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20713 


 일차 의료 기관에서의 체계적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효과 및 임상적 유용성


저자김이형, 유광하, 염호기, 박용범, 이진국, 김덕겸, 윤형규, 박이내, 정재우, 류연주, 김영삼, 김태형, 이성순, 박주헌, 김은경, 황용일, 정성수, 이기만, 최강현, 신경철, 김기욱, 김현국, 엄수정, 박성주, 임성철, 김상하, 김우진, 이재천
학술지명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권호사항Vol.120No.-[2015]

발행처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195-195
언어Korean
발행년도2015
초록목적: 개인병원을 방문하는 천식환자에게 체계화된 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총 3 회 (첫 방문 시, 2주 차, 4주 차)에 걸쳐 동영상이 포함된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동반질환, 기 사용 흡입제 종류, 과거 교육 경험 정도(2문항), 천식 조절 점수(5문항), 질환에 대한 이해와 흡입제 사용(6문항), 교육 만족도(3문항). 결과: 28개의 개인병원, 144명의 환자가 등록되었다. 평균 나이는 56.7세로 59%가 여성이었다. 각각 1.7±1.1 과 1.96±1.2회/년의 질환 교육과 흡입제 사용에 대한 교육을 받았고, 교육 전 천식 조절 점수는 16.58±4.6점이었으며 20점 이상의 환자는 45명(33.3%)에 불과하였다. 체계적 교육을 통해 질환에 대한 이해와 흡입제 사용에 대한 조사에서 6개 문항 모두에서 1점 이상의 개선이 확인되었다 (p<0.001). 천식조절 점수는 16.58±4.6에서 19.99±3.9로 호전되었고 (p<0.001), 20점 이상의 환자도 93명(65.3%)로 증가하였다 (p<0.001). 이는 성별, 나이, 동반질환의 수, 흡입제의 종류, 과거 교육 횟수와 관계가 없었다. 교육 이후에 전체 환자의 95.8%(138/144)가 체계적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였고, 81.9%(118/144)가 교육에 대한 추가 비용의 지불 의사가 있었다. 결론: 체계적 천식 교육은 질환에 대한 이해도, 흡입제의 필요성과 사용법의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천식 조절 정도를 호전시켰다. 이는 추가비용 지불 의사와 더불어 체계적인 교육이 의료 급여 항목으로 인정 받을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428 9 보건의료 새 정부에 바라는 보건의료와 건강정책 / 우석균 2017  56
442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 추정: 말기암환자를 중심으로 / 박수경 2017  56
4426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연상시키는 기부 캠페인의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 김재휘 외 2015  56
4425 9 보건의료 한국노년학의 보건ㆍ의료ㆍ건강영역 연구동향 / 김현숙 외 2018  56
4424 8 환자 의사 관계 정부 지원 환자안전 연구의 타당성 검토 / 이 원 외 2018  56
4423 2 생명윤리 인체 유래물 사용 연구와 생명윤리법 / 김용진 2018  57
4422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Open Borders and the Ethics of US Alien Vaccination Law 2015  57
4421 19 장기 조직 이식 Cognitive Development and Pediatric Consent to Organ Donation 2004  57
4420 15 유전학 유전질환 등록 시스템 운영 및 유전자 정보 Database 구축 / 정성철 1999  57
441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피험자와 자기결정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기영 2010  57
441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권헌영, 윤상필, 전승재 2017  57
4417 13 인구 저출산과 교육시설 / 윤천근 2016  57
4416 9 보건의료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이 의료비에 미친 영향: 본인부담금을 중심으로 / 김관옥 2017  57
4415 15 유전학 Genome Editing of Causative Gene for the Congenital Hearing Loss by CRISPR/Cas9 /류나리 2017  57
4414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 체험 / 이윤정 외 2009  57
4413 1 윤리학 일본형법상 성범죄 관련 규정의 개정내용 검토 -개정경과 과정을 중심으로- / 홍태석 2018  57
4412 5 과학 기술 사회 국가 차원의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개인정보 관련 정책의 개선안 고찰 / 신지윤 외 2018  57
4411 9 보건의료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의 사후관리 사업 동의의 결과와 동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연구 / 김호중 외 2018  57
4410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 적용 의료기기의 허가심사 방안 / 손승호 외 2018  57
4409 9 보건의료 개인의 복지태도가 공적 의료보장 강화정책 동의에 미치는 영향/김도영 2018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