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침해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 의도 분석
= An Analysis on Intention to Use Information Ser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Breach
- 저자[authors] 김택영(Taek-Young Kim),전효정(Hyo-Jung Jun),김태성(Tae-Sung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8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정보보호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99-21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Information Breach,Social Disaster,Service Acceptance,Poersonal Information Security
초록[abstracts]
[2008년부터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사고들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이를 해결하고자 국가적 차원의 교육, 정책, 법률등이 제정 및 시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인정보 침해와 유출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개인이 개인정보침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추정 및 대처 할 수 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 정보 침해 및 유출사고 등 개인정보 침해에 예방 및 대응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개인정보 침해에 관한 정보가 제공 및 전달된다면, 개인은 개인정보 침해 정보를 얼마나 받아들이고 개인정보보호 행동으로 옮겨질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개인정보 침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지 정의하고, 정보 제공에 대한 일반인의 수용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관련 정보 제공에 대한 필요성 및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개인의 주동적인 정보보호 활동을 장려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Since 2008, large-scale personal information breach incidents have occurred frequently. Even though national education, policy, and laws have been enacted and implemented to resolve the issue, personal information breaches still occur. Currently, individuals cannot confirm detailed information about what personal information has been affected, and they cannot respond to the breache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develop various methods for preventing and responding to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caused by breach and leakage incidents and move to privacy protection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understanding of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and information breach, to present services that can prevent breaches of personal information,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and analyze the potential public demand for such services, and to provide direction for future privacy-related information service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I. 서론 II. 개인정보 침해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정의 III. 문헌연구 IV. 연구 모형 및 설계 V. 가설검증 및 분석 결과 VI.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