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4 건
총 3,204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2일]
□ EU 일반 개인정보보호법(GDPR) 시행 D-1년, 과징금 폭탄 피하려면? 〇 EU는 2018년 5월 25일부터 EU 내에서 EU 시민들을 대상으로 비즈니스를 하거나, EU 거주 정보 주체에 대한 개인식별정보(PII)를 보유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GDPR을 적용할 예정이임. GDPR은 EU에 사업장이 있는 기업뿐 아니라 EU에 거주하는 정보 주체에게 재화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구매 습관을 추적하는 등 정보 주체의 행동을 모니터링하는 기업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확대 적용될 예정임. *원문보기: http://it.chosun.com/news/article.html?no=2835022 □ 사망 전 의료비, 10년 만에 3.4배 늘어 〇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개한 ‘고령사회를 대비한 노인의료비 효율적 관리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의료기술의 발전과 환자 및 가족들의 요구로 사망 전 의료비 지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음. 연명치...
2017.05.22 조회수 30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9일]
□ 호주 최대 州, 안락사법 초안 마련…25세↑ 말기환자 대상 〇 NSW 주의회가 2년의 작업 끝에 안락사법 초안을 마련, 16일 이를 공개하며 의견 수렴에 나섰다고 호주 언론이 전했음. 초안은 여야 의원들이 실무그룹에 참여해 초당파적으로 마련됐으며, 오는 8월 의회 제출을 목표로 하고 있음. '자발적 조력사 법안'(Voluntary Assisted Dying Bill)이란 이름의 법안 초안에 따르면 불치병에 걸린 25세 이상 성인은 의료진 도움을 받아 생을 마감할 권리를 갖게 됨.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16/0200000000AKR20170516119300093.HTML?input=1195m □ 교황, 헌팅턴병 환자 위로…“배아 파괴 안돼” 발언 논란 소지도 〇 프란치스코 교황이 극형에 버금가는 것으로 알려질 만큼 고통스러운 유전성 신경 질환인 헌팅턴병 환자들과 그들의 가족을 만나 위로...
2017.05.19 조회수 24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8일]
□ 대행사 통한 의사 리베이트 꼼수 ‘원천봉쇄’ 〇 일명 ‘영업대행사’들도 의료인에게 제공한 경제적 이익 지출내역을 공개해야 함. 대행사를 앞세운 제약회사들의 리베이트 꼼수를 원천 차단하기 위한 조치임. 전문기자협의회 취재결과 보건복지부는 영업전문대행업체(CSO)와 임상시험수탁기관(CRO) 등이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경제적 이익도 지출보고서에 포함시키기로 했음. *원문보기: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18741&thread=22r01 □ 노인들 시력 잃어버리게 하는 황반변성 '유전자 요법' 안전 효과적 〇 개발중인 유전자 요법이 고령자에서 시력소실을 유발하는 주 원인질환인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wet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 wAMD)에 대해 안전하면서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소규모 연구결과 발표됐음. 18일 존스홉킨스 대학 연...
2017.05.18 조회수 20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7일]
□ 3D 프린터로 쥐 인공난소 제작…생식기능 회복 확인 〇 미국 과학자들이 3차원(3D) 프린터를 이용해 포유류 암컷의 생식기능 재생을 돕는 '인공난소'를 제작했음. 미성숙 난자를 배양해 성숙시키는 지지체(支持體)임. 난소가 제거된 암컷 쥐에 이를 이식하자 생식기능이 회복됐음. 연구진은 지지체에 쥐의 난포 세포(난자로 자랄 수 있는 세포)가 잘 붙어서 성장할 수 있도록 구조를 최적화하고, 여기서 난포 세포를 8일간 배양하는데 성공했음.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16/0200000000AKR20170516107300017.HTML?input=1195m □ ISCT, 임상시험 기간·인력 줄이는 열쇠 될까 〇 의료기기 및 대규모 임상시험에서 발생할 부작용과 약물상호작용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ISCT(In silico clinical trial)'가 신약 개발과정에 도입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음. ...
