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258235 
줄기세포연구와 배아보호
= The Stem cell research and protection of human embryo

                                   

  • 저자명

    김혁돈(Kim Hyeok Don)                                                

  • 학술지명

    법학논고                            

  • 권호사항

    Vol.32 No.- [2010]                                                           

  • 발행처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29-356(2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 KDC

    360.5

  •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 KCI 피인용횟수

    11

  • 초록 (Abstract)
    • 의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생명연장의 꿈을 실현하고 있고, 그 영역은 이제 생명체를 복제해 내는 데까지 이르렀다. 생명체복제에 관한 연구는 인간의 장기재생에 있어서도 눈부신 발전을 가...
  • 의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생명연장의 꿈을 실현하고 있고, 그 영역은 이제 생명체를 복제해 내는 데까지 이르렀다. 생명체복제에 관한 연구는 인간의 장기재생에 있어서도 눈부신 발전을 가져왔다. 바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이다. 줄기세포를 획득하는 방법은 크게 배아로부터 얻거나(배아줄기세포) 이미 사람으로 탄생한 후의 세포로부터 얻는 것(성체줄기세포)이 있다.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에 있어서 발생되는 윤리적?규범적 문제가 적다고 할 수 있으나 배아줄기 세포를 이용한 치료에 있어서는 그 배아를 훼손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한 생명을 살리기 위하여 다른 한 생명을 희생하여야 한다는 윤리적 문제가 따른다.
    배아에 대하여 현행법 상으로는 법적 지위가 보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배아를 이용한 연구를 허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판단하기 위해서는 배아가 지니는 윤리적 의미를 고찰하여야만 한다. 배아에 대하여 인간생명과 같이 존엄성을 인정하자는 견해도 있고, 단지 세포덩어리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연구에 어떠한 장애도 될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또한 발생학적인 단계에 따라 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정하여야 한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그러나 배아가 지니는 생명의 연속성, 잠재성 등을 고려한다면 배아의 생명이 인간의 생명보다 경시되어야 한다는 어떠한 근거도 찾을 수 없다. 또한 배아의 생명권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절차적 정의의 관점에서 그것이 확인될 때까지 배아에 대하여 생명권을 침해할 수 있는 방법은 유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비교법적인 고찰에서도 일부의 나라와 주에서만 배아에 대한 연구를 허용할 뿐 대부분의 법계에서는 배아연구에 대하여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 생명윤리법도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아연구를 주장하는 근거로 사용되는 잉여배아가 발생하지 않는 방법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줄기세포연구의 내용
  • Ⅲ. 배아의 지위
  • Ⅳ. 배아연구에 대한 각국의 태도
  • Ⅴ. 생명윤리법의 현황과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32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의 법적 취급 :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의 법적 인식과 책임을 중심으로/이중기 2016  208
2327 9 보건의료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디자인 :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 이은혜 2014  208
2326 1 윤리학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신유리, 김정석 2015  208
2325 15 유전학 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제 개발 / 김기남 2008  208
2324 15 유전학 유전자 패널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분자 유전학적 원인 규명 / 홍현대 2016  208
2323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규제에 관한 연구 : 매체별 의료광고를 중심으로 / 원선애 2003  208
2322 1 윤리학 긍정심리학과 덕윤리 / 이진남 2016  208
2321 19 장기 조직 이식 바이오뱅크 기증자의 포괄적 동의와 역동적 동의 / 유호정 2016  208
2320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2319 5 과학 기술 사회 감각과 인식의 욕망기관으로서의 인조인간 형상 연구/신성환 2011  208
2318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의료인의 형사책임 / 송근화 2011  208
2317 9 보건의료 지속 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미래 전략: - 질병관리에서 건강관리로의 패러다임 전환 - / 어호용 2018  207
2316 10 성/젠더 여성주의 윤리학적 시각에서 본 싱글 여성의 생식권 문제 / 닝멍 2019  207
2315 17 신경과학 정신장애범죄인과 사법적 처우 / 최민영 2018  207
2314 9 보건의료 스웨덴의 민영화와 보건의료법의 성격 / 홍세영 2017  207
2313 5 과학 기술 사회 영유아 대상으로 한 IoT 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분석 연구 / 신은주 외 2018  207
2312 1 윤리학 한스 요나스의 생태학적 책임윤리 연구 : 전통 윤리학과 유토피아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 김항철 2017  207
231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인간중심주의 /이봉재 2005  207
2310 14 재생산 기술 우리는 비배우자 인공수정과 대리모출산에 대해 어떠한 결단을 내리 수 있는가 / 문윤정 1994  207
230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 함혜영 2013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