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한림대학교 대학원 : 생명교육융합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32394 


기독교 죽음준비교육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익산 삼일교회 죽음준비교육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death awareness through Christianity death preparation education - Focused on Ik-san Sam-il church death preparation education


  • 저자[authors] 장경희

  • 발행사항 춘천 :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91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오진탁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한림대학교 대학원 : 생명교육융합학과 생사학 2017.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강원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소장기관[Holding] 한림대학교 도서관 (242014)


다국어 초록

This thesis is the case study of the Sam-il church Christianity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decision, confirm the differences of death
awareness and death preparation attitude between gender, age and job, and analyze the education so it makes basic data of the experiential christianity ‘Death Preparation data in order to improvement of death quality and completion of
religious belief for christians. The purpose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to make life more meaningfully and
get ready for the death comfortably according to correctly understanding death. The understanding of death is understanding of life, so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education of the death which means life education. These death education is needed for christian, thus, development and research of the christianity death
preparation education has been needed This thesis is to figure death awareness through Sam-il church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articipation decision Object of thesis were total 290 people, 14 church 169 christian who participated in death preparation of Sam-il church, and 121
christian who did not participated in death preparation. 20 questions of death awareness, 6 questions of death preparation attitude and 20 questions of education contents through survey and personal interview made well qualitative research.
Collected survey paper was analyzed with frequency, dispersion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ose research result brings differences of death awareness whether participated death preparation education or not. Participant of education showed higher death meaning, afterlife view and life respect which is a subordinate concept of death awareness than non participant of education, and even death fear showed lower
than them. Also, there were death awareness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which means gender differences. Men showed a positive response on death
awareness than women. Result brings a confirm that Women recognized Death a fear and anxious factor than men. Job differences also made difference of death
awareness. Pastors were more positive than other laity on death awareness. death preparation attitude were followed by a will, organ donation and death insurance.
The most place where people want to dead was their own home, and cremation was the most way of death.
The most meaningful program about the analysis of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was a making a written will, experience of lay out and the last meal.
59.2%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death preparation education must be distinguished between christian and normal people in religious way. 86.3% answered they would recommend this education to their friends. 81.6% answered there religious life has been changed to more positively and impassionedly after education due to well developed after life view.
After all these result of research, these Experiencin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of Sam-il church must be wide spread based on a view of life and death of the bible. First, pastors should be interested and understanding i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second, we need to diversify these education, thus we need to train many death preparation education expert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익산 삼일교회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죽음인식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외에 대상자의 죽음준비태도를 확인하며, 교육 내용을 추가로 분석하여 기독교인의 죽음의 질 향상과 죽음준비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죽음준비교육은 신앙적으로 죽음을 바르게 이해하게 하여 삶을 보다 의미 있게 살도록 하고, 언젠가 맞이하게 될 죽음을 편안하게 맞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죽음의 이해는 삶의 이해이므로 죽음준비교육은 죽음 교육이자 삶의 교육 곧 생명교육이다. 