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845637 
의약품 임상시험에 있어서 노인 피험자 현황

                       

  • 저자

    박소윤                                       

  • 형태사항

    vii, 49 p.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병구
    참고문헌: p. 40-4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약학전공 2012. 8. 졸업

  • DDC

    600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2                                                                                                                                                                              

  • 초록 (Abstract)
    • 현대 사회는 점점 노령화되어 가고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체내 장기의 기능은 저하되고 이로 인해 65세 이상 노인의 약물에 대한 반응은 젊은 사람과는 다르다는 결론이 여러 연구결과...
  • 현대 사회는 점점 노령화되어 가고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체내 장기의 기능은 저하되고 이로 인해 65세 이상 노인의 약물에 대한 반응은 젊은 사람과는 다르다는 결론이 여러 연구결과를 통해 얻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로부터 진행되어 온 수많은 의약품 임상시험에서 노인을 제외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신약의 개발과 평가에 있어서 노인들만의 특이한 생물학적, 의학적 조건을 고려하려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약품 임상시험에 노인이 소외되고 있는 것에 대한 대처방안 및 개선 노력에 대해 조사해 보고자 의약품 임상시험에 있어서 노인과 관련된 외국과 우리나라의 규정 및 정책에 대해 인터넷 홈페이지 검색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3차 의료기관 한 곳에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간 IRB승인을 받아 진행되어 투여 종료된 또는 진행중인 의약품 임상시험 중 노인병을 대상질환으로 한 임상시험에 대해 각 임상에 등록된 피험자의 나이를 조사하여 임상시험에서 실제적인 노인의 피험자 등록 현황을 파악해 보았다. 더불어 노인 피험자와 노인 피험자가 등록된 각 임상시험의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ICH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의 지침으로서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ICH E7을 확정하였고, 미국 FDA의 경우 Guideline for the study of drugs likely to be used in the elderly와 Guideline for geriatric labeling를 통해 임상시험 피험자로서 더 많은 노인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높여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유럽 EMEA는 Adequacy of guidance on the elderly regarding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를 발표하여 의약품 임상시험에 노인 환자의 참여를 늘리려면 해당약제의 적응증에 관한 효율성과 안전성의 데이터베이스를 균형있게 구비해야 한다고 권고하며 Geriatric Expert Group(GEG)라는 전문가 모임을 설립하여 노인과 관련된 사안에 대해 수준 높은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노인을 의약품 임상시험에 폭넓게 참여시키고 노인과 관련된 의약품 임상시험에서의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려는 노력을 보이는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당뇨병 치료제에 대한 임상시험평가지침 등 질환별 가이드라인 몇 가지에서만 노인 부분을 따로 다루고 있는 것이 전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간 국내 3차 의료기관 한 곳에서 IRB승인을 받아 진행되고 종료된 또는 진행중인 노인병을 대상질환으로 한 의약품 임상시험은 총 123건이었고, 등록된 총 피험자 수는 1,213명이었으며 그 중 65세 이상 노인 피험자는 403명(33.22%)였다. 65세 이상 피험자군과 65세 미만 피험자군으로 나누어 두 그룹의 일반적인 특징을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위약 대조(p=0.025), 연구자 주도(p=0.021) 임상시험일 경우 노인 피험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았다. 65세 이상 피험자군과 65세 이상 피험자군이 등록된 임상시험의 특성과의 상호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약대조(p<.001), 연구자 주도(p=0.036), 허가용(p=0.005), 3상(p=0.013) 임상시험일수록 노인 피험자가 속하게 될 경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피험자 중 노인 피험자의 비율은 33.22%로 우리나라 전체의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2011년 기준 11.3%을 넘어선 것과 비교하여 3배 더 큰 수치로 나타났다. 임상시험에 등록된 노인 피험자와 관련된 외국의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본 연구는 위약대조 임상시험, 허가용 임상시험, 3상 임상시험일수록 노인 피험자가 속하게 될 경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고 있는 현 실정을 보다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연구 목적 4
  • Ⅲ. 연구 방법 5
  • A. 의약품 임상시험에 있어서 노인과 관련된 규정 및 정책 조사 5
  • B. 국내 3차 의료기관 한 곳에서 진행한 임상시험 현황조사 7
  • Ⅳ. 연구 결과 9
  • A. 의약품 임상시험에 있어서 노인과 관련된 규정 및 정책 분석 9
  • B. 국내 3차 의료기관 한 곳에서 진행한 임상시험 현황분석 17
  • Ⅴ. 고찰 32
  • VI. 결론 38
  • 참고 문헌 40
  • ABSTRACT 4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806
46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202
4666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88
4665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3
466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108
466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78
466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825
46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702
466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541
4659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209
4658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73
4657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7
4656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73
4655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26
46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501
46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62
4652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942
4651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770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37
4649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