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17497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기타서명

    A comparative study on technology transfer guidelines for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 저자

    진장한                                       

  • 형태사항

    11, 58 p. : 삽화, 표 ; 30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정규혁
    참고문헌 : p. 54-5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2016.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소장기관

    •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의약품제조 기술이전과 관련하여 FDA에서‘Guidance for industry process validation: General, 2011’을 발간하면서 ‘공정 디자인 단계부터 상업 생산에 이르기까지 공정이 지속적으로 양질의 제품을 제...
  • 의약품제조 기술이전과 관련하여 FDA에서‘Guidance for industry process validation: General, 2011’을 발간하면서 ‘공정 디자인 단계부터 상업 생산에 이르기까지 공정이 지속적으로 양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과학적인 증거를 확립할 수 있도록 자료를 수집하고 평가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초기에 공정 디자인 단계에서 의도했던 의약품의 품질을 상업 생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그 이유는 전임상에서 임상을 거쳐 상업화에 이르기까지 제조단위의 증대와 함께 많은 변경을 수반하게 되는데, 이는 의약품의 품질에 있어서 잠재적인 큰 위험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약품 개발 단계 별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시판되는 의약품의 품질은 보증할 수 없다.
    이처럼 의약품의 제조 기술 이전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전무하다. 본 연구는 제약 선진국들의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 연구를 통해서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에 대한 절차를 이해하고 관련 활동들을 파악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문서화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ISPE, WHO, NIHS에서 발행한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첫째,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의 절차를 비교하였다. 둘째,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절차에 따른 각 가이드라인의 세부적인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ISPE의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의 절차는 위험 관리에 대한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 가이드라인보다는 최신의 품질 패러다임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SPE의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의 절차는 기술이전 팀 구성, 차터 개발, 지식의 통합, 기술이전 동의, 위험 분석, 기술이전 계획, 기술이전 실행, 적격성 평가, 기술이전 완료 및 검토로 총 9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의 결과에서 기술이전의 각 단계에 맞추어 ISPE, WHO, NIHS의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의 세부적인 내용을 재구성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각 단계별로 필요한 활동들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요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기술이전 각 단계 별로 준비해야 할 관련 문서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그 동안 내수 시장을 목표로 해왔던 국내 제약 기업들은 기술이전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한 경험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술이전 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비용적, 시간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글로벌 진출을 위해서 체계적인 기술이전 활동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국내의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의 제정의 토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해외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국내의 제약 기업들은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지원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배경 1
  • 제2절 연구 목적 4
  •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 연구 검토 5
  • 제1절 이론적 고찰 5
  • 1.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5
  • 2. 제조 기술 이전 측면의 제약 품질 시스템 요소 6
  • 3. 지식 관리 7
  • 4. 품질 위험 관리 7
  • 제2절 선행 연구 8
  • 제3절 사례 조사 10
  • 제3장 연구 방법 13
  • 제1절 연구 내용 13
  • 1. 제조 기술 이전 절차 비교를 통한 비교 분석 항목 도출 13
  • 2. 제조 기술 이전 절차에 따른 기관 별 가이드라인 비교 분석 13
  • 3. 제조 기술 이전 단계 별 필요 활동 정리 14
  • 제2절 자료수집 방법 15
  • 제4장 연구 결과 17
  • 제1절 제조 기술 이전 프로세스의 비교 17
  • 제2절 기술 이전 프로세스에 따른 세부 내용 비교 분석 20
  • 1. 기술 이전 팀 구성에 관한 비교 20
  • 2. 차터 개발에 관한 비교 23
  • 3. 지식의 통합에 관한 비교 분석 25
  • 4. 기술 이전 동의에 관한 비교 분석 29
  • 5. 위험 분석에 관한 비교 31
  • 6. 기술 이전 계획에 관한 비교 34
  • 7. 기술 이전 실행에 관한 비교 36
  • 8. 적격성 평가에 관한 비교 39
  • 9. 기술 이전 완료 및 검토 41
  • 제3절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주요 활동 46
  • 제5장 결론 및 고찰 49
  • 제1절 결론 및 고찰 49
  •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의의 53
  • 참고자료 및 문헌 54
  • ABSTRACT 5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505
2528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하에서 생물유전자원 이용의 최적계약 연구 / 박호정 2017  54
2527 15 유전학 생물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의 공유 / 류병운 2017  70
2526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76
2525 18 인체실험 단일 병원에서 시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용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보고율 조사 / 조상헌 2007  100
2524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208
2523 18 인체실험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전정우 2009  12082
2522 18 인체실험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적규제 중심으로 / 이예리 2014  124
2521 9 보건의료 의약품 사용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 허정선 2009  447
2520 9 보건의료 의약품 착색제 관련 규정 및 정보방 구축에 관한 비교 연구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이기봉 2015  292
2519 9 보건의료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허가심사제도에 관한 고찰 / 송태은 2009  4475
»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2283
2517 9 보건의료 의약품 품질보증 시스템에서 Quality by Design 적용 / 이혜민 2014  521
2516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김미라 2010  67
2515 20 죽음과 죽어감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서의 본당 공동체의 역할 / 이종경 2002  167
251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임봉자 2008  5303
251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권구선 2012  310
2512 20 죽음과 죽어감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최성은 2005  925
251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 통고 경험 / 강희정 2016  198
2510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ㆍ보호자와 의료인들의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 연구 / 심규미 2000  76
250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의 가족보호자가 지각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 이지현 2016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