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論集(Ewha law journal)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245124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바이오의약품 적용여부에 대한 고찰
= Some Considerations about the Applicability of Biologics to the Approval-patent Linkage System in KORUS FTA

                                    

  • 저자명

    김현철                                             

  • 학술지명

    法學論集(Ewha law journal)                                

  • 권호사항

    Vol.17 No.1 [2012]                                                         

  • 발행처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25-240(1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2년

  • KDC

    360.4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3


  • 초록 (Abstract)
    • 한미 FTA는 보건의료에 관한 제5장과 지적 재산권에 관한 제18장 속에 의약품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제18장에서 규율하고 있는 허가-특허연계제도와 자료독점제도는 우리나라...
  • 한미 FTA는 보건의료에 관한 제5장과 지적 재산권에 관한 제18장 속에 의약품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제18장에서 규율하고 있는 허가-특허연계제도와 자료독점제도는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지 않은 제도이어서 국내법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한미 FTA 제18장 제9조 제5항의 허가-특허연계제도는 그 적용대상을 의약품(a pharmaceutical product)이라고 표현하고 있으나, 제18장 제9조 제5항에서는 의약품에 대한 정의를 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허가-특허연계제도에 바이오의약품이 포함되는지 여부는 해석을 통해 결정해야 한다. 여기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쟁점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한미 FTA의 상대국인 미국에서는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허가-특허연계제도를 한미 FTA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지 않다. 한미 FTA의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는 “허가당국에 통보된 특허의 존속기간 동안(during the term of a patent notified to the approving authority)”이라는 표현이 있으며, 따라서 한미 FTA의 허가-특허연계제도는 미국 해치-왁스먼 법과 같은 방식, 즉 오리지널 제약사가 허가당국에 보호받을 특허를 통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미 FTA 제5장에서는 의약품을 정의하면서 바이오의약품(한미 FTA의 공식 명칭으로는 생물의약품)이 의약품에 포함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5장 규정의 효력은 원칙적으로 그 장에만 미치지만, 허가-특허연계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제18장에 다른 정의규정이 없기 때문에 제5장의 규정을 유추 적용하는 것도 국제협약의 해석상 가능하다.
  • 초록 (Abstract)
    • It is necessary to protect and develop our domestic biopharmaceutical industr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global environment by KORUS FTA. Especially, it is urgent to make our domestic biopharmaceutical companies entry into the markets of USA. At the...
  • It is necessary to protect and develop our domestic biopharmaceutical industr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global environment by KORUS FTA. Especially, it is urgent to make our domestic biopharmaceutical companies entry into the markets of USA.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afeguards for the rushes of USA biopharmaceutical companies into our domestic market. Thus, it is the aim of this research to provide the effective legal and governmental protections for our domestic biopharmaceutical industry through examining biologics approval-patent linkage system. On top of it, this paper will be used as the basic source for the reasonable implementing methods of FTAs. I found that the approval-patent linkage system was not working well in the area of biologics unlike small-molecule drugs through the research. Because BPCIA repealed the Orange Book requirement in the application of biosimilars unlike generic drugs. This means that the regulation of biologics including biosimilars would be executed by agency regulation rather than patent protection. There’s no explicit provision on the biologics approval-patent linkage system in KORUS FTA. However, there’s possibility to discuss this issue in the near future due to the enactment of BPCIA. And the biologics approval-patent linkage system has been implemented in Korea through the Green List. Thus, we have to develop and execute the proper mechanism well fitted in our regulatory system regardless of KORUS FTA.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한미 FTA와 바이오의약품
  • Ⅱ. 한미 FTA의 허가-특허연계제도
  • 1. 개관
  • 2. 미국의 허가-특허연계제도
  • 3. 한미 FTA의 허가-특허연계제도
  • Ⅲ.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의약품”
  • 1. 개관
  • 2. 바이오의약품 포함설
  • 3. 바이오의약품 비포함설
  • 4. 소결
  • Ⅳ. 결론과 향후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2408 18 인체실험 학과 연구심의위원회(DRB)의 설립 및 운영 / 정경미 외 2010  202
2407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이 병원의 내부요인과 성과에 미치는 정종덕 문재영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우리나라의 9개 병원을 중심으로 / 정종덕, 문재영 2013  202
2406 16 환경 기후변화와 키메라현상에 대한 계층 간의 관계인식 / 백정애 2011  202
240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약상 피험자의 민사법적 보호 -의사의 진료와 의약품임상시험과의 구별을 중심으로 / 김기영 2011  202
2404 1 윤리학 포스트휴먼 시대의 로봇과 인간의 윤리 / 유은순 외 2018  202
2403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검토를 통한 연명의료결정법의 개선 방향에 관한 제언 ― 대상 및 범위의 확대와 의사(意思) 추정 및 대리의 적절성 담보를 중심으로 ― / 강다롱 2018  202
2402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정비 / 전유라 2017  202
2401 23 연구윤리 상담자의 질적 연구 윤리로서의 윤리적 주체-되기 / 김소연 2018  202
2400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2
2399 22 동물복지 가축 전염병으로 인한 가축 살처분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박종무 2019  202
239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2008  203
2397 9 보건의료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판례의 입장 고찰 -의료법상 '면허된 의료행위' 해당 여부의 판단-/곽숙영 2014  203
2396 2 생명윤리 모자보건법 제14조에 대한 헌법적 고찰과 제언 : 인간 생명의 가치를 중심으로/이경의 2014  203
2395 15 유전학 DNA 정보의 주체 -시민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 / 김지연 외 2016  203
2394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 남국현 2013  203
2393 12 낙태 낙태규제에 관한 미국 판례와 학설의 전개 / 도회근 1998  203
2392 5 과학 기술 사회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법과 기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이진태 2005  203
2391 1 윤리학 양명학을 통해 본 인공지능(AI)시대의 과학기술윤리/양선진 2016  203
2390 9 보건의료 도시와 시골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응급의료서비스 이용실태 및 만족도 비교 2017  203
2389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의 법적 의미와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 2003  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