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28865 
 생명권의 보장과 본질적 내용의 침해 금지 
= Restriction on the of right to life and Protection of its essential aspect


  • 저자[authors] 권건보(Kwon, Geon B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법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4No.4[2013]

  • 발행처[publisher]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3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 주제어[descriptor] 생명권,생명보호의무,생명권 제한,법률유보,생명권의 본질적 내용,과잉금지 원칙,right to life,duty to protect the human right to life,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statutory reservation,essential aspect of the right to life,principle of proportionality


초록[abstracts]
[본고에서는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 생명권의 주체와 내용 등에 관한 주요 쟁점들을 살펴보면서, 특히 생명권에 대한 제한과 본질적 내용침해 금지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인간의 생명은 다른 어떠한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생명권은 가장 소중한 가치를 가진 인권이라 할 수 있다. 우리 헌법상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가장 근본적인 기본권이라 할 수 있으며, 헌법상 보장되는 모든 권리들의 전제가 된다. 따라서 국가는 생명권의 보호를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의무를 진다.     이념적으로 인간의 생명은 절대적 가치를 가지지만, 사람의 생명은 예외적으로 법적인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타인의 생명을 구하거나 보호하기 위해서 부득이하게 특정인의 생명을 박탈하지 않으면 안 되는 예외적 상황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명권도 다른 기본권과 마찬가지로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라 법률유보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국가는 그러한 예외적 상황에서 특정인의 생명권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런데 생명권은 본질적 내용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기본권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명권의 제한은 언제나 생명권을 형해화시키는 생명의 박탈을 초래하게 된다. 하지만 그것이 엄격한 예외적 상황에서 과잉금지원칙에 따라 정당화될 수 있다면, 그러한 생명권의 제한은 헌법상 금지되는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침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다., 
This Study reviewed the constitutional issues on the right to life, especially whether the right to life may be restricted under Article 37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and the 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 infringes the essential aspect of that right.    According to my study, human life is the most important value and human right in law because it is not irreplaceable with any other things. While the right to life is not expressly enumerated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we can admit that the right is the most fundamental right and precondition to all the rights set forth in the Constitution. Thus the government has a duty to make proactive efforts to protect the human right to life.    Even if a person"s life in an ideal sense is regarded to have an absolute value, legal assessment on a person"s life can be permissible as an exception. Because there can be exceptional circumstances where a person"s life must be inevitably taken away in order to protect or save another’s life. As a result the right to life may be subject to the statutory reservation under Article 37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and the government may take measures to restrict on a particular person"s right to life in such exceptional circumstances.    Since the right to life consists only of essential aspect of the right, any 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 always results its total deprivation. However the right to life is a fundamental right that may be justifiably restricted in exceptional cases. If the 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 may be justified under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t shall not be deemed as an infringement of the essential aspect of the right to life.]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설 Ⅱ. 생명권의 보장 Ⅲ.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 보장 관련 논의 Ⅳ. 생명권의 본질적 내용의 보장 Ⅴ. 결어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94
» 1 윤리학 생명권의 보장과 본질적 내용의 침해 금지/권건보 2013  240
3867 12 낙태 낙태죄에 관한 재론-실정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임종희 2018  153
3866 15 유전학 소비자 직접 서비스 (DTC: Direct-to-Consumer) 시대의 도래와 시사점/성영조 2015  108
3865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의 사이버 보안관제 서비스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이성훈 2018  69
3864 5 과학 기술 사회 생체 인증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박희진, 이윤호 2018  81
3863 1 윤리학 가족관계등록제도 시행 10년간의 성과 및 향후의 개선방안/현소혜 2018  105
3862 15 유전학 유전체 시대의 유전정보 보호와 공유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고찰/이원복 2018  113
3861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보호 및 이용을 위한 법제 연구/최종모 2018  112
3860 9 보건의료 2018년 지방선거 보건·복지 분야 정책제안/조준희 2018  54
3859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전진아 외 2018  67
3858 13 인구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패러다임변화 필요한가?/백선희 2018  56
3857 9 보건의료 개인의 복지태도가 공적 의료보장 강화정책 동의에 미치는 영향/김도영 2018  59
3856 20 죽음과 죽어감 네팔의 자살과 자살 예방 정책에 관한 연구 /Bimala Sharma 2018  131
3855 9 보건의료 스마트건강증진서비스 효과성 분석 연구 : 서울시 사례 /오수경, 신창환 2018  105
3854 9 보건의료 보건사업의 바람직한 방향/이무식 2018  58
3853 9 보건의료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가구의 빈곤화에 미치는 영향: 재정적 대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우경숙 외 2018  74
3852 9 보건의료 소비자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조윤미 2018  54
3851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2018  71
3850 9 보건의료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본 치매대응체계 진단과 과제/권중돈 2018  131
3849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국가자살예방전략에 따른 뉴욕주 자살예방정책 / 손해인 2018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