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환경에서 의료종사자의 건강신념이 대응성과 병원의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가치성을 매개로
= The effects of health belief of medical workers’ on responsiveness and preventive behavior of hospital in hospital environment
- 저자[authors] 장국현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143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황찬규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융합산업학과 U-City 융합기술경영 2017.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병원 환경,실내 공기질,의료종사자,건강신념,건강가치성,대응성,예방행동"
- 소장기관[Holding]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97)
초록[abstracts]
최근 병원환경에서 조류독감(조류인플루엔자 : 1997∼2003년), 사스(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 2003년), 신종플루(신종 인플루엔자 :2009∼2010년), 메르스(MERS Corona Virus : 2012∼2015년) 등 공기로 인한 감염위험의 증가로 병원들의 대응성은 물론 질병관리본부 및 보건복지부 등 정부의 대응체계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2015년 메르스에 대한 대응이 미흡하여 병원 환경뿐만 아니라 병원경영에 지대한 영향을 줌과 아울러 경제활동 위축 및 국민의 불안을 초래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으며, 동시에 긍정적인 요소로 병원설비의 중요성 부각과 환경에 대한 인식의 전환 등 대응체계 전반에 대한 새로운 전환점을 제공하였다.
2016년 현재 메르스의 영향으로 질병관리본부의 지원 아래 대형병원을 위주로 한 크린룸(음압병실) 제도화 및 의료수가 반영 등의 뒤늦은 대응체계 개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기로 인한 감염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건강신념이 종사자 자신의 태도변화와 대응행동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와 같은 의료종사자의 대응행동이 병원의 예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대한 인과관계를 실증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병원의 실내 환경의 중요성 특히, 실내 공기질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병원을 비롯한 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부 등 정부가 효율적인 대응체계를 갖추도록 하고 그 예방행동의 일환으로 예방행동으로 병원설비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의료종사자의 감염 예방행동을 강조한 건강신념모델(HBM : Health belief model)의 주요 변수들을 적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Y의료원, S의료원, Y대 부속병원, 강동S병원, G대학 부속병원 등 병원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은 예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지각된 개연성은 병원의 예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종사자의 건강신념은 병원의 예방행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개연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모두 의료종사자 개인의 예방행동인 대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신념은 의료종사자 개인의 예방행동인 대응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지각된 개연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은 건강가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지각된 심각성은 건강가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신념은 건강가치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건강가치성은 의료종사자 개인의 예방행동인 대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건강가치성은 예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의료종사자 개인의 예방행동인 대응성은 병원의 예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지각된 개연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과 의료종사자 개인의 예방행동인 대응성 간의 관계에 건강가치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심각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신념과 의료종사자 개인의 예방행동인 대응성 간의 관계에 건강가치성이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여덟째,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과 예방행동 간의 관계에 건강가치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심각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개연성은 건강가치성을 통해서만 예방행동에 영향을 미쳐 완전매개 하였다. 따라서 건강신념과 예방행동 간의 관계에 건강가치성이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아홉째, 건강가치성과 병원의 예방행동 간의 관계에 의료종사자 개인의 예방행동인 대응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환경관련 기존 선행연구들은 대체로 보건위생을 위한 손 씻기 및 보호 장구(마스크, 수술용 장갑 등), 수술용 기구(메스, 가위, 집게 등)에 대한 연구와 감염관련 보건행정관련 연구가 주를 이뤄 의료종사자 개인의 역할 및 행동, 환자와의 접촉이나 소독에 관한 1차원적인 감염예방 등 의료종사자와 환자와의 인과관계를 실증 검증하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실정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건강신념모델을 도입하여 병원환경 중 실내 환경에서 특히, 실내 공기질에 대해 의료종사자가 느끼는 건강가치성과 대응성에 따른 예방행동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기여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학문적으로는 병원환경에 대한 연구를 병원에서 의료종사자들이 지각하는 건강신념의 각 요소들을 이용하여 병원에서의 건강가치성과 대응성을 고려한 실내 공기질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질병에 대한 인간의 건강가치 추구와 대응성에 주목하여 예방행동으로서 실내 공기질을 좌우하는 공기조화기 내의 필터류와 공기살균정화기 등의 설치·관리와 크린룸이나 음압병실 사용 등을 중요 요인으로 하여 연구 모델을 제안했다는 점이다.
