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열린유아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05113 
신문사설의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the solutions to the low birth rate in newspaper editorials

                                 

  • 저자명

    이지영 ( Lee Ji Young )                                              

  •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 권호사항

    Vol.22 No.2 [2017]                                                            

  •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발행처 URL

    http://www.open33.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35-158(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신문사설에서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의 표상, 생산 및 소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공고화를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담론의 내용은 저출산 인식과 원�...
  • 본 연구는 신문사설에서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의 표상, 생산 및 소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공고화를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담론의 내용은 저출산 인식과 원인, 그 영향 및 결과, 해결방안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저출산 현상의 부정적 수식어와 비유 사용은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있었다. 담론 생산 및 소비 분석결과, 사설로서의 담론질서를 갖고 있었고, 유아교육 공교육화와 무상보육지원 관련 담론에서 신문사의 전통적인 담론 성향이 나타났다. 담론의 사회·문화적 맥락분석 결과, 담론은 시장경제중심의 자본주의, 관련 정책 수립과 실행, 선거공약과 실행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는 저출산 해결 목적이 삶의 질 향상, 인간행복의 가치보다 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동력 확보라는 경제학적 가치가 우위에 있음을 나타낸다. 선행 국가들의 저출산 극복정책 경향이 `유아교육의 질적 강화`임을 볼 때, 근본적으로 경제적 가치보다는 교육·복지적 가치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대중의 인식과 정책에 영향을 끼치는 담론은 이를 반영해야 한다. 담론은 주기적 관련 정책 발표나 선거전후의 일시적 주목보다 저출산 해결방안의 지속적인 관심과 비판이 담긴 담론이 되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48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1947 2 생명윤리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추병완 2015  253
1946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간이식의 적응증 / 김용주 2001  253
1945 8 환자 의사 관계 미검증 의료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정책학적 연구 / 채규현 2015  253
194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평가 중에 발생한 심장사 후 장기기증에 의한 신장이식: 단일기관 장기추적 결과 / 허나윤 외 2015  253
1943 18 인체실험 충북대학교의 IRB 운영체제와 연구자 이용실태 및 제언 / 박상희 2016  253
1942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환경윤리의 비교 연구 / 김일방 2016  253
1941 9 보건의료 암 환자의 재활치료 활성화를 위한 수가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김준성 2017  253
1940 1 윤리학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과 도덕교육적 의미 / 김동창 2017  253
193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 선종수 2017  253
1938 1 윤리학 과 비판적 사고 / 김세화 2005  254
1937 15 유전학 한국 바이오뱅크 정보화사업의 평가모형 개발 및 중요도 분석 / 주병철, 김대성, 주민석 2013  254
1936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2013  254
1935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4
1934 12 낙태 여성주의 안에 나타나는 딜레마에 대한 이해 시도 / 최형미 2014  254
193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장기와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김주영 2003  254
1932 9 보건의료 군 보건의료의 문제점과 법률적 개선방안 / 우정민 2018  254
19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측 사전의료지시서의 법적 효력 / 고명환 2011  255
1930 2 생명윤리 사회행동과학연구의 특성에 따른 심의 / 김시형 2016  255
1929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 난관과 반대편 간질 부위에 동시에 생긴 복합성 자궁외 임신 1예 / 오예은 2009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