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39010 
호스피스환자의 가족보호자가 지각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 기타서명

    Unmet needs and caregiver burden among the family caregivers of hospice patients

  • 저자

    이지현                                       

  • 형태사항

    v, 68 p. : 삽화.

  • 일반주기

    지도교수: 차지영
    참고문헌: p. 41-5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과학과 2016. 8. 졸업

  • DDC

    600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호스피스환자 가족보호자들은 말기 암환자를 돌보면서 가족보호자들은 여러 방면의 미충족 요구를 경험하고 돌봄 부담감으로 고통 받고 있다. 그러나 환자 중심의 병원 환경과 돌봄 문화라...
  • 호스피스환자 가족보호자들은 말기 암환자를 돌보면서 가족보호자들은 여러 방면의 미충족 요구를 경험하고 돌봄 부담감으로 고통 받고 있다. 그러나 환자 중심의 병원 환경과 돌봄 문화라는 국내 입원환경의 특수성에서 가족보호자에 대한 관리는 소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스피스환자 가족보호자의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소재 의료원 산하 4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의 가족보호자 101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2015년 9월 2일부터 2016년 3월 25일까지 시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tool for cancer-caregivers (CNAT-C)와 돌봄 부담감 도구를 입원한 호스피스환자 가족보호자에 맞게 수정하여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Tukey HSD 사후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미충족 요구 평균은 64.77±25.19점(가능한 점수의 범위: 0~120점)이었다. 미충족 요구의 하부영역은 의료진 관련 요구(2.00±.87), 정보∙교육적 요구(1.80±.78), 병원시설∙서비스 요구(1.68±.79), 사회적지지 요구(1.61±.72), 건강관리∙심리적 요구(1.32±.85), 가족∙사회적 관계 요구(1.23±.83), 종교∙영적 요구(1.05±.86)순이었다. 대상자의 돌봄 부담감 평균은 74.51±13.65점(가능한 점수의 범위: 25~125점)이였다. 2. 미충족 요구는 월 평균 의료비에 따라 300만원 이상인 그룹이 300만원 미만인 그룹보다 높았다. 돌봄 부담감은 다른 돌봄 제공자가 없을 경우 돌봄 부담감이 높았다. 3.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충족 요구의 하부영역 중 건강관리∙심리적 요구, 가족∙사회적 관계 요구, 정보∙교육적 요구, 종교∙영적 요구, 사회적지지 요구는 돌봄 부담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호스피스환자 가족보호자의 미충족 요구가 높을수록 돌봄 부담감이 높았고 미충족 요구의 일부 하부영역과 돌봄 부담감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호스피스환자 가족보호자가 경험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을 경감시키기 위해 돌봄 부담감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던 건강관리∙심리적 요구, 가족∙사회적 관계 요구, 정보∙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초록 (Abstract)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unmet needs and caregiver burden of the family caregivers with hospice patient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01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residing in four hospices f...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unmet needs and caregiver burden of the family caregivers with hospice patient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01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residing in four hospices from 4 medical center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nd 2015 to March 25th 2016.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ed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Tool for Cancer Caregivers (CNAT-C), a caregiver burden assessment tool. CNAT-C was modified to fit the research purpose to be suitable for use with family members of hospice pati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Specificall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Tukey’s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study participants’ mean score for unmet needs was 64.77±25.19, the mean score for caregiver burden was 74.51±13.65. Of the mean score of the sub-categories in the unmet needs, the needs for the health care staff was the highest (2.00±.87), followed by information needs (1.80±.78), hospital facilities and services (1.68±.79), practical support (1.61±.72), health care and psychological needs (1.32±.85),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 needs (1.23±.83), and religious and spiritual needs (1.05±.86). 2. For unmet needs differed significantly for average monthly medical costs (F = 9.834, p < .001). For caregiver burde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there were other caregivers (t = –3.277, p < .001). 3. Unmet needs and caregiver burden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r = .414, p < .001) Among these sub-categories of unmet needs, heath care and psychological needs (r=.515, p<.001),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 needs (r=.539, p<.001), information needs (r=.269, p=.007), religious and spiritual needs (r=.217, p=.029), and practical support needs (r=.466, p<.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the burden of caregiver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nmet needs and caregiver burden for family members of hospice patients. Therefore, the unmet needs and caregiver burden of family members functioning in the hospital environment should be assessed, and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customized nursing intervention.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1
  • B. 연구의 목적 5
  • C. 용어정의 6
  • Ⅱ. 문헌고찰 8
  • A. 호스피스환자 가족보호자의 미충족 요구 8
  • B. 호스피스환자 가족보호자의 돌봄 부담감 12
  • Ⅲ. 연구방법 14
  • A. 연구설계 14
  • B. 연구대상 14
  • C. 연구도구 16
  • D.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18
  • E. 자료 분석 방법 19
  •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19
  • G. 연구의 제한점 20
  •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1
  •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 B. 대상자의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24
  • C.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의 차이 27
  • D.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간의 상관관계 33
  • Ⅴ. 결론 및 제언 37
  • A. 결론 37
  • B. 제언 40
  • 참고문헌 41
  • 부록- 1. IRB 승인 통지서 53
  • 부록- 2. 연구 참가자 설명문 및 동의서 54
  • 부록- 3. 설문지 56
  • ABSTRACT 6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028 9 보건의료 의약품 거래규제에 관한 일고찰 / 이종인, 이승신 2012  145
3027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와 유언능력의 판단/김현진 2017  145
3026 9 보건의료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바이오의약품 적용여부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2  145
3025 16 환경 비영리단체 돌봄사업의 가능성과 한계 : YWCA 돌봄사업구조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 구정혜 2017  145
3024 9 보건의료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노인환자의 의료이용량 / 이용재 2017  145
3023 9 보건의료 예외적 보건 위기와 위기 상황의 차단 - 프랑스 감염병 관리 및 위기 대응 체계를 중심으로/ 박혜미, 김대중 2017  145
3022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임상시험에서 주평가변수가 이분형인 경우 평가방법 비교 : Risk Difference와 Risk Ratio / 길하영 2018  145
3021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연구 / 박미정 2018  145
3020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국가자살예방전략에 따른 뉴욕주 자살예방정책 / 손해인 2018  145
301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죽음인식, 생의 의미 및 죽음에 대한 태도 / 강경아 외 2010  145
3018 9 보건의료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된 의료인의 의료행위 규제 / 박창범 2018  145
3017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보 관리자의 데이터 분석 능력 향상을 위한 색인 검색 프로그램 활용 방안 / 최준영 2018  145
3016 18 인체실험 우리나라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현황 / 김옥주 2002  146
3015 15 유전학 위암 조직에서 p53과 K-ras 유전자 돌연변이와 Helicobacter pylori감염과 IL-1B 유전자 다형성 사이의 관련성 연구 / 2005  146
3014 9 보건의료 희귀 의약품의 현재 상황과 발전 방향 / 손영배 2013  146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의 가족보호자가 지각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 이지현 2016  146
3012 19 장기 조직 이식 인공지지체를 이용한 생체 인공 간 이식의 신생혈관형성 가능성 / 이재근 2015  146
3011 1 윤리학 임의후견에서 본인의 자기결정권과 법원의 감독 / 김수정 2017  146
301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등결정에 관한 몇 가지 쟁점 - 헌법적 근거, 범위, 환자의 의사확인을 중심으로 - / 박승호 2018  146
300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위험책임의 역할과 한계-인공지능 로봇에 의해 발생한 손해의 책임귀속을 고려하여 / 서종희 2018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