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IRI Weekly(주간포커스)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450398 
4차 산업혁명과 보험상품 개발

                     

  • 저자명

    김석영, 이선주                                             

  • 학술지명

    KIRI Weekly(주간포커스)                           

  • 권호사항

    Vol.406 No.- [2016]                                                          

  • 발행처

    보험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19(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변화의 물결이 제조업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4차 산업혁명은 기업들이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하여 생산성을 제고하는 차세�...
  •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변화의 물결이 제조업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4차 산업혁명은 기업들이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하여 생산성을 제고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임. · 소비자의 개별 기호에 맞춘 상품 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산업은 소비자 중심의 제품생산체계로 전환됨. 보험산업에서도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의 등장에 따라 소비자별로 특화된 보험상품 출시가 전망됨. · 다양한 정보를 담은 빅데이터의 등장과 IOT를 통한 실시간 정보 수집이 가능해짐에 따라 보다 다양한 위험에 대한 보험요율 산출이 가능해짐. · 최근 보험상품 개발은 보험가입자 세분화 및 가입대상 확대, 신기술 활용, 그리고 헬스케어 관련 보험상품 개발 위주로 변화되고 있음. 보험계약자의 경우 개별 계약자가 필요한 보장만을 담보하는 보험상품에 가입할 수 있게 되어 중복가입이 최소화되고 보험회사는 보험상품에 부가되는 서비스로 시장경쟁을 펼칠 것으로 예상됨. · 계약자가 필요한 위험보장을 위해 여러 상품을 구매하던 것이 사라지게 됨으로써, 보험회사들은 상품보장 범위와 가격을 통한 경쟁 대신 헬스케어서비스와 같은 부가서비스로 경쟁하게 될 것임. 계약자 중심의 상품 개발로 모든 보험상품은 계약자별로 다를 것이기 때문에 계약협상에서 열위에 있는 개별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소비자 보호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됨. · 계약자별 보험상품을 금융당국이 모두 검토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금융당국의 소비자 보호에 대한 정책 변화가 필요함. 보험회사가 다양한 헬스케어서비스 보험상품을 개발할 경우 「의료법」 등과 충돌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됨. · 웨어러블 기기를 통하여 보험계약자에게 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할 경우 「의료법」과 다툼의 소지가 있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468 1 윤리학 치매상담센터 종사자의 업무 수행도-필요도 분석 / 어수지 2018  224
2467 9 보건의료 의료인공지능: 인공지능 초심자를 위한 길라잡이 / 박성호 2018  223
2466 2 생명윤리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빅 데이터와 임상적 활용 / 고윤희 2017  223
2465 15 유전학 유전자 발현 조절에 의한 발생의 이해 / 이미화 외 2017  223
2464 9 보건의료 간호학생의 인체해부관찰경험 / 김미희 2012  223
246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연구윤리에 대한 임상연구자들의 인식 및 태도 조사 / 손순영 2011  223
2462 18 인체실험 소아 참여 임상시험에서 부모의 임상시험의 이해도와 설명만족도/안주희 외 2016  223
246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인식과 그 시사점/최영순 외 2015  223
2460 15 유전학 GMO의 위험에 대한 민사법적 책임의 한계 / 송호열 2011  223
2459 1 윤리학 생명의료의 발전에 따른 민사책임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2  223
2458 9 보건의료 응급환자 진료 지연 판례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송이 2018  222
2457 1 윤리학 관계적 돌봄의 철학 / 허라금 2018  222
2456 15 유전학 국내외 유전자변형 식물개발의 연구동향 분석 / 이종우 2006  222
2455 5 과학 기술 사회 일본에서의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법상 논의 동향 / 고재종 2018  222
245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자의적인 안락사 2006  222
2453 14 재생산 기술 FCST 맞춤형 음양균형장치를 위주로 한 보조생식술 실패 후 난임 치료 후 출산 증례 / 채기헌 2015  222
2452 18 인체실험 Improved Transfection Efficiency and Metabolic Activity in Human Embryonic Stem Cell Using Non-Enzymatic Method / 황인규 2016  222
2451 1 윤리학 기업범죄에 있어 대향적 관여자의 형사책임 / 홍태석 2016  222
2450 1 윤리학 Understanding 'Anticipatory Governance' 2014  222
2449 9 보건의료 항암제 임상시험에 참여 중인 암환자의 불확실성, 대처와 적응 / 김수희 2018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