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가천대학교 대학원 : 보건학과 2017. 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79367 

만성질환자의 일차의료 치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 저자

    한진옥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임준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가천대학교 대학원 : 보건학과 2017. 2

  • 발행국

    인천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주제어

    응급실 방문만성질환치료지속성일차의료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메디컬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의학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노인 인구와 만성질환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만성질환에 있어 치료지속성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만성질환자의 치료지속성은 만성질환자의 건강결과, 의료이용 측면에 영향을 미치며, 응급실 방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세계적으로 응급실 과밀화(overcrowding)는 응급의료체계의 주된 문제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는 환자의 적절한 처치를 지연시키고, 응급실 재원 시간을 늘리는 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의료비 상승을 야기하는 등 의료전달체계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만성질환과 노인인구의 증가로 응급실 이용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용치료원 보유와 응급실 방문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 검진자료에 대한 표본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응급실 방문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만성질환자에 있어 의료기관별 진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2013년 한국의료패널조사에 응답한 전체 대상자 중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20세 이상의 응답자 총 7,458명을 대상으로 상용치료원의 종류와 응급실 다방문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2008~2013년까지 총 5개년도의 표본코호트 DB를 이용하여 30세에서 65세 미만을 대상으로 응급실 방문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2009년 고혈압 혹은 당뇨병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2010년의 외래 진료지속성이 2013년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전 응급실 방문 경험이 없는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첫 번째 응급실 방문 이후 일차의료기관의 방문횟수가 이후 응급실을 방문하기까지의 기간과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보건소나 의원을 상용치료원으로 가지는 경우에 비하여 병원을 상용치료원으로 가질 경우 응급실을 자주 방문할 가능성이 1.341배, 종합/대학병원을 상용치료원으로 가질 경우 응급실을 자주 방문할 가능성이 1.65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를 활용한 연구 결과, 2009년에 고혈압을 가지고 있을 경우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2013년에 응급실을 방문할 가능성이 1.311배, 당뇨병을 가지고 있을 경우는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1.193배 높았다. 또한 2009년 암성질환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2013년 응급실을 방문할 가능성이 1.50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의원급 의료기관과 병원급 의료기관에서의 진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의원급에서의 진료지속성을 가지는 경우에 비하여 병원급 진료지속성을 가지는 경우 응급실을 방문할 가능성이 1.487배 높았고, 진료지속성이 없는 고혈압 환자의 경우 응급실을 방문할 가능성이 1.413배 높았다. 당뇨병의 경우에도 의원급 진료지속성을 가지는 경우에 비하여 병원급 진료지속성을 가지는 경우 1.752배 응급실을 방문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448 14 재생산 기술 난자 및 배아성숙이 시험관아기시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 / 이여일 1997  199
2447 12 낙태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이은영 2010  199
244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적교육 방향 / 김영학 2016  199
2445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보건의료정책 평가 / 백은혜 2017  199
2444 4 보건의료 철학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김동진 외 2016  199
2443 9 보건의료 의료관광 서비스접점별 품질평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 관계 연구 / 김혜영 2018  199
2442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윤리교육 요구 / 신자현 2013  199
2441 13 인구 초기 미국 영화로 보는 우생학과 산아제한운동 / 김효정 2018  199
2440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의 의료과오소송 제도에 관한 고찰 / 이승현 2018  199
2439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 트랜지션 의료의 건강보험 보장에 대한 소고 / 박한희 2018  199
2438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 상태와 사전의료지시에 관한 연구 / 편혜준 2012  200
2437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2010  200
2436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활성화 방안 연구 / 주지은 2016  200
2435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필요한 통계방법들에 대한 고찰 / 강승호 2012  200
2434 9 보건의료 신약 접근성 개선 정책이 등재율 및 등재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김은숙 2017  200
»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의 일차의료 치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2017  200
2432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200
2431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남주 2019  200
2430 1 윤리학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 김병수 2011  201
2429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의 재산권성에 관한 의료법학적 연구 / 이웅희 2009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