실무적으로는 인간의 풍요롭고 건강한 삶을 추구한다는 것에 주목하여 의료종사자들의 건강신념이 의료종사자 자신의 건강가치성에 대한 태도변화를 가져오고 이는 다시 의료종사자 개인의 예방행동인 대응성과 병원의 예방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하였다.
이에 주목하여 공기로 인한 감염에 대한 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부 등 정부 및 병원들의 대응과 예방행동으로서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병원설비의 중요성을 제기하였다.
초록[abstracts]
Recently, hospital environments have seen an increase in airborne infection risks for diseases such as the avian flu (Avian influenza: 1997-2003), 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2003), swine flu (New Influenza: 2009-2010), and MERS (MERS Corona Virus (2012-2015). Consequently, not only the responsiveness of hospitals but also that of the governmental response system, controlled by agencies such as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particular, the government’s response to MERS in 2015 was inadequate, leading to a profound impact on hospital management as well as hospital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brought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a declination in economic activity and an inclination in general public uneasiness. Meanwhile, some positive aspects were that the incident provided a new turning point for the response system in general, such as bringing spotlight to the importance of hospital facilities and causing a paradigm shift regarding hospital environment.
Following the MERS incident, as of 2016 there is a belated restructuring of the response system starting with large hospitals under the support from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such as institutionalizing clean rooms (negative pressure rooms) and including medical fees.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of causal relationships, specifically the degree of influence medical workers’ own health beliefs on airborne infections have on their own attitude changes and responsive actions, and the degree of influence such responsive actions have on the hospital’s preventive behavior. In this regard, I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namely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s well as the hospitals, beco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hospital’s indoor environment and especially the air quality, establish an efficient response system, an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hospital equipment as part of preventive behavior.
For this purpose, I presented a research model that applies the key variables of the Health belief model (HBM), which emphasizes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s of medical workers. In order to empirically verify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medical workers in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such as the Y Medical Center, S Medical Center, Y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Gangdong S Hospital, and G University Hospital.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 and perceived disabi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eventive behavior, but perceived probabil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reventive behavior in hospital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health beliefs of medical workers partially influenced the preventive behavior of hospitals. Second,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probability, perceived benefit, and perceived disability were all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sponsiveness, that is, the preventive behavior of an individual medical worker.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ealth belief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sponsiveness, the preventive behavior of medical workers. Third, perceived probability, perceived benefit, and perceived dis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value, but perceived sever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valu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ealth beliefs partially influenced the health value. Fourth, health valu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sponsiveness, that is, the preventive behavior of an individual medical worker. Fifth, health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eventive behavior. Sixth, responsiveness or the preventive behavior of an individual health work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ventive behavior of the hospital. Seventh,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ikelihood, perceived benefit, perceived disability and responsiveness or a medical worker's personal preventive behavior, health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but perceived severity did no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ealth value partially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s and responsiveness, which is the preventive behavior of medical workers. Eighth,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enefit, perceived disability and preventive behavior, health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but perceived severity did not. In addition, perceived probability was perfected mediated and had an effect on preventive behavior only through health value. Thus, health value partially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behavior. Ninth,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value and preventive behavior of hospitals was found to be affected by responsiveness, the preventive behavior of individual medical worker.
Previous studies concerning hospital environment mainly focused on the study of health and sanitization such as washing hands and managing other protective gear (masks, surgical gloves, etc.) and surgical instruments (scalpels, scissors, forceps), or on the study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regarding infections. In other words most studies were conducted to empirically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cal worker and the patient, such as the role and behavior of individual health worker and one-dimensional prevention of infection regarding contact with patients or disinfection. However, this study is academically valuable in that I have introduced the health belief model and conducted a study on the preventive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 health value and responsiveness which a medical worker feels toward the indoor environment of a hospit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indoor air quali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adem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through a research of hospital environment, using each factor of health beliefs perceived by medical workers in hospitals and taking into account the health value and responsiveness in the hospital.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pursuit of human health values and responsiveness to diseases, and presents a research model that uses preventive behavior as key factors, such as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filters and air sterilization purifiers in the air conditioner which determines the air quality, and the usage of clean rooms and negative pressure rooms.
In practice, this study pays close attention to the fact that humans pursue a rich and healthy life, and demonstrates that health beliefs of medical workers lead to an attitude change toward their own health values, which in turn brings a positive effect on responsiveness or the preventive behavior of an individual health worker and the preventive behavior of the hospitals.
In this regard, this study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hospital facilities when it comes to improving the indoor air quality as a response and preventive behavior toward airborne infections on the part of hospitals and governmental agencies such as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