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57848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 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via altered promoter methylation using CRISPR/Cas9-mediated epigenetic editing system

                                        

  • 저자

    박진석                                       

  • 형태사항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용삼

  • 학위논문사항

    Thesis(M.A.)--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생체분자과학전공(Biomolecular Science) 2017. 2

  • 발행국

    대한민국

  • 언어

    영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최근 후성유전학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에도 불구하고 후성유전인자조절 방법의 제한과 위치 비특이적인 한계점으로 인해 후성유전학 연구는 제약적일 수밖에 없었다. 지금까지, DNA 메틸...
  • 최근 후성유전학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에도 불구하고 후성유전인자조절 방법의 제한과 위치 비특이적인 한계점으로 인해 후성유전학 연구는 제약적일 수밖에 없었다. 지금까지, DNA 메틸화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약물 처리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지만 이러한 방법은 표적 유전자에 특이적이지 못하고 전체 유전자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CRISPR/Cas9과 같은 유전자 교정 기술의 발달로 인해 특정 부분의 후성유전인자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우리는 CRISPR/Cas9을 이용해 CpG dinucleotide에 존재하는 메틸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유전자 발현 유도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프로모터 부위의 과메틸화에 의해 전사가 억제되어 있다고 알려진 Oct4 유전자를 대상으로 CRISPR/Cas9 유전자 교정 도구를 이용한 두 가지 방법을 구축하여 해당 부위의 선택적인 탈메틸화 유도 및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였다. 먼저, CRISPR/Cas9 knock-in 교정 기술을 이용하여 Oct4 프로모터와 proximal enhancer에 위치하는 CpG 염기서열을 메틸화가 불가능한 염기서열 조합으로 변형시킨 교정 세포를 구축하였다. 두 번째로, 염기서열의 변형 없이 DNA 메틸화만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우리는 Oct4 프로모터를 표적하는 가이드 RNA와 불 활성화된 dCas9, 그리고 탈메틸화 효소인 Tet1의 활성부위가 결합된 dCas9-Tet1 시스템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우리는 Oct4 프로모터의 위치특이적인 탈메틸화를 유도하였고 유전자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DNA 메틸화와 동반된 히스톤 수식화 조절이 Oct4 유전자 발현에 시너지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Oct4 유전자는 DNA 메틸화뿐만 아니라 염색질 개조와 같은 후성유전학적인 요인들에 의해 그 발현이 엄격히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우리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한 표적 유전자의 후성유전학 적 조절법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후성유전학 연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유전자 치료 분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Ⅱ. Material and Method
  • 1. Cloning
  • 2. Culturing and transfection of NIH3T3 ·
  • 3. Analysis of DNA methylation
  • 4. Confirmation of indel mutation and knock-in assay
  • 5. RNA extraction and quantitative real-time PCR
  • 6. Western blotting
  • Ⅲ. Results
  • 1. Concept of selective demethylation using CRISPR/Cas9 knock-in system
  • 2. Confirmation of increased Oct4 expression in engineered cell lines
  • 3. Demethylation effects of dCas9-Tet1 modules targeting Oct4 promoter region
  • 4. Synergetic effects of histone modifications and DNA methylation on Oct4 expression
  • Ⅳ. Discussion
  • Ⅴ. Conclusion
  • VI.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98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 박지영 2007  546
3987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성중탁 2018  544
3986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임신이 이식신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 / 김민수 2014  544
3985 15 유전학 노로바이러스 전장유전체 분석 및 식중독 바이러스 동시 검출법 개발 / 이정수 2016  544
3984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2015  544
398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정하윤 2004  544
398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4
3981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42
3980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적 의사결정과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환자, 가족, 간호사와 의사의 인지도 / 박애란, 소향숙, 채명정 2014  542
3979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심장이식 수술 후 발생하는 동종 이식 관상동맥 질환의 특성분석 비교 / 박경민 2005  541
397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양진희 2016  541
3977 12 낙태 낙태에 대한 옹호와 비판 / 박승배 2013  540
3976 15 유전학 미생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약제내성 기작 연구를 위한 유전정보의 활용 / 차선호 2010  540
3975 1 윤리학 비췀과 췰드리스의 생명의료윤리학 논의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목광수 2014  540
3974 20 죽음과 죽어감 회생불가능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강혜경 2016  539
3973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538
3972 12 낙태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 / 김도경 외 2013  538
3971 9 보건의료 한방의료서비스의 건강보험수가 산출방법과 추정 / 김진현 2008  537
3970 16 환경 환경문제에 대한 공학윤리적 관점/김은철 2009  536
3969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 이영옥 2012  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