2017.05.17 조회수 14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6일]
□ 트럼프 '낙태 언급 금지령'에 빈민국 비상…AID·말라리아 지원금도 뚝 〇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PPFA 지원금 차단에 이어 낙태를 거론하는 전 세계 모든 의료기관들에 대한 지원도 중단할 예정임. 1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 구호·의료단체들이 낙태시술 제공뿐만 아니라 "낙태를 가족 계획 방법(abortion as method of family planning)"으로 거론하는 것 만으로도 연방지원금을 차단하는 일명 '글로벌 낙태 언급 금지령'을 추진하고 있음. *원문보기: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516_0014897414&cID=10104&pID=10100 □ 고령사회 진입...노인의료 '컨트롤타워'가 없다 〇 2017년 노인인구 700만 시대가 되면서 우리나라도 본격적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했으나 복잡 다양한 질환을 갖고 있는 노인환자를 ...
2017.05.16 조회수 10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5일]
□ 유전자 교정기술 ‘안정성 가이드라인 필요’ 〇 12일 생명공학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유전체 교정을 통한 질병치료기술’에 따르면, 유전체 교정 기술은 최근 몇 년간 연구, 산업, 치료용 등으로 활용되고 있음. 인간이 기존 의학 기술로 고치기 힘들었던 유전병, 난치성 질환, 인간줄기세포 연구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음. 그러나 유전자 교정기술은 복잡한 임상과정과 안정성 논란이 꾸준히 지적돼 왔음. 인간 유전자(DNA)를 대상으로 연구를 한다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내는 시선도 있음. *원문보기: http://www.sisajournal-e.com/biz/article/168815 □ 제약계, IBM 왓슨 회의론 부상 〇 왓슨은 엠디 앤더슨이 6210만달러를 들여 체결했던 치료 조언 및 임상시험 환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한 제휴가 작년 말부터 보류됐다는 사실이 올 초 뒤늦게 알려지며 본격적으로 의심받기 시작했...
2017.05.15 조회수 15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2일]
□ '인구절벽 위기' 대만, 출산 장려 팔걷어…대리모 합법화도 추진 〇 대만 차이잉원(蔡英文) 정부가 만성적인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리모 합법화 조치를 비롯한 다각적인 대책을 추진함. 13일 대만 연합보(聯合報)와 자유시보 등에 따르면 대만 위생복리부는 전날 저출산 해결책으로 저출산 전담센터를 설립, 가동에 들어갔다고 보도했음.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13/0200000000AKR20170413158100009.HTML?input=1195m □ "과잉진단, 의료기술이 오히려 건강에 해 끼치는 역설 불러" 〇 대한의사협회가 발행하는 JKMA(대한의사협회지) 최근호에 의료에서 과잉진단의 문제를 지적하는 글이 실려 눈길을 끌고 있음. 고려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안형식 교수는 JKMA 최근호에 실린 '의료에서 과잉진단의 문제:암 조기진단을 중심으로'란 글을 통해 갑상선암, 전...
2017.05.12 조회수 12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1일]
□ 저 사람 이상하네 … AI 카메라가 범죄 막는 미래 도시 〇 가까운 미래에는 경찰이 범죄 사건의 용의자를 찾기 위해 CC(폐쇄회로)TV 화면을 일일이 돌려보지 않아도 될 것임. 스스로 학습(딥러닝)한 똑똑한 카메라가 그간 감지한 적 없는 얼굴이나 흉기 등 수상한 물체를 들고 있는 사람을 발견했을 때 실시간으로 경고할 수 있기 때문임. 9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린 ‘GTC (GPU Technology Conference) 2017’에서는 ‘인공지능(AI)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플랫폼들이 소개됐음. *원문보기: http://news.joins.com/article/21561202 □ 난임시술 지원 늘리자 신청자 30% 증가 〇 정부가 저출산 극복을 위해 난임 시술비 지원대상을 확대하면서 신청자가 급증하고 있음.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에 따르면 난임 시술지원 자격요건이 완화된 작년 9월부터...
