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226197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기타서명

    Death Anxiety and Attitude on Death of Hospice Volunteers

  • 저자

    김명희                                       

  • 형태사항

    ⅲ, 52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 이병숙
    부록 : 설문지(p. 40-46)
    참고문헌 : p. 36-3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계명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08. 2

  • 발행국

    대구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8                                                                                                                                                                                        

  • 소장기관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death anxiety and attitude on death of hospice volunteers , and related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7 hospice volunteers currently working at 6 general hospitals, 1 religious organization and 1 pu...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death anxiety and attitude on death of hospice volunteers , and related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7 hospice volunteers currently working at 6 general hospitals, 1 religious organization and 1 public health center located around Daegu and Kyungpook regio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7, 2007 to October 13, 2007. As the tool to assess the death anxiety of hospice volunteers, the tool developed by Park (1995) was used for the study and the Cronbach α was set as 0.94. As the tool to measure the attitude of hospice volunteers for death, the Korean version of Thorson & Powell (1988) that was translated by Park (1992) was used and the Cronbach α was set as 0.80.
    The statistical analyses for the collected data were performed by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had the average score of 2.12 (SD .59) for death anxiety in 4 score scale.
    2) In death anxie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ex (t=-3.84, p=.000), occupation (F=2.29, p=.046), religion (F=6.22, p=.000) and the frequency of volunteer service (F=3.06, p=.029).
    3) For the death anxiety, religion (6.1%), sex (4.2%) and frequency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 (1.3%) were found to be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and they explained 11.6% of death anxiety.
    4) The average score of subject’s attitude to death was 2.91 (SD .59) revealing the positive attitude to death.
    5) In attitude on dea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n (F=3.94, p=.009), frequency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 (F=3.15, p=.025), experience of the death of close relatives (F=4.37, p=.005) and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 (F=2.42, p=.036).
    6) For the attitude on death, religion (3.7%), frequency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 (2.0%) and motivation of volunteer service (1.9%) were found to be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and they explained 6.6% of attitude on death
    7)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death anxiety and the attitude on death (r=-.726, p=.000).
    Based upon these results, the study was able to find out the presence of more than average of death anxiety in hospice volunteers, and their attitude to death was turned out to be positive. As the variables affected on death anxiety, sex, occupation, religion and frequency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s turned out to show significant attitude difference on death, and the following variables which affected on the attitude on death, religion, frequency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s, experiencing the moment of death and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s revealed to show significant attitude difference on death. So, the current study result is consider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in the relaxation of death anxiety of hospice volunteers and in the development of necessary educational programs to establish positive attitude of hospice volunteers on death.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 관련 변수들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대구·경북에 위치하고 있는 6개의 종합병원과 1개 종교...
