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3
발행년 : 200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49120 

제대혈관리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The Private Plan on Management of Umbilical Cord Blood

 


  • 저자명

    이영호 ,송영민

  • 학술지명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

    Vol.13 No.1 [2005]

  • 발행처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1-62(2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5년

  • KDC

    517

  •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 KCI 피인용횟수

    2

  • 주제어

    informed consent ,umbilical cord blood ,umbilical cord blood bank ,hemopoietic progenitor cell ,bone marrow transplantation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If the law on management of umbilical cord blood is made, there are several substantial profits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medical providers, ① medical acts would be performed with an easy mind through arranging the legal grounds on use of umbilical cord blood. Thus the medical studies using umbilical cord blood would be accelerated. Moreover, because of being practicable to interchange the information between umbilical cord blood banks, medical service of good quality would be able to serve. ② It would be grounds on being possible over the international use of umbilical cord blood through arranging the legal grounds on taking umbilical cord blood in and out from overseas. Besides, the economic loss would be removed through legalizing umbilical cord blood bank formed of a business corporation and prohibiting bombastic advertisement between umbilical cord blood banks. Secondly, in the aspect of medical recipients, ① owing to being applicable of principle of explanation and informed consent on gathering, storage and supply of umbilical cord blood, the right to decide themselves of the patients would be established, and it would playa role to prevent against medical strife it may happen. Besides, distrust on quality preservation of umbilical cord blood bank could be dissolved through being possible of legal order over custody agency of umbilical cord blood. ② Medical services would be served much better through arranging the grounds on reciprocal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interchange of umbilical cord blood bank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3 9 보건의료 의료행위 개념의 법제화 시론 / 박정연 2018  55
22 9 보건의료 의료법학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8  61
21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 정순형 2019  65
»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이영호, 송영민 2005  84
19 1 윤리학 의료에 있어서의 윤리와 법 / 주호노, 배현아 2009  117
18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2017  121
17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16 7 의료사회학 의사의 법적 의무에 대한 지식도 및 의료법 교육 필요성에 대한 태도 / 김소연 2003  213
15 9 보건의료 응급환자의 법적 정의와 해당성 판단 / 배현아 2009  218
14 1 윤리학 생명의료의 발전에 따른 민사책임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2  223
13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치료제의 해외시술에 대한 형사적 책임성부 검토 / 류동훈 2015  260
12 9 보건의료 ‘기본법’으로서의 보건의료기본법 : 제정구상, 체계적 지위 그리고 기능적 한계 / 박지용 2014  261
11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2015년 사태와 관련된 의료법령의 분석과 입법론 - 「의료법」 및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쟁점 조항을 중심으로 -/김천수 2015  264
10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의 개설과 부당청구에 대한 규제에 관한 소고 / 백경희 외 2015  277
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의료법적 연구 / 이승희 2008  328
8 9 보건의료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의 타당성 고찰 : 합헌성에 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이산해 2014  337
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의위원회(IRB)의 기능과 법적 책임 / 김기영 2012  375
6 1 윤리학 한국 의료법체계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 / 박형욱 2001  401
5 9 보건의료 의료법 위반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다91262 판결, 2015. 5. 14. 선고 2012다72384 판결을 중심으로 -/이동필 2015  472
4 9 보건의료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 조재현 2015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