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4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地方行政硏究 
관련링크 :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ey=3509845 
(The Impact and Policy Agenda of Local Finance in `Low Birthrate-Aging Society)



  • 제어번호 103058992
  • 저자명 이재원 ( Lee Jae Won )
  • 학술지명 地方行政硏究
  • 발행처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5-62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등재정보 등재
  • 주제어 
  •  키워드
  • 저출산, 고령화, 지방재정, 사회투자, 고령사회 인지 예산, 정부간 재정관계, Low Birthrate, Aging Society, Local Finance, Social Investment, Aging Budgeting, 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hip
  •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 <한국어 초록>
  •    고령사회에서 지방재정의 영향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국가 전체적 영향과 동일하게 지역의 사회 경제적 침체 및 저성장이 지속되면서 지방세입 기반이 취약해지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중앙 중심의 복지정책 확대에 따른 지방세출 부문의 변화에 대한 것이다. 후자의 영향은 복지레짐과 정부간 복지재정관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다. 국가최저수준의 사회안전망과 잔여적 사회서비스 지출로 복지수요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소극적인 경우에는 지방재정의 복지지출 부담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현행 제도적 맥락에서, 저출산-고령화의 지방재정 영향은 중앙정부의 사회정책과 지방재정조정정책의 기조에 따라 좌우된다. 현재와 같은 상황 인식과 정부간 재정관계에서는 고령사회의 쟁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하지 못한다. 이 글에서는 중앙정부 중심의 사회정책체계와 정부간 복지재정관계 속에서 저출산 고령사회 정책이 확대될 경우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들을 분석했다. 또한 신사회위험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파트너로서 지방재정의 정책과제를 모색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4 13 인구 저출산과 교육시설 / 윤천근 2016  57
43 13 인구 저출산 시대, 지역사회 위기극복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 서동희 2017  63
4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김동식 외 2016  75
41 13 인구 저출산 · 육아지원대책에 대한 한 · 일 비교연구 / 이성한 2018  99
40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1
39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6
» 13 인구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영향과 향후 대책/이재원 2017  109
37 13 인구 정책보고서의 인지지도 분석: 제3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의 사례/김동환 2017  110
36 1 윤리학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세대를 위한 목회적 대응방안/ 송준용 2019  114
35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9
34 13 인구 영유아보육정책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은숙 2016  134
33 13 인구 저출산시대에 인구감소 방지를 위한 고위험임신 관리방안 / 이난희, 송혜숙 2017  156
32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31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 우해봉 2018  197
30 13 인구 제3차 저출산 · 고령사회 기본계획 - 노인돌봄 / 최혜지 2016  224
29 13 인구 저출산 해결을 위한 의사의 역할 / 하정훈 2017  235
28 12 낙태 한국 출산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가톨릭교회 입장에서 본 IUD 보급에서 IVF 시술비 지원까지 / 이연숙 외 2015  239
27 13 인구 저출산 시대 극복을 위한 보건의료 대책 / 김재연 2017  243
26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5
25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시대 과학기술인력 수급전망 / 엄미정 2016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