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과학기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61517 


2015년 메르스 사태의 사회의료학적 조명 = A Reflection on Korean MERS Crisis in 2015 : Socio-Medical Approach

저자김문조(Kim, MunCho)
학술지명과학기술학연구
권호사항Vol.16No.1[2016]

발행처한국과학기술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5-22
언어Korean
발행년도2016
주제어메르스,의료,재해,공포,사회의료학,한국,MERS,medical,disaster,panic,social medicine,Korea
초록높은 감염성과 치사율을 지닌 급성 호흡기 질환 메르스는 2015년 5월 국내에 잠입한 후 218일 간 186명의 감염자를 산출하면서 전국적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다행히 7개월 후 감염자가 끊기자 12월 24일 메르스 종식이 선언되었지만, 메르스 사태는 우리 의료계나 사회 전반에 맹성하고 혁신해야 많은 과제를 남겼다. 본 논문은 (1) 2015년 5월 20일부터 12월까지의 국내에서 벌어진 메르스 사태에 대한 간략한 복기로부터 시작해, (2) 해당 사태를 단순한 역학적(疫學的) 차원을 넘어선 범사회적 재해로 재해석하고, (3) 메르스가 우리 사회에 그토록 큰 파문을 초래했던 이유와 향후 실천과제를 사회의료학적 관점에서 탐지한 후, (4) 사회의료학의 비전과 전망에 관한 소견으로 끝을 맺고자 한다.
초록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an acute and infectious viral disease with high fatality sneaked in South Korea in May 2016. Although MERS is officially declared to be exterminated in Korea by the date of December 24, it aroused a great panic throughout the country and remained many tasks requiring sincere deliberations and innovative actions. This study starts to summarize all that had been happening during first 7 months since last May, reconsider the whole process in light of disaster paradigm, analyze the causes and tasks of such turmoil under the framework of social medicine. It is wrapped up with the visions and prospect of the social medicin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at takes into account the expert knowledge of academia, administrative knowledge of government, media knowledge from traditional/new media and lay knowledge of civil society.
목차1. 경과

2. 상시적 재해로서의 메르스

3. 메르스 사태의 사회의료학적 이해

4. 맺음말: 사회의료학의 비전과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3 연구윤리 연구의 성과와 연구윤리/ 정재우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의료기술평가의 역할 / 이영성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의한 농촌 환경 의료 관심 트랜드 분석 /황상원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12 낙태 여성을 힘들게 하는 건 낙태가 아니라, ‘낙태죄’다 / 윤정원, 홍정훈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10 성/젠더 베트남여성과 북한여성의 섹슈얼리티 변화 / 권금상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 정책환경의 국제 동향과 의료기술평가에 대한 시사점 / 최솔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우리나라의 건강정보이해력 연구동향과 정책과제 / 이 민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1 윤리학 정신적으로 제약이 있는 자의 자기 결정권 보호를 위한 법제 / 배현아

발행년 2013 

  • 조회 수 70

14 재생산 기술 인체유래물질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양윤선

발행년 2009 

  • 조회 수 70

15 유전학 생명공학의 사회적 차원들 / 김동광

발행년 2004 

  • 조회 수 70

9 보건의료 환자만족도 제고와 일차의료 기관 활성화를 위한 의료전달체계 적정화 연구 / 오동일

발행년 2016 

  • 조회 수 70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생명연장의 전제조건 / 이동식

발행년 2000 

  • 조회 수 70

18 인체실험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인권침해 요소에 관한 법적 고찰 /차유경, 모효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70

9 보건의료 정밀의료와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서비스의 혁신 패러다임 / 김종원

발행년 2017 

  • 조회 수 7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70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삶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상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70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후 출산한 쌍태아의 임상적 고잘 / 한명석 외

발행년 2007 

  • 조회 수 70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서 나타나는 인간존엄의 보편성과 특수성 / 최민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70

9 보건의료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비식별 조치 현안 및 향후 과제에 관한 연구 - 보건의료분야를 중심으로 / 김순석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70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정체성에 관한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의 체현으로서의 사이보그 : 다다 뉴맨에서 동시대의 혼성신체까지 / 최정은

발행년 2015 

  • 조회 수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