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맞춤의학(Personalized Genomic Medicine)의 사회적 함의
= Social Implications of Personalized Genomic Medicine
- 저자[authors] 김상현(Kim Sanghyun),김한나(Kim Hannah),이일학(Lee Ilhak),김소윤(Kim Soyoo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4No.2[2013]
- 발행처[publisher]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9-3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3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70
- 주제어[descriptor] 유전자 맞춤의학,생의료화,프라이버시,유전자 차별,의학의 상업화,personalized genomic medicine,biomedicalization,privacy,genetic discrimination,commercialization of medicine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2003년 인간 지놈 프로젝트 완성이후 사회적, 학문적으로 더욱 관심을 갖게 된 유전자맞춤의학이 어떤 사회적 함의(social implications)를 갖고 있는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유전자 맞춤의학의 사회적․이론적 배경(생의료화 이론), 정의와 명암을 살펴본 후, 기존의 유전자 맞춤의학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6가지 사회적 함의(과학기술에 대한 신뢰, 유전자 맞춤의학의 보건학적 의미, 프라이버시로서 개인정보보호, 사회적 오명으로서 유전자 차별, 의학의 상업화와 이익분배, 계층간 유전 및 건강, 삶의 질 격차)를 이끌어내고 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to draw the social implications of personalized genomic medicine, which have been received attention from society and academy since completion of human genome project in 2003. For this, it was intended to represent the social & theoretical backgrounds (biomedicalization), definition, and light and shadow of personalized genomic medicine. Based on the results of Koreans" perception on personalized genomic medicine, PGM 21 survey of 2012, six social issues and implications (trust of scientific technology; meaning in public health;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s privacy; genetic discrimination as social stigma; commercialization of medicine and profits sharing; differences, disparities, and inequalities in gene, health, quality of life, and life itself by SES & nation) were drawn and discussed.]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유전자 맞춤의학의 이론적 배경 Ⅲ. 유전자 맞춤의학의 정의와 명암 Ⅳ. 유전자 맞춤의학에 대한 국민 인식 Ⅴ. 유전자 맞춤의학의 사회적 함의 Ⅵ. 결론: 한국적 상황에서 유전자 맞춤의학의 미래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