2017.05.11 조회수 13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0일]
□ 신약 임상시험 ‘환자모집’에 SNS·AI까지 동원? 무슨일이 〇신약 개발 과정에서 임상 환자 모집은 제약사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로 꼽히고 있음. 미국 임상조사기관 컷팅엣지인포에 따르면 많은 임상시험이 환자 모집 지연으로 예정 기간보다 두 배 이상 걸린다고 발표함. 이러한 가운데 제약사들이 험난한 임상시험 환자 모집 관문을 보다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 *원문보기: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7051002101276029002 □ AI진료 걸림돌은 개인정보…사회갈등 유발하는 '불씨' 〇 최근 미국에서 노동자가 고용주에게 유전자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때 건강보험료의 최대 30%까지 벌금을 부과하는 법안을 마련해 논란임. 올 3월 미국 하원 교육노동위원회가 직장 건...
2017.05.10 조회수 25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8일]
□ 청각장애인에 ‘청신호’ 들릴까 〇선천적으로 혹은 사고나 질병으로 청각을 잃은 사람은 현대의학으로도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음. 신경 자체가 손상돼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임. 그러나 최근 청각신경을 인공 배양할 수 있는 방법이 속속 등장하고 있음.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70505/84214237/1 □ 지난해 한국 신규 줄기세포 임상시험 수 5건…세계 3위 수준 〇 지난 2016년 우리나라의 신규 줄기세포 임상시험 수는 총 5건으로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이었음.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간한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및 규제동향 2016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등록된 신규임상은 약 47건이었음. *원문보기: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85098 □ "IBM 왓슨 넘자"…24시간 건강관리 `한국형 AI닥터` 만든다 〇 국내 대형 병...
2017.05.08 조회수 26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4일]
□ ‘인간 머리이식’ 수술 의사, 이번에는 뇌 이식 수술 선언 〇 최근 이탈리아 출신의 신경외과전문의 세르지오 카나베로 박사는 "앞으로 3년 안에 인간의 두뇌를 다른 사람의 신체에 이식하는 수술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음. 의학적, 윤리적으로 큰 논란이 될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카나베로 박사는 사실 인간의 머리를 통째로 이식하는 수술을 하겠다고 밝혀 세계적인 파장을 일으킨 바있음. *원문보기: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428601007 □ 모바일 인공지능 진단기술 도입 앞서 준비해야 할 것은? 〇 향후 모바일 인공지능 진단기술의 도입으로 의료생태계의 큰 변화가 전망되는 가운데 관련 기술도입에 앞서 발생 가능한 문제점들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종현 선임연구원은 지난 28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pro’ ...
2017.05.04 조회수 26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일]
□ "중대 부작용 10% 이상 보고 약제 피해구제서 제외" 〇 의약품 품목 허가를 받기 전 임상시험에서 중대 이상반응이 10% 이상 보고되면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급여 지급에서 제외되는 법안이 추진됨. 또한 의약품 제조업자나 의료전문가, 의약·소비자단체 등이 식약처가 공고한 피해구제 제외 성분 목록에 대해 의견을 제출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가 마련됨. *원문보기: http://www.dailypharm.com/News/225032 □ 치료비가 없어서 생을 포기하지 마세요 〇 최근 혁신적인 신약이 개발되며 질병치료에는 효과를 보고 있지만 가격이 고가인 치료제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도 늘고 있음. 이처럼 의료비로 인해 가계부채(家計負債)가 증가하는 가정을 ‘메디컬푸어’(Medical Poor)라고 함. 문제는 이들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임. 기사를 통해 환자들이 무엇을 원하고, 무...
