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硏究(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759920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Life and the Problems of allowing Death in Medical Ethics Perspective

                                     

  • 저자명

    이재성(Yi, Sae-seong)                                               

  • 학술지명

    哲學硏究(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권호사항

    Vol.120 No.- [2011]                                                        

  • 발행처

    대한철학회                                    

  • 발행처 URL

    http://www.sophia.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61-279(19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1년

  • KDC

    151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0                                                                                   

  • 초록 (Abstract)
    •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뇌사의 당위성 주장의 배후에는 다분히 '공리주의적'인 목적이 함축되어 있다. 이러한 공리주의적 목적에는 한편으로 뇌사를 인정함으로써 의학발달이 ...
  •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뇌사의 당위성 주장의 배후에는 다분히 '공리주의적'인 목적이 함축되어 있다. 이러한 공리주의적 목적에는 한편으로 뇌사를 인정함으로써 의학발달이 가져온 생명연장 수단의 사용을 통해 초래되는 가족들의 경제적, 정신적 손실의 감소라는 소극적 의미가, 다른 한편 이식을 위해 살아있는 장기를 구함으로써 다른 생명을 살리는 선한 목적이 의도된 적극적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때로는 감정의 과잉으로 인해 독단으로 치닫기까지 하는 '뇌사'에 관한 논쟁을 잠재우기 위해 먼저 뇌사 개념을 정의하기 전에 죽음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를 간략하게 짚은 후에(2), 뇌사를 정의하는 데 있어서 그 인간학적 토대가 무엇이며, 인격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그리고 죽음과는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물으면서 뇌사를 기존의 입장과는 다른 관점에서 조명해 볼 것이다(3). 이 과정에서, 특히 뇌사에 관한 정의의 인간학적 토대를 위한 전제조건들과 그것으로부터 발생하는 결과들, 그리고 함축적인 모순점들을 살펴보면서(4), 이 글을 맺을 것이다(5).

  •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1. 문제제기
  • 2. 생명(삶)의 과정으로서의 죽음
  • 3. 인간학, 인격 그리고 죽음
  • 4. 뇌사 정의의 결과들
  • 5. 나가는 말 : 합의로서의 뇌사?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32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의 법적 취급 :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의 법적 인식과 책임을 중심으로/이중기 2016  208
2327 9 보건의료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디자인 :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 이은혜 2014  208
2326 1 윤리학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신유리, 김정석 2015  208
2325 15 유전학 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제 개발 / 김기남 2008  208
2324 15 유전학 유전자 패널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분자 유전학적 원인 규명 / 홍현대 2016  208
2323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규제에 관한 연구 : 매체별 의료광고를 중심으로 / 원선애 2003  208
2322 1 윤리학 긍정심리학과 덕윤리 / 이진남 2016  208
2321 19 장기 조직 이식 바이오뱅크 기증자의 포괄적 동의와 역동적 동의 / 유호정 2016  208
2320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2319 5 과학 기술 사회 감각과 인식의 욕망기관으로서의 인조인간 형상 연구/신성환 2011  208
2318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의료인의 형사책임 / 송근화 2011  208
2317 9 보건의료 지속 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미래 전략: - 질병관리에서 건강관리로의 패러다임 전환 - / 어호용 2018  207
2316 10 성/젠더 여성주의 윤리학적 시각에서 본 싱글 여성의 생식권 문제 / 닝멍 2019  207
2315 17 신경과학 정신장애범죄인과 사법적 처우 / 최민영 2018  207
2314 9 보건의료 스웨덴의 민영화와 보건의료법의 성격 / 홍세영 2017  207
2313 5 과학 기술 사회 영유아 대상으로 한 IoT 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분석 연구 / 신은주 외 2018  207
2312 1 윤리학 한스 요나스의 생태학적 책임윤리 연구 : 전통 윤리학과 유토피아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 김항철 2017  207
231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인간중심주의 /이봉재 2005  207
2310 14 재생산 기술 우리는 비배우자 인공수정과 대리모출산에 대해 어떠한 결단을 내리 수 있는가 / 문윤정 1994  207
230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 함혜영 2013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