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2017.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49140 

국민건강증진기금 활용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 저자

    이미선

  • 형태사항

    ⅷ, 46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윤석준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2017.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주제어

    국민건강증진기금


  • 초록 (Abstract)
    • 목적 : 본 연구는 국민건강증진기금 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기존 선행연구를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민건강증진기금 활용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하여 전문가들의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업 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향후 중장기 발전방향 수립을 위한 정책적 근거자료로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 지난 10년(2007~2016) 간의 국민건강증진기금 사업 수행 현황과 기존 문헌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한 후 국민건강증진기금의 사업 간 우선순위를 분류하고 예산 배분 원칙을 수립하기 위하여 국내 기금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항목은 사업 간 상대적 중요도를 추출하기 위하여 AHP 분석 기법을 통해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설문조사 항목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보건복지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및 기존 진행되었던 연구의 설문지 등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결과 : 건강증진사업 상위요인의 상대적 우선순위는 ‘보건의료분야’, ‘건강보험재정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분야 하위요인의 우선순위는 ‘공공보건의료확충’, ‘취약계층 지원’, ‘보육·가족 및 여성’, ‘보건의료부문’, ‘노인 등’, ‘사회복지일반’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가 측정되었다. 보건의료부문의 세부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는 ‘질병예방관리’, ‘취약계층 의료비지원’, ‘정신질환관리’, ‘국민건강생활실천(금연이외)’, ‘금연지원사업’, ‘보건의료R&D 및 보건산업육성’ 순으로 측정되었다. 기금 예산배분을 위한 상대적 우선순위는 ‘지원타당성’, ‘시의성/긴급성’, ‘사업성과’, ‘정합성’ 순으로 나타났다. 기금의 중장기 활용을 위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현재 기금 운용 관련 가장 시급한 문제는 기금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사업의 수행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증진사업은 전체 기금 예산의 50% 내외로 편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또한 건강증진기금에서 건강보험재정을 지원하는 것에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81.8%이상으로 나타났다. 향후 건강증진사업과 관련하여 우선 진행해야하는 분야는 건강에 위해를 주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사전적으로 조기에 예방하는 사업으로 나타났다. 결론 : 국민건강증진기금은 재원의 한계에 의하여 제약을 받으므로 재원의 범위 내에서 사회적인 후생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출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책결정자는 한정된 기금 예산의 범위 내에서 객관적이고 보편타당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사업을 편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국민건강증진기금의 재원이 흡연자의 담배 소비를 통한 재원조달의 제한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설탕세, 주세 등 재원의 다양화를 통한 기금 확충 및 안정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2015  255
1927 2 생명윤리 사회행동과학연구의 특성에 따른 심의 / 김시형 2016  255
192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5
1925 1 윤리학 과학기술에 관한 윤리적 규범 모색을 위한 철학적 사회학적 신학적 관점에서의 융합적 연구 / 이창호 2018  255
192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5
192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과 관련하여 / 손수지 2012  256
1922 22 동물복지 ‘바이오레인(BIOREIN)’ - 실험동물자원 개발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구상 / 황수진 2015  256
1921 18 인체실험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의 국내외 연구동향 고찰 / 임제연 2010  256
1920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보건·생명과학 연구 제도 혁신의 산물 / 성경모 2015  256
191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 2015년 한국복지패널조사를 이용하여 / 김지혜 외 2018  256
1918 9 보건의료 사회경제적 특성 및 유병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 / 이고은 외 2018  256
191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의 지연사유와 그 개선방안 : 서울지방법원 의료전담부 판례 중심 / 신헌준 2004  257
1916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과 공학윤리/김유신, 성경수 2004  257
1915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상 발생 가능한 분쟁의 해결 및 대응방안 - WTO 분쟁해결절차에 제소 가능한 분쟁을 중심으로 -/손지영 2014  257
1914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지용수 2016  257
1913 9 보건의료 생활화학물질 노출에 따른 국민건강 문제에 대한 보건학적 고찰 2017  257
1912 20 죽음과 죽어감 소아완화의료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종사자의 인식 / 문이지 외 2019  257
1911 15 유전학 한국 의료제도와 유전상담 서비스의 구축 / 김현주 2011  258
1910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 보험약가결정: 문제점과 시사점 / 권혜영 2010  258
1909 17 신경과학 광유전자를 이용한 새로운 파킨슨병 동물모델의 개발 / 박은석 2017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