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刑事政策(Korean Journal of Criminolog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05680 
의료인의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와 규제완화 - 대법원 2016.7.21. 선고, 2013도85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Medical practice other than those licensed” by medical personnel and tendency of deregulation - focused on the Supreme Court, 2013do850 -

                     

  • 저자명

    정도희 ( Jeong Dohee )                                             

  • 학술지명

    刑事政策(Korean Journal of Criminology)                           

  • 권호사항

    Vol.29 No.1 [2017]                                                          

  • 발행처

    한국형사정책학회(Korean Association of Criminology)                                   

  • 발행처 URL

    http://www.kcriminology.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1-144(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Current Medical Service Act regulates that medical person refers to a medical doctor, a dentist, an oriental medical doctor, a midwife or a nurse, “who holds a license granted by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Art.2(1)), and regulates that by ty...
  • Current Medical Service Act regulates that medical person refers to a medical doctor, a dentist, an oriental medical doctor, a midwife or a nurse, “who holds a license granted by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Art.2(1)), and regulates that by type, a medical person has the mission to seek the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and contribute to help citizens enjoy healthy lives by performing his/her mission(Art.2(2)). And the Act prohibits against unlicensed medical practices(Art.27(1)). It provides that “Non-medical personnel are prohibited from performing medical practices, and even medical personnel shall not perform any medical practice other than those licensed.” Unlicensed medical practices have been prohibited uniformly by this provision. But recent case showed new tendency to relieve deregulation on some occasions. The court ruling related to unlicensed medical practice has shown deregulation of medical practice other than those licensed. The Supreme Court, 2013do850 has dealt with the medical practice over the scope of the his/her license by dentist. It is the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that “the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law to fit situations of ages” is necessary. In this article, I suggest that modification of medical personnel, medical license, and medical practic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548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과 호스피스 정책; 생활행정학의 관점/조무성 2015  231
254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과정과 문제점 검토 / 이한주 2019  230
2546 1 윤리학 인공지능과 법률 서비스:현황과 과제 / 전정현, 김병필 2019  230
2545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소비선택에서 개인 의사결정의 인지적 과정 탐구 : BRCA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의 사례 / 주정민 2018  230
254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명희 2008  230
2543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병화 2016  230
2542 14 재생산 기술 출산테크놀로지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조영미 1994  230
2541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계 종사자들의 ‘웰다잉’에 대한 태도 / 이종식 2016  230
2540 22 동물복지 [여성의 눈으로 세상 읽기] 동물실험, 동물학대/백일주 2015  230
2539 1 윤리학 보건의료기본법의 윤리적 평가 / 유호종, 손명세 2002  230
2538 1 윤리학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보편선언'의 권고사항과 국내 실천을 위한 제언 / 이인영 2006  230
2537 18 인체실험 한국과 일본의 임상시험 현황과 임상연구자 인식의 비교 연구 / 홍정화 2009  230
2536 14 재생산 기술 중국에서의 대리모 법적 제문제에 관한 소고 / 이화 2011  230
2535 10 성/젠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 주유신 2019  229
2534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 있어 의료사고에의 대응과 시사점 - 의료사고조사제도와 무과실보상제도를 중심으로 - / 홍태석 외 2018  229
2533 20 죽음과 죽어감 <‘김 할머니’사건> 전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및 의료비의 변화 / 김현지 2018  229
2532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 사회에서 중환자의 사전돌봄계획의 현황과 연명의료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소영 2018  229
» 7 의료사회학 의료인의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와 규제완화 - 대법원 2016.7.21. 선고, 2013도85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정도희 2017  229
253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존엄사, 연명의료 중단, 그리고 장애인 / 조한진 2016  229
252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있어 피험자 동의와 윤리적인 문제 / 문한림 1995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