2017.05.02 조회수 20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8일]
□ 정부, "리베이트에 솜방망이 없다"...사상 첫 급여정지에 최대 과징금 폭탄(551억원) 〇 불법 리베이트로 물의를 일으킨 노바티스의 치매 치료제와 골대사 제제 등 9개 의약품이 6개월 간 급여 정지를 받게 됐음.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과 뇌전증 치료제 트리렙탈 등을 비롯한 33개 품목은 급여정지 대신 과징금 처분을 내렸음. 보건당국이 제약사에 대해 급여정지 처분을 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과징금 역시 사상 최대액임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27/2017042701590.html □ 구글 AI, 헬스케어 확장..안질환·암 진단 적용 〇 구글이 인공지능(AI)을 적용해 안과질환·암 진단을 시도함. 데이터 기반 질병 조기발견 패러다임에 합류, 헬스케어 분야 영향력을 확대할 예정임. 의료용 인공지능(AI) 전문가인 릴리 펭 박사는 질병 진단 AI가 당뇨성 안질환 판정과 암 ...
2017.04.28 조회수 20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7일]
□ 2월 출생아 또 역대 최저… 올 40만명 무너질 듯 〇 지난 2월 출생아 수가 1월에 이어 또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음. 통계청이 26일 내놓은 ‘2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출생아 수는 3만 6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3%(4300명) 줄었음. 월별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0년 이후 2월 기준으로 가장 적었음. *원문보기: http://www.munh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1410 □ 미숙아 키워줄 '인공 자궁' 동물 실험 성공 〇 생존 가능성이 없는 미숙아 새끼 양을 비닐백으로 만든 인공 자궁에서 한 달 동안 생명을 유지하며 성장시키는 데 성공했음. 미국 필라델피아 어린이병원 연구진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26일 자에 "사람으로 치면 미숙아인 새끼 양을 자궁과 비슷한 환경을 조성한 인공 자궁에서 4주 동안 키워 털이 자라게 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
2017.04.27 조회수 31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6일]
□ 유럽 개인정보 보호법 1년 앞으로…행자부, 안내서 발간 〇 행정자치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유럽 개인정보 보호법(GDPR) 시행이 1년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을 위한 안내서를 발간한다고 25일 밝혔음. 내년 5월 시행되는 GDPR은 유럽 단일시장에서 자유로운 데이터 이전을 보장하고 정보 주체의 권리를 강화할 목적으로 제정되었음.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25/0200000000AKR20170425029100004.HTML?input=1195m □ '전문병원' 용어 불법사용 차단 나선 전문병원들 〇 대한전문병원협의회가 전문병원 지정 3주기를 앞두고 '비급여 자정선언'과 더불어 '전문병원' 용어 불법사용을 차단하는 등 제도 재정비에 힘을 쏟을 예정임. 전문병원협의회 정규형 회장은 25일 오후 기자간담회를 갖고"비 전문병원의 '전문병원' 용어 사용에 대...
2017.04.26 조회수 41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5일]
□ 세계 최초 말라리아 백신 '케냐·가나·말라위' 2018년 접종 시작 〇 가나와 케냐 그리고 말라위 등 3개국에서 세계 최초의 말라리아 백신이 2018년 부터 사용될 예정임. 25일 국제보건기구 WHO는 체내 면역계가 말라리아 원충을 공격하게 훈련시키는 RTS,S 라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사가 개발한 RTS,S 백신을 생후 5-17개월된 케냐와 가나, 말라위의 7만5000명 이상 아이들에게 2018년부터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음. *원문보기: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84448 □ 세계 최초 유전자치료제 '글리베라' 유럽 판매 포기 〇 네덜란드 유니큐어는 세계 최초의 유전자치료제로 지난 2012년 7월 유럽연합(EU)에서 승인을 취득한 '글리베라'(Glybera)의 판매를 사실상 포기했음. 당시 EU 집행위는 승인조건으로 장기간 관리를 위한 환자등록과 승인 후 임상시험, ...
