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광고홍보학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94077 

병행과정 확장 모델을 적용한 메르스 예방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 An Application of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to Protective Behavioral Intention against the MERS : Examining the Moderated Effect of Subjective Knowledge and Trust in the Government


저자유성신(Sungshin You),박현선(Hyunsun Park),진범섭(Bumsub Jin)
학술지명한국광고홍보학보(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권호사항Vol.18No.2[2016]

발행처한국광고홍보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237-273
언어Korean
발행년도2016
주제어병행과정 확장 모델,주관적 지식,정부 신뢰,메르스,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subjective knowledge,trust in government,MERS,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초록본 연구는 메르스 예방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토하고자 병행과정 확장모델(EPPM)의 네 가지 변인에 개인적 특성 변인인 ‘주관적 지식’과 ‘정부에 대한 신뢰’ 변인을 추가하여 설문 조사(N = 206)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병행과정 확장 모델(EPPM)의 변인인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심각성’, ‘자기 효능감’, ‘반응 효능감’이 메르스 예방 행위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메르스에 대한 주관적 지식이 예방 행동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병행과정 확장 모델(EPPM) 변인과 개인적 변인인 주관적 지식의 상호작용 결과, ‘반응효능감’과 ‘주관적 지식’이 상호작용을 통해 예방 행동 의도에 대해 조절 효과를 보여 주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관적 지식수준과 반응 효능감이 높을 때 메르스 예방 행위 의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정부에 대한 신뢰’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ritical variable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o protect against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These variables include 1) self- and response efficacy,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of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EPPM), 2) subjective knowledge and trust in the government as individual factors, and 3) demographics. The study asked 206 (N=206) adults to respond to a survey that used convenience sampling in Daejeon Cit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protective behavioral intention against the MERS would be more likely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high levels of self- and response efficacy,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and subjective knowledge. Moreover, the interaction between response efficacy and subjective knowledg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the behavioral intention. Specifically, when subjective knowledge and response efficacy were highly perceived, the behavioral intention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However, the significant moderated effect of trust in the government did not occur.
목차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6.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3188 1 윤리학 몸의 성서신학적 이해/백운철 2016  323
3187 15 유전학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나고야 의정서의 법·정책적 대응·과제/김세규 2013  323
3186 9 보건의료 유교의 관점에서 본 노년의 사회적 의미와 양로의 정치학적 함의 / 홍성민 2014  323
3185 9 보건의료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 배현아 2009  323
» 9 보건의료 병행과정 확장 모델을 적용한 메르스 예방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 유성신 2016  322
3183 12 낙태 독일과 한국에서의 낙태의 규범적 평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김학태 2010  322
318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의 함의 / 원동규, 이상필 2016  322
3181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2013  322
3180 1 윤리학 생명윤리 문제들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소고 : 본회퍼의 『윤리학(Ethik)』을 중심으로 / 전은강 2016  322
3179 1 윤리학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고현범 2014  322
317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실무상 감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 한 의료소송전문 법률사무소의 최근 10년간 사례를 중심으로 / 진수현 2008  322
317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2008  322
3176 15 유전학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검사의 정당성 구조와 법정책 / 김나경 2018  321
317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를 이용한 의료사고에 대한 원인분석 및 맵개발에 대한 연구 / 김선녀 2018  321
317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 다층효과 연구 : 자살생각·우울을 중심으로 / 김은주 , 육성필 2017  321
3173 5 과학 기술 사회 트랜스 휴머니즘과 인간 양식의 변화에 나타난 윤리적 문제들 - 인공지능시대에 삶의 미정성과 유한성이 주는 가치 / 김광연 2017  321
317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병동 말기 암 환자 및 내과의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인식 2009  321
3171 17 신경과학 나바에즈의 신경도덕교육 이론에 대한 평가 / 추병완 2016  321
3170 9 보건의료 특별법상 허위.과장광고 및 표시에 관한 형사처벌 조항에 대한 검토 -보건의료 및 생명공학분야를 중심으로- /심영주 2014  321
3169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중심으로/권성애, 박용순, 석말숙 2015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