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간 · 환경 · 미래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11517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The Possibility of Narratives and Empathy between Medical Care Robots and Human Patients

                                 

  • 저자명

    송선영(Song, Sun-Young)                                               

  • 학술지명

    인간 · 환경 · 미래                           

  • 권호사항

    Vol.- No.18 [2017]                                                           

  • 발행처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9-76(2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이 연구는 정보과학기술과 로봇공학기술의 발달이 인공지능로봇과 환자 간의 관계에 미치는 전망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네트워크, 빅데이터, 로봇, 인공지능의 다양한 기반들이 ...
  • 이 연구는 정보과학기술과 로봇공학기술의 발달이 인공지능로봇과 환자 간의 관계에 미치는 전망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네트워크, 빅데이터, 로봇, 인공지능의 다양한 기반들이 통합적으로 인간과 사물에 적용되면서 점차 우리의 삶은 이전과는 매우 다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인간과 사물간의 경계도 무너지면서, 의료용 로봇도 환자에 대해 어떤 신체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교류를 할 수 있고, 환자의 간병, 정서 및 심리치료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현재 개발된 정서 교류 기반 사회적 로봇(social robots)의 범주의 사례들을 활용하여 의료용 케어로봇과 인간의 소통에서 나타나는 공감의 측면에 주목한다. 로봇이 감정을 이해하고 교류할 수 있는 공감의 정서는 바로 로봇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코드로 저장된 빅데이터, 즉, 인간의 서사에서 발생한다. 의료용 케어로봇이 질병의 처치와 처방, 예방의 목적에 따라 인간과 공감하는 원리를 고통(painism)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 초록 (Abstract)
    • This paper aims to explore a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AI robots and human beings in the application of the advances of information science and robotics to medical science. With them we have experienced various AI robotics in practices. In partic...
  • This paper aims to explore a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AI robots and human beings in the application of the advances of information science and robotics to medical science. With them we have experienced various AI robotics in practices. In particular, there is an obvious feature of integration and combination in different fields, such as network, big-data, robotics, AI, with humans and things. As a result,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ny notion of their own landmarks. In the case of medical robots, they can have any normal relationship to human patients as well as operate as a simple tool to help them. In this paper, first of all, there is the main concern of empathy based on the interaction of human patients with AI (medical care) robots. It has also another issue of the ontological position of the robots in the relation with humans. This is connected with ethical and existential features. Second, the digital codes of AI (medical care) robots of human patients are seen as the narratives of human lives.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의료용 케어로봇의 존재론적 특징
  • Ⅲ. 의료용 케어로봇의 윤리실존적 쟁점
  • Ⅳ. 의료용 케어로봇의 서사와 공감 가능성
  • Ⅴ. 고통 : 의료용 케어로봇의 공감 알고리즘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08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체외수정 및 대리출산 법제 개관 / 이재열 2017  120
130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 관련 국내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윤영미 외 2017  120
1306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비급여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기관별 가격과 제공량의 관련요인 분석 / 박정훈 2017  120
1305 15 유전학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이영희 2008  120
1304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DNR) 결정에 대한 통합적 고찰 / 김상희, 이원희 2011  120
1303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이연승 2014  120
» 9 보건의료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송선영 2017  120
1301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래신호 예측 / 송태민 2016  120
1300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의 경제적 가치분석 : 이차전지 산업을 중심으로 / 배성훈 2015  120
1299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2012  120
1298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20
1297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일본의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및 과제/치주루가부모토 2014  120
1296 15 유전학 Council of Europe adopts protocol on genetic testing for health purposes 2009  120
1295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9
1294 22 동물복지 동물의 권리와 돌봄의 문화 / 최성희, 김용규 2019  119
1293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에 대한 토론 / 김성한 2018  119
1292 17 신경과학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김남주 2018  119
1291 10 성/젠더 양성평등문화 확산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 안상수 외 2016  119
1290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이 중국의 입법에 주는 시사점 / 나혜란 2018  119
1289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예방을 위한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운영에 따른 비용-편익 / 한정열 외 2015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