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 Public Awarenes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s
- 저자[authors] 문세연(SeYeon Mun),윤영미(Young Mi Yun),한태화(Tae Hwa Han),이상은(Sang Eun Lee),장혁재(Hyuk Jae Chang),송시영(Si Young Song),김현창(Hyeon Chang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4[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21-62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디지털 헬스케어,인터넷 건강정보 서비스,스마트폰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웨어러블 디바이스,유헬스,Digital healthcare,Internet health service,Smartphone healthcare application,U-health,Wearable device
초록[abstracts]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만성질환 환자 증가로 인한 빠른 의료비 지출 상승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기존 서비스의 이용자인 환자 외에 일반인까지 수요자 범위를 확장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반인의 디지털 헬스케어 이용현황 및 요구 파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건강정보 서비스, 스마트폰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헬스 등 4개 부문에서 각각의 서비스 이용 경험, 이용 목적 및 보완점 등을 조사하고, 제공 받고 싶은 헬스케어 서비스 및 콘텐츠 유형, 이용 의사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일반인들의 디지털 헬스에 대한 인식과 현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미충족 서비스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rapid population aging and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the digital healthcare services are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Recent improve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has expanded the consumer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from the patients to the general population.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studies on the status and needs of digital healthcare users in general.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00 people on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about four areas of digital healthcare: internet health information service, smartphone healthcare application, wearable device, and u-health. The questionnaire asked the respondents about their past experience of using digital healthcare services, the purpose of use and point to be improved. The respondents were also asked about new type and content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which they would like to use. The survey results will help developer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by improving their understanding and identifying unmet need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