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刑事判例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52644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형사법적 검토

                     

  • 저자명 : 안성준                                               

  • 학술지명 : 刑事判例硏究                               

  • 권호사항 : Vol.18 No.- [2010]                                                          

  • 발행처 : 한국형사판례연구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38(38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0년

  • KDC : 367

  •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 KCI 피인용횟수 : 1                                                                                   

  • 초록 (Abstract)

    • 1. In Korea, since there have been no legislations or legal guidance about discontinuing life-supporting treatment, recent Supreme Court's decision which I deal with in this article has a significant value as this is the first decision to recognizes t...

  • 1. In Korea, since there have been no legislations or legal guidance about discontinuing life-supporting treatment, recent Supreme Court's decision which I deal with in this article has a significant value as this is the first decision to recognizes the withdrawal of life-prolonging measures to the incompetent and pronounce the legal grounds and the requirements of judicial approval. 2. Supreme Court holds as follows; a. Firstly, patients hav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which is originated from human dignity and pursuit of happiness. They can previously decide discontinuanc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f they are in the condition when there is a degree of medical certainty that there can be no recovery and death is very imminent. This holding says this condition as “the stage of unrecoverable death.” b. Secondly, if patients apparently express their message to withdraw these kinds of medical treatment in the form of ‘living will’ under the informed consent, this expression legally regards them as us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addition, even if patients did not have an expression whether they withdraw the treatment, judges can assess whether they are in the stage of unrecoverable death and they can be approved of forgoing life-supporting treatment under the considerable hypothetical circumstances. 3. I point out several arguments in this article. a. To begin with, the decision in this case has some ambiguous and abstract criteria that make judges not easy to assess the recognition of withdrawal in specific cases. This point can make a dangerous consequence how courts depend upon not will of patients will, but attitude and mind of parents or guardians. Therefore I think that this theory which states in this case should more carefully apply the similar cases. b. In addition, I argue that courts should grant the claimant the power of authorizing the discontinuance of extraordinary means of sustaining the vital processes on the condition of observation of due process to make the least possibility of misdiagnose or misjudgment. c. Also I assure that the claim which petitions the discontinuance of sustaining means should be only accepted when the case has an achievement of the proper balance between individual respect as a right and human dignity as constraint, the interest of each party such as patient, parent or guidance, doctor, state or society.                                                                             

  • 목차 (Table of Contents)

  • [대상판결] 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전원합의체 판결

  • I. 대상판결의 판결요지

  • II. 대상판결의 의의와 개관

  • III. 의료법 영역에 있어 치료대상자의 자기결정권

  • IV. 생명연장장치 제거의 허용요건과 관련된 문제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648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3
3647 18 인체실험 생명윤리 실험연구의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박보배 2013  423
3646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가 간호 윤리 가치에 미치는 영향 / 서형은 2016  422
3645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
3644 9 보건의료 노인 간호와 돌봄 로봇 /은영 2018  421
364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2011  421
3642 13 인구 장래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 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 김미경 2016  421
3641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2014  421
364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창배 2017  420
3639 12 낙태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 이병호 2015  420
363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료산업의 미래전략 / 양윤선 2017  420
3637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2006  420
3636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 적중 Mouse 제작 기술의 개발 / 전지선 2014  420
3635 19 장기 조직 이식 사후(死後) 장기기증 : 증여와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 박정호 2011  420
3634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2015  420
3633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노승현 외 2019  419
363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2009  419
3631 1 윤리학 새로운 치료법 도입과 관련된 법적 분쟁에 관한 연구 / 신정원 2011  419
363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2005  419
3629 15 유전학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혜경 2014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