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49996 

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사례와 연계를 중심으로

                           

  • 저자

    김순자                                       

  • 형태사항

    83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희강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 도시및지방행정학과 2017.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저출산의 원인을 여러 가지 각도에서 분석할 것이다. 또한 심화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의 대응방향 및 역할 등을 제...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저출산의 원인을 여러 가지 각도에서 분석할 것이다. 또한 심화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의 대응방향 및 역할 등을 제시함으로써 이 문제로 인한 부정적 파급효과를 최소화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특히 저출산 대책의 실질적 수행주체인 지방자치단체의 목소리를 국가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중앙-지방 역할 분담을 통한 저출산 정책서비스의 질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방법 3
  • 제2장 저출산의 이론적 고찰 4
  • 제1절 저출산의 이론적 배경 4
  • 1. 인구·사회학적 접근 4
  • 2. 경제적 효용이론 5
  • 제2절 저출산의 원인 6
  • 1. 사회적요인 7
  • 2. 가족·정책적요인 9
  • 3. 가족 및 개인적요인 10
  • 제3절 저출산 실태 및 문제점 11
  • 1. 저출산 현황 11
  • 2. 저출산의 문제점 15
  • 제3장 중앙정부의 저출산 대책 및 개선방안 19
  • 제1절 중앙정부의 저출산 정책 19
  • 1. 대응 현황 19
  • 2. 저출산 대책의 추진 20
  • 3. 행정체계 27
  • 4. 중앙정부 저출산 대책 평가 29
  • 제2절 중앙정부의 저출산 기본계획의 개선방향 31
  • 1. 자녀교육 비용 및 청년실업 대책필요 31
  • 2. 저출산의 원인에 대한 대응 미흡 32
  • 3.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기본계획의 개선 35
  • 제4장 지방정부의 저출산 정책 및 사례 37
  • 제1절 광역자치단체의 저출산 정책 37
  • 1. 정책현황 37
  • 제2절 광역자치단체 저출산 대책 사례 47
  • 1. 전라남도 47
  • 2. 울산광역시 51
  • 제5장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저출산 정책연계 58
  • 1. 중앙 및 지방 저출산 정책연계 강화의 필요성 59
  • 2. 중앙 및 지방의 저출산 정책연계 개선 방안 62
  • 제6장 결론 70
  • 참고문헌 7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 13 인구 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사례와 연계를 중심으로 / 김순자 2017  570
4027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실험시행기관의 실험동물 사용 현황/Moon Seok Yoon, Gwang Hee Lee, Hwang Lee, Tae Jun Lee 2015  569
402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 정도희 2010  568
4025 5 과학 기술 사회 선택에 관여하는 인공지능이 사용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하대권 2019  567
4024 1 윤리학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권미경 2018  567
4023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 호스피스 인식 및 영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조계화 외 2015  566
402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가족지지.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이행과의 관계 / 정승명 2004  565
4021 14 재생산 기술 수정란과 배아의 지위에 관한 윤리적 고찰 / 김광연 2016  564
402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4
4019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 시설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및 노인환자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역할 이해도 / 한수연 2015  564
4018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관련 발명의 특허법적 보호와 쟁점 / 김원준 2012  563
401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 이식 후 조기 수술적 합병증의 99mTc-MAG3 신장 스캔 / 김인수 2005  562
4016 20 죽음과 죽어감 법정책학연구논문 ; 연명치료 중단 문제의 해결방안 / 조홍석 2015  562
4015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존엄사법과 영국의 조력자살법안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5  562
401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고찰 / 민경매 2003  562
4013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으로써 공동의사결정 실현을 위한 환자의사결정도구(PtDAs) 연구 / 이은영 2014  561
401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 조병필 2005  560
4011 14 재생산 기술 연구 목적의 난자 기증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H. Jonas)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이종민 2012  559
4010 4 보건의료 철학 비판적 사고와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장인실, 이경숙 2019  557
4009 14 재생산 기술 남성의 시선에 갇힌 여성들 / 이민희 2016  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