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13 인구 조회 수 101 추천 수 0 2017.07.21 10:10:2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동향과 전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35221 
저출산과 개인화
= The Low Fertility and Individualization - `Birth Strike` vs `Birth Choice` -

                  

  • 저자명

    오유석(Yoo-Seok Oh)                                                           

  • 학술지명

    동향과 전망                            

  • 권호사항

    Vol.- No.94 [2015]                                                          

  • 발행처

    한국사회과학연구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5-92(4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KDC

    305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0                                                                                                                              

  • 초록 (Abstract)
    • 이 논문은 초저출산과 고령화가 맞물려진 최근의 `초저출산` 문제를 탈근대 개인화 과정으로 보고 젠더 관계를 중심으로 재해석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여기서는 가족, 결혼, 성에 대한 문화...
  • 이 논문은 초저출산과 고령화가 맞물려진 최근의 `초저출산` 문제를 탈근대 개인화 과정으로 보고 젠더 관계를 중심으로 재해석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여기서는 가족, 결혼, 성에 대한 문화적 가치 변화를 `개인화`라는 `자기실현과 다양성의 인정`이라는 사회적 흐름으로 이해하고 저출산의 원인들로 지목된 현상들을 살펴본다. 그 결과 저출산이 전통적인 결혼관과 출산(자녀)관 및 남성 생계부양가족 가치의 해체와 함께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여성들의 탈귀속주의가 초기현대의 남성중심 성별분업 구조로 만들어진 핵가족을 해체하고 여성의 출산권을 자기 주도적으로 선택하고 책임지는 `개인화` 과정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저출산을 여성들의 수동적인 `출산파업`으로 진단하고 해법을 찾아서는 안 되고 여성들이 역동적이고 적극적인 `출산선택`으로 이행하는 과정으로 볼 것을 주장한다. 따라서 저출산의 해법도 부모가 되는 것을 하나의 삶의 스타일로 선택하는 변화에 맞추어 다양한 개인화를 존중하고, 가족 해체나 새로운 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너그럽고, 평등한 젠더 관계에서 일과 임신과 출산 그리고 양육과 자녀교육을 남녀가 함께 책임지고 선택할 수 있도록 고용 복지, 교육, 조세 제도 등 전 방위적인 젠더 관점에서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제기
  • 2. 기존 연구 검토
  • 3. `출산`은 개인의 선택
  • 4. 맺음말
  • 참고문헌
  • 초록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748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일부간호사의 태도 조사 / 권현주 2009  101
3747 12 낙태 여성운동측면으로 본 낙태 / 김상민 1999  101
3746 15 유전학 유전자의 이용과 형법 / 임석원 2016  101
3745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배아보호 / 김혁돈 2010  101
» 13 인구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2015  101
3743 14 재생산 기술 배란 유도제 투여 후 난소 과자극 증후군으로 인해 발생한 뇌경색 1례 -증례 보고 / 김명옥 2002  101
3742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1
3741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현정 2017  101
3740 14 재생산 기술 모성보호정책 확대에 관한 연구 2013  101
373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 한수경 2015  101
3738 18 인체실험 의료계약 및 임상시험계약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에 관한 소고 / 서종희 2017  101
3737 9 보건의료 HIV 감염인의 재생산권과 보조생식술 / 배현아 2014  101
3736 1 윤리학 개인정보 관련 법령의 실무적 운영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개선방향 / 박광배 2017  101
373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의 의미 / 정복례 외 2017  101
3734 14 재생산 기술 법률상 모(母) 개념의 해체와 헤테로토피아 - 대리모의 자궁을 중심으로 - 2017  101
3733 2 생명윤리 미국 연방대법원의 인간 존엄성 보장에 관한 연구-연방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형석 2017  101
373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피험자의 동의에 관한 국제기준과 관련 국내법의 개선 방향 / 김성룡 2018  101
3731 5 과학 기술 사회 영리병원 도입은 되돌릴 수 없는 법적 약속인가 ― 영리병원 설립 근거 법률의 개정과 한미 FTA 합치성 검토 ― / 정은아 2018  101
3730 1 윤리학 캐나다의 출생 관련 법제와 그 운영에관한 소고 / 최성경 2019  101
3729 20 죽음과 죽어감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문현공 2018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