  •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 관련 변수들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대구·경북에 위치하고 있는 6개의 종합병원과 1개 종교단체, 1개 보건소 등에서 현재 활동을 하고 있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267명을 대상으로 2007년 9월 27일부터 10월 13일까지 실시되었으며,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에 대한 연구도구는 박은경(199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Cronbach α는 0.94이었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의 측정 도구는 Thorson & Powell(1988)의 죽음에 대한 성향 도구를 박석춘(1992)이 번안하여 사용했던 도구를 사용했으며, 도구의 Cronbach α는 0.80이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죽음불안은 4점 척도에서 평균평점 2.12(SD.59)점으로 죽음불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 차이는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 차이를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한 결과, 특성 중 성별(t=-3.84, p=.000), 직업(F=2.29, p=.046), 종교(F=6.22, p=.000), 자원봉사 활동 횟수(F=3.06, p=.029)에서 유의한 죽음불안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죽음불안에 대해 종교 6.1%, 성별 4.2%, 자원봉사 활동 횟수 1.3% 유의한 설명력을 보여 세 요인이 죽음불안을 11.6% 설명하였다.
    4)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 평균평점은 2.91(SD.56)점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 차이를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한 결과, 특성 중 종교(F=3.94, p=.009), 자원봉사 활동 횟수(F=3.15, p=.025), 가까운 사람의 임종경험(F=4.37, p=.005), 자원봉사 참여동기(F=2.42, p=.036)에서 유의한 죽음에 대한 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대해 종교, 자원봉사 활동 횟수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 3.7%, 자원봉사 활동 횟수 2.0%, 자원봉사 동기 1.9%로 세 요인이 죽음에 대한 태도를 6.6% 설명하였다.
    7) 대상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부적상관관계(r=-.726, p=.000)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은 평균이상의 죽음불안이 있으며, 죽음에 대한 태도에는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성별, 직업, 종교, 자원봉사 활동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종교, 자원봉사 활동 횟수, 임종경험, 자원봉사 참여동기 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죽음불안 완화 및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확립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3. 용어의 정의 = 3
  • Ⅱ. 문헌고찰 = 5
  • 1.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 5
  • 2. 죽음불안 = 6
  • 3. 죽음에 대한 태도 = 8
  • Ⅲ. 연구방법 = 10
  • 1. 연구설계 = 10
  • 2. 연구대상 = 10
  • 3. 연구도구 = 10
  • 4. 자료수집 방법 = 11
  • 5. 자료분석 = 12
  • Ⅳ. 연구결과 = 13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3
  • 2. 대상자의 죽음불안 = 16
  • 3.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 = 22
  • 4. 대상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 = 27
  • Ⅴ. 논의 = 29
  • Ⅵ. 결론 및 제언 = 33
  • 참고문헌 = 36
  • 부록 = 40
  • 영문초록 = 47
  • 국문초록 = 5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548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AMA) 윤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논리 연구 Ⅰ/최현철 외 2017  187
2547 22 동물복지 우리나라 동물실험절차에 대한 법제의 검토- 미국과의 비교를 통한 기준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 / 백경희, 강병우 2018  187
2546 1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론의 현재적 의미 재구성과 인성교육/ 김민수 2019  187
2545 1 윤리학 독일에서 의료영역의 리베이트와 형법 / 이석배 2013  188
2544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의 구성 요건: 의료인을 중심으로 2012  188
2543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 및 연구에서의 동의 획득의 문제/배그린, 최경석 2009  188
2542 5 과학 기술 사회 발행기관 : 대한기계학회/김철, 유기용, 안진희 2014  188
2541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논문(硏究論文) : 무의미한 연명의료의 중단과 존엄사의 제 문제/문성체 2009  188
2540 15 유전학 산전검사의 유전상담 / 황도영 2007  188
2539 18 인체실험 성균관 대학교의 IRB 운영실태와 연구자 고려사항 / 도경수 2016  188
2538 4 보건의료 철학 공공부문 유연근무제 활성화요인 연구 / 김민주 2017  188
2537 8 환자 의사 관계 아동 주치의등록제에 대한 정의론적 접근 / 김준혁 2018  188
2536 1 윤리학 기본권으로서의 변호인의 변호권 / 윤혜원, 최효재 2019  188
2535 19 장기 조직 이식 Xenotransplantation 가능한가? / 안규리 2012  189
2534 22 동물복지 초중고 학생을 위한 실험동물윤리와 동물실험의 이해/이병한 2013  189
253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피해구제제도에서의 입증책임 연구 / 하신욱 2017  189
2532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존엄 : 생식체계(Reproduction System)에 관한 미국의 입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 박선용 2006  189
2531 5 과학 기술 사회 그림책을 활용한 만 5세 유아의 성교육 실행연구 / 김주원 2017  189
2530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로봇을 이용한 의료수술과 형사책임의 귀속 / 최민영 2018  189
2529 20 죽음과 죽어감 공법분야 투고논문 : 연명 중단의 고려 시점에 대한 분석 / 김필수 2013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