 / 안영미 2014  325
1471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상급종합병원 의료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비교 / 박정아, 정덕유 2013  325
1470 9 보건의료 유교의 관점에서 본 노년의 사회적 의미와 양로의 정치학적 함의 / 홍성민 2014  325
1469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설은미, 고진강 2015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