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안암 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02573 
의료인에 대한 면허자격정지처분의 요건과 절차 -부당한 경제적 이익 등의 취득금지를 중심으로-
= Requirements and Process of Medical License Suspensions for Medical Practitioners-with a focus on prohibition of gaining unreasonable economic profits-

                    

  • 저자명

    하명호 ( Myeong Ho Ha )                                                         

  • 학술지명

    안암 법학                           

  • 권호사항

    Vol.49 No.- [2016]                                                          

  • 발행처

    안암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51-79(2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의약품 리베이트 수수행위가 건강보험 재정악화의 원인 중의 하나로 지목된 이래 그에 대한 대책으로 제공자에 대한 경쟁법적, 조세법적, 형사법적, 행정적 수단들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위...
  • 의약품 리베이트 수수행위가 건강보험 재정악화의 원인 중의 하나로 지목된 이래 그에 대한 대책으로 제공자에 대한 경쟁법적, 조세법적, 형사법적, 행정적 수단들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수단들의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자 수수자인 의료인도 처벌하거나 면허를 정지하는 제재를 가하는 제도(이른바 리베이트 쌍벌제)를 도입하기에 이른다. 따라서 그 입법목적은 어느 정도 수긍할 수 있다. 그러나 의료인과 같은 전문직종의 자격에 대한 제재는 전문가 집단 내에서의 권위와 사회적 명성이 추락하는 불이익이 뒤따른다는 점에서 법에서 예정한 불이익을 초월하는 치명적인 사실상의 불이익이 있다. 따라서 의료인에 대한 면허자격정지처분과 같은 제재를 가하기 위해서는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실체법적으로 리베이트 쌍벌제를 규정한 의료법 관계법령이 위헌이라고까지 할 수는 없을 것이고 실제로도 헌법재판소는 위헌이 아니라고 선언한 적이 있다. 그렇지만 적어도 그 요건을 엄격하게 해석·적용하여야 할 것이고 지나친 확장해석이나 유추는 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절차법적으로 제재의 실효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의료인들이 스스로 면허의 박탈이나 자격정지와 같은 제재를 행할 수 있는 자율규제시스템을 법적으로 확보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적어도 면허자격정지처분을 행하는데 실질적인 의견청취절차인 청문이 보장되도록 의료법이 개정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의료인이 징계에 관한 청문절차에 참여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하고 규제의 실효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1728 15 유전학 경북 동부지역 꿀벌에서 주요 병원체의 분자생물학적 검출 / 우인옥 외 2013  151
1727 15 유전학 비교유전자교잡법을 이용한 대장암환자에서의 유전자변화 / 이재식 2015  151
1726 2 생명윤리 출산전진단에 나타나는 우생사상과 공리주의에 대한 인격주의생명윤리적 고찰 /최정임 2014  151
1725 22 동물복지 동물실험시설의 최근 규제동향/김광진 2014  151
172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황과 발전방향 : 국내 간이식을 중심으로 / 이승규 1996  151
1723 15 유전학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손민 2015  151
1722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임종기치료 선호도 영향요인 – 죽음준비도, 죽음불안을 중심으로 / 김애리 2019  150
172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이야기』의 현재성: 희망 없는 시대의 정치학 / 강의혁 2018  150
1720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에서 민법상 의료계약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민국현 2018  150
1719 12 낙태 낙태죄에 관한 재론-실정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임종희 2018  150
1718 1 윤리학 인간생명존중 윤리의식의 제고 / 김상배 2018  150
1717 9 보건의료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창의적 움직임 콘텐츠 개발과 U-헬스케어 모델 연구 2017  150
1716 9 보건의료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양지영 2016  150
1715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접근 / 이동국 2013  150
1714 9 보건의료 의료용 인공지능의 허가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고찰 : 미국·유럽·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오지현 2017  150
» 7 의료사회학 의료인에 대한 면허자격정지처분의 요건과 절차 -부당한 경제적 이익 등의 취득금지를 중심으로 / 하명호 2016  150
1712 9 보건의료 생체신호 기반 바이오인식 시스템 기술 동향 / 최규호 2017  150
1711 9 보건의료 인터넷상의 치과 및 의과 과대광고 사례 분석 : 의료광고 심의제도를 기반으로 / 김종훈 2015  150
171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 조규범 2010  150
1709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결에 이용되는 동결방지제에 대한 연구 / 정주원 외 2013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