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태도
- 저자[authors] 유은영,양유정,정은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디지털융복합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5No.5[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41-25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죽음인식, 고통불안, 죽음불안, 내세불안, 대학생, Death awareness, Pain anxiety, Death anxiety, Afterlife anxiety, College students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죽음인식 태도와 관련 요인을 조사하여 죽음의 태도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자, 2015년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G지역 대학생 31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죽음인식 수준은 2.04점으로 보통수준이며, 평균점수는 고통불안 2.49점, 죽음불안 1.95점, 내세불안 1.86점으로 나타났다. 죽음인식 하위영역은 연령, 학년, 건강상태, 생활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통불안, 죽음불안, 내세불안은 각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여성은 죽음불안과 내세불안에 영향을 미치며, 2학년은 고통불안과 내세불안, 건강상태는 고통불안, 생활정도는 고통 불안, 죽음불안, 내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이 현실과는 멀게만 느껴져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은 보다 평화로운 죽음으로 이끌 수 있으며, 현재의 삶을 더욱 보람되게 살 수 있다. 죽음과는 거리가 먼 대학생들에게도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죽음 준비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314 college students in G area from December 1 to December 30, 2015 to investigate death attitude and related factors of health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 of death awareness was 2.04, and the average score was 2.49 points of pain anxiety, 1.95 points of death anxiety, and 1.86 points of anxiety. Death awareness sub - domai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health status, and living standards. Pain anxiety, death anxiety, and later life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anxiety and anxiety on death, anxiety of death, anxiety of life, anxiety of suffering, anxiety of life, anxiety of death, The fear of death was not so great as death felt far from reality at once. However, a correct perception of death can lead to more peaceful deaths and more rewarding life for the present.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eeded to live a meaningful life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far from death]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2 연구도구 및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죽음인식 수준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인식 수준 3.4 죽음인식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 3.5 일반적 특성이 죽음인식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 4. 고찰 5. 결론 및 제언 ACKNOWLEDG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