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행정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53247 

의료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 Usages of Medical Information and Privacy Protection - Focus on HIPPA and HITECH -


저자김재선(Kim, Jae Sun)
학술지명행정법연구
권호사항Vol.-No.44[2016]

발행처행정법이론실무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269-290
언어Korean
발행년도2016
주제어의료정보,진료정보,개인정보,의료프라이버시법,의료정보기술법,Medical Information,Treatment Information,Personal Information,HIPPA,HITECH
초록본 연구는 의료정보의 유형을 작성주체, 내용, 개인 식별여부로 분류하면서 의료정보의 특수성을 고찰하고 입법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의료정보의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구체화한 비교법적 사례로 미국의 의료프라이버시법(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이하 HIPPA), 의료정보기술법(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for Economic and Clinical Health Act, 이하 HITECH)이 논의된다. HIPPA는 1996년 의료기관에서 의료 보험사측에 정확한 의료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정되었으나 입법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 측면이 더욱 강화되어 이후 의료정보에 관한 기본법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동법은 치료목적의 정보 활용은 인정하지만 치료목적이 없는 경우의 보호의료정보(Protected Health Information, 이하 PHI)에 대해서는 예외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한 활용할 수 없다고 규정하였다. 한편, 2009년 도입된 HITECH는 미국 정부가 의료보험 개혁법(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이하 PPACA)를 추진하면서 의료행정의 효율화 정책의 한 방안으로 도입되었다. 동법은 특히 의료정보의 의미있는 활용(“Meaningful Use”)을 강조하면서 전자진료정보의 활용을 강조하였다. 두 법은 의료정보의 활용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즉, 보다 투명한 정보관리시스템을 마련하여 이해관계인의 신뢰를 확보하며, PHI는 보호하고 필요한 정보의 활용은 촉진하는 효과를 가진다고 평가된다. 미국 연방법원에서는 아직까지 HIPPA, HITECH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판결을 내리지 않았으나 각 주법원에서는 계약관계, 개별 주법상의 의료 불법행위법을 우선 적용하되 HIPPA, HITECH를 개별적 판단근거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의료정보에 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된다면 의료정보에 관한 분류를 보다 명확히하고, 목적에 따라 정보 활용의 범위를 분류하며, 보험사(국가, 민간)에 대해서도 의료정보 보호 책임을 강화하고, 신뢰를 강화하기 위한 투명한 정보관리 체계를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록Medical information is generally considered more sensitive and significant than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because it is collected, analyzed, and used while the patient is medically treated. Therefore, the specific standards are required to set the limitations on the usages of the information.

  This research tried to classify the med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llectors, contents, and identifiabilities of the owner, and reviewed it under the characters of the information. As a comparative study from the Korea legal system, I tried to study two laws enacted in 1996 and 2009. They are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which is called HIPPA, and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for Economic and Clinical Health Act, which is called HITECH. Both acts are significant as they suggest specific standards in the use of the medical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may be used easily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and research; Medical information should not be disclosed willfully without the exceptions including the court order; (Electronic) systems, which let the interesting parties understand better about the limitations, needs to be established.

  Based on these researches, I would like to suggest following points for the legislation: clear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medical information, clear limitations regarding the usages of the medical information, the same responsibility between the third parties(i.e. medical insurance company), and transparent system on the treatment of the medical information.
목차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의료정보의 법적 성격 고찰

Ⅲ. 미국 의료정보에 관한 두 가지 법률

Ⅳ. 미국 법원의 주요판결

Ⅴ. 나오며 :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68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하여 / 정재우 2009  250
2687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 혈액암 환자의 간호요구도 / 김은자 2018  249
2686 15 유전학 유전자활용에 따른 형사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 범죄수사를 위한 유전자채취와 활용에 대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 임석원 2014  249
2685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진교훈 2017  249
2684 15 유전학 한국에서의 유전성 대사 질환에 대한 탄뎀 매스 검사의 경제성 분석 / 류형옥 2007  249
2683 1 윤리학 보호의무에 관한 소고 / 원종욱 2016  249
2682 2 생명윤리 일 대학생의 성의식과 생명윤리의식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권수빈 외 2016  249
2681 5 과학 기술 사회 유럽연합에서의 생명공학 발명의 법적 보호/강준모 2013  249
268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고통의 의미와 의사의 바람직한 대응 및 태도 / 유호종 2014  249
267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죽음불안 및 죽음준비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김명회 2018  248
2678 20 죽음과 죽어감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덕과 인 함의:『논어』를 중심으로 / 손보미 2017  248
267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2676 9 보건의료 유령수술행위의 형사책임 - 미용성형수술을 중심으로 -/황만성 2015  248
2675 8 환자 의사 관계 노인 암 환자에서 공유의사결정 인식정도와 수술의사결정 갈등 요인 / 윤영신, 김명희, 박정하 2014  248
2674 20 죽음과 죽어감 어린이를 위한 죽음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 박시내 2011  247
267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AI시대의 법적 과제와 전망/김승래 2018  247
2672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특허에 있어서 인권 문제 / 박성호 2008  247
267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헌법이론적 논의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2010  247
2670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명윤리에서 본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연구 2017  247
2669 14 재생산 기술 인도의 상업적 대리모 연구 / 허라금 2015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