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04358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저자

    양영환                                       

  • 형태사항

    vi, 77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일학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의료법윤리학전공 2016.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초록 (Abstract)
    • 임상시험 수행에 있어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요소로서 대상자 모집은 임상시험에 있어 핵심 이해관계자로서 연구자와 대상자의 관점 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의뢰...
  • 임상시험 수행에 있어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요소로서 대상자 모집은 임상시험에 있어 핵심 이해관계자로서 연구자와 대상자의 관점 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의뢰자의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는 대상자 모집 방식을 의뢰자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대상자 모집과 관련된 각국의 주요 사업 및 정책 등을 살펴보고 설문을 통해 대상자 모집의 방식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대상자 모집 관련된 주요국 및 국내의 사업 및 정책을 비교하기 위한 문헌고찰과 대상자 모집 방식 파악 및 대안 모색을 위한 설문조사로 구성하였다. 문헌고찰은 먼저 국내·외 임상시험 실시경향을 분석하고 대상자 모집 관련 국내외 정책을 비교하고자 하였고 설문조사는 일반정보, 대상자 모집 관련, 임상시험 전반으로 분류하여 진행하였다. 환자 중심적 접근의 CNRCC, 임상시험 전단계에 걸친 대상자 참여를 강조하는 CTTI 등 세계 주요 선진국에서는 이미 대상자 모집 과정 개선을 위한 여러 제도 및 공약을 내세우고 있으며 최근 미국에서는 임상시험의 현대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기도 하였다.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대상자 모집 개선 또는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에서 5년간 승인된 임상시험 계획 중 이미 종료된 임상시험(1상)을 대상으로 5건 이상 종료경험이 있는 제약사 및 CRO 기업(34개)를 대상으진행된 설문조사에서 총17개사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전체 응답기업 중 35.3%가 대상자 모집 실패 및 지연으로 인해 조기종료를 경험하였고 계획된 일정대로 임상시험이 진행되지 않은 경우가 41.2%로 연구자의 자원 미확보 및 의지, 노력의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보고 있었다. 국내외 제약사의 경우 대상자 모집 증진을 담당하는 부서는 전혀 없었고 모집 전략을 보유한 기업은 약 60%에 달하였다. 국내 임상시험 관련 규정에 의해 대상자 모집 (광고 등)은 시험책임자에게 모든 권한이 주어져 있다는 점에서 병원 또는 연구자를 활용한 방법이 대부분(8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지역사회 또는 환자단체와의 네트워크 활용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여 실제 모집 방법의 이용 빈도와 그 효과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28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 난관과 반대편 간질 부위에 동시에 생긴 복합성 자궁외 임신 1예 / 오예은 2009  255
»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5
1926 1 윤리학 과학기술에 관한 윤리적 규범 모색을 위한 철학적 사회학적 신학적 관점에서의 융합적 연구 / 이창호 2018  255
192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과 관련하여 / 손수지 2012  256
192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2015  256
1923 22 동물복지 ‘바이오레인(BIOREIN)’ - 실험동물자원 개발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구상 / 황수진 2015  256
1922 18 인체실험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의 국내외 연구동향 고찰 / 임제연 2010  256
1921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보건·생명과학 연구 제도 혁신의 산물 / 성경모 2015  256
1920 9 보건의료 사회경제적 특성 및 유병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 / 이고은 외 2018  256
1919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6
191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의 지연사유와 그 개선방안 : 서울지방법원 의료전담부 판례 중심 / 신헌준 2004  257
1917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과 공학윤리/김유신, 성경수 2004  257
1916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상 발생 가능한 분쟁의 해결 및 대응방안 - WTO 분쟁해결절차에 제소 가능한 분쟁을 중심으로 -/손지영 2014  257
1915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지용수 2016  257
1914 9 보건의료 생활화학물질 노출에 따른 국민건강 문제에 대한 보건학적 고찰 2017  257
191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 2015년 한국복지패널조사를 이용하여 / 김지혜 외 2018  257
1912 20 죽음과 죽어감 소아완화의료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종사자의 인식 / 문이지 외 2019  257
1911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 보험약가결정: 문제점과 시사점 / 권혜영 2010  258
1910 17 신경과학 광유전자를 이용한 새로운 파킨슨병 동물모델의 개발 / 박은석 2017  258
1909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신장이식에서 이식 직전 뇌사자의 신기능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 최승혁 2017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