이러한 죽음교육은 기독교인들에게도 필요하며 기독교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성경적 내용을 기반으로 한 체험적 프로그램인 삼일교회 죽음준비 교육에 참여여부에 따른 죽음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삼일교회의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했던 14개 교회 기독교인 169명과 참여하지 않은 기독교인 121명으로 총 290명이다. 죽음인식 조사 20문항, 기타분석으로 죽음준비태도 6문항 그리고 교육 내용에 관한 20문항의 설문지와 개인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를 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빈도분석, 분산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죽음준비교육 여부에 따른 죽음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교육 참여자가 비참여자보다 죽음인식에 대한 하위요인으로 죽음의미, 내세관, 생명존중은 높게 나타났으며, 죽음불안은 더 낮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죽음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죽음인식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죽음을 두려움과 불안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분에 따라서 죽음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목회자가 다른 평신도집단보다 죽음인식에 긍정적으로 확인되었다. 죽음준비의 태도에 대해서는 유언장, 장기기증, 사망보험가입 등의 순으로 죽음준비를 하고 있다고 확인되었고, 임종을 맞이하고 싶은 장소는 내 집이 가장 많았으며, 장묘방식은 화장을, 화장 후 자연장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죽음준비교육 내용에 관한 분석은 가장 의미 있었다고 응답한 프로그램은 유언장작성, 입관체험, 최후의 만찬 순이었고, 응답자의 59.2%가 기독교인과 일반인의 죽음준비교육이 구별되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86.3%의 대부분의 교육 참여자가 타인에게
교육을 추천한다고 하였다. 교육 후 신앙생활을 더 열심히 하게 되었고, 내세관이 더욱 확실히 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여 교육 참여자의 대다수인 81.6%가 죽음준비교육 후에 신앙생활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성경의 생사관을 기본으로 하여 교육하는 삼일교회와 같은 체험적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앞으로 기독교인들에게 보다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목회자들의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필요하며, 대상별 다양화된 교육을 위해 죽음준비교육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3
3. 용어 정의 4
II. 문헌고찰 6
1. 죽음에 대한 성경적 이해 6
1) 구약에 나타난 죽음 6
2) 신약에 나타난 죽음 10
2. 기독교 죽음준비교육의 목적과 현황 15
1) 기독교 죽음준비교육의 목적 15
2) 기독교 죽음준비교육의 선행연구 20
3) 기독교 죽음준비교육의 현황 24
III. 연구방법 28
1. 연국설계 28
2.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28
3. 연구방법과 연구내용 28
4. 조사도구 29
5. 자료 분석 방법 31
6. 삼일교회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31
1) 프로그램의 특징 31
2) 교육 내용 33
(1) 오리엔테이션 34
(2) 이론 교육 34
(3) 최후의 만찬 34
(4) 유언장 작성 35
(5) 세족식 37
(6) 입관체험 38
(7) 유언 나눔 39
IV. 연구결과 41
1. 연구결과 4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1
2) 조사대상자의 죽음인식 42
(1) 성별에 따른 죽음인식 차이 44
(2) 연령과직분에 따른 죽음의미의 차이 45
(3) 연령과 직분에 따른 내세관의 차이 45
(4) 연령과 직분에 따른 죽음불안 인식의 차이 46
(5) 연령과 직분에 따른 생명존중 인식의 차이 47
3) 죽음준비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죽음인식 차이 비교 48
4) 죽음준비에 대한 태도 분석 49
5)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52
2. 질적 조사-죽음교육 이후 변화된 삶 조사 (인터뷰) 56
V. 논의 59
VI. 결론 및 제언 63
1. 결론 63
2. 제언 65
참고문헌 67
ABSTRACT in English 71
부록 7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94
4508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전공 대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수행자신감 / 위성욱 2019  108
4507 18 인체실험 빅데이터 기반 의료 임상 결과 분석 / 황승연 외 2019  126
4506 1 윤리학 인공지능과 법률 서비스:현황과 과제 / 전정현, 김병필 2019  235
450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과학기술과 국민의 권익구제- 자율주행차, 드론 및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 김광수 2019  164
4504 4 보건의료 철학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과 영향 요인 / 박은옥, 강경자 2019  114
450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권리에 대한 개념 분석 / 전혜숙 2019  1205
4502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 교육의 국제적 동향 및 국내 현황 / 노혜린 2019  118
4501 1 윤리학 흄의 의료윤리와 정직의 덕 / 김다솜 2019  201
4500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8
4499 19 장기 조직 이식 특수부서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오영란 2018  3340
4498 9 보건의료 감정노동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허수진 2017  142
»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죽음준비교육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장경희 2017  309
449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상담 평가에서 기대되는 것 / 손예나, 이상엽 2017  125
4495 19 장기 조직 이식 안구기증에 대한 지식이 안구기증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 박민혜 외 2017  108
449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체이식의 윤리적‧법률적 쟁점에 관한 고찰 / 이인영 2019  357
449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정아, 김영아, 정향인 2019  125
4492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 혁신시스템에서 규제의 역할과 새로운 방향성/ 이명화 2018  75
4491 9 보건의료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국가연구개발 특허성과 네트워크 분석 / 권영은, 김재수 2018  161
4490 9 보건의료 임상병리 진단검사에서 사물인터넷(IoT) 융합기술에 대한 최신지견 / 김진희 2017  226
4489 9 보건의료 지속 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미래 전략: - 질병관리에서 건강관리로의 패러다임 전환 - / 어호용 2018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