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199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神經精神醫學(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996291 
치매의 임상적 정도와 인지기능 장애 및 행동 장애간의 상관
= Correlations of Cognitive Dysfunctions and Behavior Disorders to Clinical Severity of Dementia

                                  

  • 저자명

    조성완, 박종한                                            

  • 학술지명

    神經精神醫學(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 권호사항

    Vol.33 No.3 [1994]                                                         

  • 발행처

    대한신경정신의학회(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 발행처 URL

    http://www.KNPA.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533-538(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1994년

  • KDC

    513.85                                                     

  • 초록 (Abstract)
    • 치매의 척도와 기억이 치매의 정도를 판단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경북 어느 면지역의 65세 이상의 노인에서 MMSEK, CAPE, 단기 및 장기 기억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후향성 방법...
  • 치매의 척도와 기억이 치매의 정도를 판단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경북 어느 면지역의 65세 이상의 노인에서 MMSEK, CAPE, 단기 및 장기 기억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후향성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치매의 정도는 DSM-Ⅲ-R에 의거하여 진단되었다. CAPE, MMSEK. 그리고 단기 및 장기 기억의 순으로 치매의 정도를 잘 구분해 주었다. MMSEK, CAPE, 단기 기억 그리고 장기 기억 서로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고, 상관계수는 0.353~0.830이었다. 치매 의심과 경도 치매는 MMSEK 점수, CAPE 점수, 단기 기억 그리고 장기 기억이 서로 비슷하였다. 이와 같은 소견을 미루어 보아서 치매의 정도를 판단하는데는 인지기능 장애보다 행동 장애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다. 또 치매 의심은 경도 치매로 간주되어야 할 것 같다.
  • 초록 (Abstract)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ability of dementia rating scales and memores in judging the clinical severity of dementia. And the authors evaluated correlations among them. Methods : The subjects(n=101) were recruited from a...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ability of dementia rating scales and memores in judging the clinical severity of dementia. And the authors evaluated correlations among them.
    Methods : The subjects(n=101) were recruited from a community population who participated in a prevalence survey of dementia. They were administered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Clifton Assessment Procedures for the Elderly(CAPE), and a semi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short- and long-term memories. DSMIII-R was used for clinical severity of dementia.
    Results : The scores of MMSEK, CAPE, short-term memory and long-term memor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severity of dementia. Of the four measurements, CAPE differentiated the severity most effectively. Scores of the elderly with questionable dementia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mildly demented people. Scores of the 4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353-0.830.
    Condlusion : CAPE, MMSEK, and short-and long-term memories effectively differentiated the clinical severity of dementia in that order, Questionable and mild dementia appears to be similar in the severi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86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 종사자의 호스피스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조정숙 2018  162
1867 5 과학 기술 사회 차세대 인공지능의 특허대상 범위에 대한 도전 - 미국의 법리를 중심으로 - /이상미 2017  162
»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정도와 인지기능 장애 및 행동 장애간의 상관 / 조성완, 박종한 1994  162
1865 2 생명윤리 가톨릭 사회교리에 비추어 본 생명과 건강 / 박정우 2016  162
186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강진아 2010  162
1863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의 허가-특허 연계제도 / 박인회 2013  162
1862 1 윤리학 나고야의정서의 국내 이행 필요사항 분석/박원석 2013  162
186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사결정의 속성-생전유언을 중심으로 / 김신미 2010  162
1860 1 윤리학 행복한 삶과 인성교육 -절대무(絶對無)와 『죽음에 이르는 병』을 중심으로- / 황종환 2019  161
1859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1
1858 18 인체실험 [자료] 일본임상연구법(2017년 법률 제16호) 2018  161
1857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 노인 사망 장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임은옥 2016  161
1856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과 자연교배 마우스의 행동학적 비교 연구 / 장윤철 2016  161
1855 10 성/젠더 온라인 게임내 성차별 실태 조사 및 제재 시스템 디자인 연구 / 맹욱재 외 2018  161
1854 1 윤리학 동물실험의 재현성과 윤리성 확보를 위한 연구논문 점검 / 천명선 외 2017  161
1853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환자의 연명의료결정 시 자기결정권 존중과 의사결정 조력 / 유수정,박소연 2017  161
1852 9 보건의료 의료 산업 Bio 3D Printing 활용사례 개발에 관한 연구 / 천경원 2017  161
1851 9 보건의료 생체데이터 분석을 위한 하둡 플랫폼의 확장 / 박광호 2014  161
1850 18 인체실험 노인환자에서의 의약품임상시험 지침 / 이순실 2006  161
1849 1 윤리학 빅 데이터 시대의 도래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법의 한계와 개선방향 / 김승한 2013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