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31056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명윤리교육의 모색
= Pharmacy Ethics Education for Improving Ability of Critical Thinking

                                  

  • 저자명

    백지연(Baek Ji-yeon),정창록(Jeong Chang-rok)                                              

  • 학술지명

    생명윤리                           

  • 권호사항

    Vol.18 No.1 [2017]                                                         

  • 발행처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5-34(2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본 논문은 의료 영역에서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명윤리교육의 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들은 사례를 기반으로 토론학습방법을 통하여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할 수 있...
  • 본 논문은 의료 영역에서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명윤리교육의 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들은 사례를 기반으로 토론학습방법을 통하여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하나의 생명윤리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현대 한국의 의료사회는 생명과 관련된 기술 발전으로 인해 해결해 나가야 할 문제들이 여러 측면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 복잡성은 의료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의 이해관계가 대립하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의료인 개인이나 의료 집단 간, 또는 의료 집단과 그 외 공동체가 비판적 검토와 토론을 통한 합의를 통해 해결점을 찾아나가야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특히 한국의 의료인들은 이러한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복잡한 윤리적 상황에 직면하여 각기 다른 이해와 가치를 검증하여 선택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을 가져야만 한다. 미래의 약학 관련 연구자나 약사가 될 약학대학원생들도 한국 의료계의 일원으로서 이러한 시대적 요청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 필자들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약학윤리교육의 목표로서 비판적 사고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사회의 사례를 활용한 교육과정의 개발과 실제 수업안을 제시하고 있다.

  • 초록 (Abstract)
    • In this paper, authors were supposed to find solutions for a meaningful and valuable pharmacy ethics education for professional pharmacy graduated students. And this is on the basis of realization about pharmacy ethics educational problems on these da...
  • In this paper, authors were supposed to find solutions for a meaningful and valuable pharmacy ethics education for professional pharmacy graduated students. And this is on the basis of realization about pharmacy ethics educational problems on these days. We think that general ethics education has two ways, one is rationalism and another is sentimentalism. These ways are determined by considering how aspect important one of moral factors.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for ability of critical thinking in pharmacy ethics education including their meaning and characteristics. And this is based on rationalism ethics education improving moral judgment and ability of critical thinking. We suggest to have class focused on a reality case and discussion as way of pharmacy ethics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progress.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명 윤리교육의 모색
  • Ⅲ. 약학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생명윤리교육의 실제
  • Ⅳ. 맺으며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46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명시된 의사표명과 추정된 동의 / 김신, 정진규 2014  224
246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에 대한 책임과 자기결정권 / 정재우 2014  224
2466 1 윤리학 치매상담센터 종사자의 업무 수행도-필요도 분석 / 어수지 2018  224
2465 2 생명윤리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빅 데이터와 임상적 활용 / 고윤희 2017  223
2464 15 유전학 유전자 발현 조절에 의한 발생의 이해 / 이미화 외 2017  223
2463 9 보건의료 간호학생의 인체해부관찰경험 / 김미희 2012  223
246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연구윤리에 대한 임상연구자들의 인식 및 태도 조사 / 손순영 2011  223
2461 18 인체실험 소아 참여 임상시험에서 부모의 임상시험의 이해도와 설명만족도/안주희 외 2016  223
246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인식과 그 시사점/최영순 외 2015  223
2459 1 윤리학 생명의료의 발전에 따른 민사책임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2  223
2458 9 보건의료 응급환자 진료 지연 판례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송이 2018  222
2457 1 윤리학 관계적 돌봄의 철학 / 허라금 2018  222
2456 15 유전학 국내외 유전자변형 식물개발의 연구동향 분석 / 이종우 2006  222
2455 5 과학 기술 사회 일본에서의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법상 논의 동향 / 고재종 2018  222
245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자의적인 안락사 2006  222
2453 14 재생산 기술 FCST 맞춤형 음양균형장치를 위주로 한 보조생식술 실패 후 난임 치료 후 출산 증례 / 채기헌 2015  222
2452 18 인체실험 Improved Transfection Efficiency and Metabolic Activity in Human Embryonic Stem Cell Using Non-Enzymatic Method / 황인규 2016  222
2451 1 윤리학 기업범죄에 있어 대향적 관여자의 형사책임 / 홍태석 2016  222
2450 1 윤리학 Understanding 'Anticipatory Governance' 2014  222
2449 9 보건의료 항암제 임상시험에 참여 중인 암환자의 불확실성, 대처와 적응 / 김수희 2018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