2017.04.25 조회수 25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4일]
□ 왓슨, 법적 책임과 의사 대체 가능성은? 〇 21일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가 주최하고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이 주관한 제1회 국가생명윤리포럼:인공지능(AI)의 의료적 활용과 생명윤리에서 과학계, 의료계, 산업계, 윤리계, 정부 등 각 계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의견을 개진하고 논쟁을 펼쳤음. *원문보기: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59504 □ 정부, 손과 팔 이식 관리한다…“지정병원에서만 이식 가능” 〇 앞으로 ‘손과 팔(수부)’의 기증 및 이식을 국가가 관리하게 됨. 보건복지부는 ‘장기 등 이식윤리위원회’가 수부를 장기이식법상의 ‘장기 등’에 포함하기로 결정했다고 21일 밝혔음. 이는 지난 2월 2일 영남대에서 실제 팔 이식 수술이 이뤄졌다는 점과 앞으로도 이식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측돼 팔 이식에 대한 국가의 관리가 필...
2017.04.24 조회수 16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1일]
□ '신약후보물질 임상시험계획 승인' 광고하면 '위법' 〇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일 서초구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의약품 제조·수입업체를 대상으로 ‘의약품 광고 가이드라인 설명회’를 열고 의약품 광고 관련 준수사항을 소개했음. 지난 2월 발표된 가이드라인은 식약처가 의약품광고 민관협의체, 의약품광고심의위원회 등 의약품 광고 실무진과 논의를 거쳐 마련한 의약품 광고 세부 기준임. *원문보기: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482805 □ "'바이오테러' 증가할 것"…빌 게이츠 '경고' 〇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인 빌게이츠는 치명적인 병원균을 만들고 확산시키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쉬워졌기 때문에 수많은 사람을 희생시킬 수 있는 생물학 무기를 이용하는 테러리스트 공격이 점점 더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했음. *원...
2017.04.21 조회수 16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0일]
□ 특종 대신 생명을 잡다 〇 지난주 시리아에서 발생한 버스 테러 당시 부상 당한 어린이들을 구하기 위해 촬영을 뒤로하고 폭발 현장으로 뛰어든 사진기자가 이목을 끌고 있음. 그동안 기자들이 취재경쟁을 위해 인명을 구하기는커녕 사고나 테러현장을 이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기 때문임. 하바크와 동료들의 행동은 현장을 방치해 취재 윤리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과거 사건들과는 대조를 이루고 있음. *원문보기: http://www.hankookilbo.com/v/590b2949d847434da61cbd3b3d7160ad □ 혁신기술이 만들어 낼 인류의 미래 장밋빛일까? 〇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스마트폰을 쓰는 전국 15~59세의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9.4%는 앞으로도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발전이 필요하다고 답했음. 기술이 우리 삶에 긍정적인 영향만 가져다 줄 것이라고 여기는 이는 찾아보기 힘들었...
2017.04.20 조회수 9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9일]
□ 'CRISPR 특허분쟁' UC버클리, 항소 〇 향후 수조원 가치가 예상되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 특허분쟁에서 미국 버클리캘리포니아대학(이하 UC버클리)과 오스트리아 빈 대학 등이 반격에 나섰음. UC버클리 등은 하버드대학과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등의 특허가 유효하다고 판단한 미국 특허심판원(PTAB) 결정에 불복해 항소함. 또 이들은 미국과 달리 유럽특허청이 자신에게 특허권을 부여할 뜻을 밝혔다고 전했음. *원문보기: http://www.etnews.com/20170418000132 □ “인터넷에서 낙태약도 살 수 있다”…은밀한 뒷거래 현장은 현재 진행형 〇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매년 1만건이 넘는 불법 온라인 의약품 판매를 적발하고 있음. 인터넷 사이트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불법 유통되는 의약품들. 여기에는 수입·판매가 금지된 의약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음. 한 ...
2017.04.19 조회수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