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문학치료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05507 
죽음에 대한 명상과 수면 수행 

= Meditation on Death and Sleep Meditation Practice

  • 저자[authors] 이강옥 ( Lee Kang-ok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문학치료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2No.-[2014]
  • 발행처[publisher] 한국문학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4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 주제어[descriptor] 죽음 담론, 죽음 명상, 정견, 알아차림, 혼, 업, 수면 수행, 환생, 연기, 윤회, 니르바나, 천국, Meditation on Death, Sleep Meditation Practice, Right Understanding, Mindfulness, Karma, Rebirth, Reincarnation, Interdependent co-arising, Samsara, Nirvana, Heaven

초록[abstracts] 
[이 논문은 죽음 담론을 다각도로 모색함으로써 죽음 명상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죽음 담론은 우리가 죽음에 대한 정견(正見)을 갖추는데 큰 도움을 준다. 죽음에 대한 정견을 갖추는 것은 죽음에 대한 우리의 `알아차림`이 일정한 방향으로 안정되게 나아가게 한다는 점에서 죽음 명상을 가능하게 한다. 죽음 현상과 죽음의 과정에 대한 이해는 다른 사람과 죽음 담론을 이끌어 가거나 스스로 죽음에 대해 명상할 때 귀중하고 유용한 소재가 된다. 그것은 죽음에 대한 사유를 깊게 하는데 필수적인 지식사항이 된다. 나아가 이런 사유가 명상의 단계로 나아가도록 애써야 한다. 우리보다 앞서 가신 깨달은 분들이 우리에게 베풀어준 죽음에 대한 통찰은 죽음 명상을 지속시키는데 결정적 동력이 되고 참조 틀이 되기에 그에 대한 공부가 유용하다. 사람이 죽으면 혼은 몸의 구속으로부터 해방되어 자기만의 길을 갈 수 있게 된다. 혼이 가는 길을 결정하는 것은 살았을 때 일상적으로 만들어놓은 습관이나 업(業)이다. 그러니 잘 죽기 위해서는 잘 살아야 한다는 명제가 자명해진다. 죽음 명상은 이 명제를 지속적으로 떠올려 그것을 내면화하게 함으로써 잘 살고 잘 죽게 하는 것이다. 이런 죽음 명상을 바탕에 두고 수면 수행을 고안했다. 우리는 잠들고 깨어나는 과정을 의식적으로 경험하면서 매일 죽음과 환생을 경험할 수 있다. 불교적으로 보면 환생이란 연기의 사슬을 벗어나지 못해 초래되는 고통의 연속이라 하겠지만, 매일 매일 이루어지는 죽음과 환생은 끊임없는 새로운 태어남을 뜻하기에 고통스런 것만은 아니고 오히려 즐거운 것이 된다. 이렇게 긍정적인 죽음과 환생의 반복 경험은 정작 우리 숨이 끊어지고 심장이 멈춰 지는 진짜 죽음을 자연스럽게도 편안하게 맞이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수면 수행으로 죽음을 연습하여 간접적으로나마 죽음을 경험함으로써 죽음을 맞이할 준비를 충분히 한 사람이게 진짜 죽음은, 윤회의 사슬을 박차고 나가 니르바나나 천국으로 향하는 결정적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본다.

This paper devises a meditation program on death by exploring discourses on death from multi-faceted perspectives. Discourses on death help us establish Right understanding(正見) on death and make it possible for us to practice meditation on death by allowing our mindfulness to proceed steadily to a certain direction. Understanding of death phenomenon and death process is indispensible in discussing discourses on death with others and meditating on death by oneself. This understanding is an essential knowledge in deepening one`s reasoning on death. Much effort would be required to proceed from this reasoning to the next phase of meditation. Bequeathed from the enlightened, insight on death plays a decisive and dynamic role and suggests creative models in sustaining meditation on death. Hence studying discourses on death and acquiring insight are extremely useful. Once one dies, one`s sprit is liberated from the imprisonment of body and able to go its own way. What directs the spirit`s way is the habit or karma that one has accumulated throughout one`s lifetime. Hence it becomes a self-evident proposition that one has to lead a good life in order to have a good death. Meditation on death is ultimately meditation on how to lead a good life and have a good death, by constantly reminding us of this proposition and internalizing it. Based on this aspect of meditation on death, I devised a sleep meditation practice. People can experience death and rebirth everyday by consciously following the process of falling asleep and awakening.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reincarnation only repeats pain, for it is caused by our inability to break free from the chain of interdependent co-arising. However repeating death and rebirth everyday can be a happy experience, for it also means an incessantly renewed birth. This repeated experience of positive death and rebirth comfortably prepares people for an actual death that stops our breath and heart. For those who indirectly experience and prepare for their death with the practice of sleep meditation, their actual death can be a decisive opportunity to escape from a chain of samsara, an eternal cycle of death and rebirth and head towards Nirvana or heave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94
410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이해를 통한 상담의 교육적 필요성과 과제 / 임진옥 2006  83
»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대한 명상과 수면 수행 / 이강옥 2014  132
4106 20 죽음과 죽어감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의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 야스퍼스 철학을 중심으로 / 홍경자 2013  484
4105 20 죽음과 죽어감 어린이를 위한 죽음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 박시내 2011  250
410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교육의 현황과 과제 / 이이정 2016  645
4103 20 죽음과 죽어감 흥행영화와 죽음 : 2000년대 전반기 한국 흥행영화에서 드러나는 죽음의 의미작용 / 서곡숙 2009  135
410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바르도의 이해를 통한 죽음준비교육 / 양정연 2013  93
410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법적 책임의 한계와 법 제도적 개선방안 / 심보혜 2018  2571
4100 9 보건의료 의료사고의 안티 포렌식 범죄 기법의 대응에 관한 연구 / 엄민수 2018  430
4099 9 보건의료 응급환자 진료 지연 판례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송이 2018  224
4098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80
4097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 권리보호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상기 2018  164
4096 13 인구 저출산에 대한 문화적 접근 - 성평등주의와 출산의 관계 / 계봉오 외 2016  342
4095 14 재생산 기술 대리출산 자녀의 모자관계 결정기준 / 권재문 2010  115
4094 12 낙태 독일과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낙태문제 / 메르베지벨렉 2018  762
4093 1 윤리학 인간존엄의 기본권성에 관한 고찰 / 장영철 2018  127
4092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 장동익 2018  296
4091 12 낙태 여성 인권으로서의 임신중단권 / 김채윤 2018  483
4090 12 낙태 낙태 문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세계 각국의 입법례와 판례를 중심으로 - / 김광재 2018  158
4089 9 보건의료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한대성 외 2018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