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59381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General hospital medical professionals’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 저자[authors] 노정화

  • 발행사항 부산 :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54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최순옥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주제어 : 의료종사자,의료기관인증제 인식,표준주의,인지도,수행도

  • 소장기관[Holding] 부산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221037)

  • UCI식별코드 I804:21037-200000176263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General hospital medical professionals’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Noh Jung-Wha
Department of Adult Nursing 
Gr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Advisor : Professor Choi, Soon-Ock Ph.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of medical professionals in general hospitals and their relationship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For data collection, we obtained an approval from the C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and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medical professionals in on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B City between November 29, 2018 and December 4, 2018. 222 questionnaires that were returned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we used a tool developed by Han and Kim (2008), Bae (2009), and Lee and colleagues (2010)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Choi (2011). To measur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e used a tool developed by Askarian and colleagues (2004), adapted by Kim (2008),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Oh (2018). For data analysis, SPSS/WIN 20.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ies and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our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mean level of the subjects'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was 3.26±0.57 out of a maximum score of 5. Subareas were in the order of awareness (3.50±0.68), perception of effete of quality increase (3.30±0.65), management progress (3.25±0.58), and team satisfaction (2.98±074).
2. The mean level of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was 4.69±0.38 out of a maximum score of 5. Subareas were in the order of respiratory etiquette (4.74±0.42), safety equipment (4.70±0.41), washing hands (4.69±0.39), linen and environment (4.65±0.54), and sharp tools (4.64±0.53).
3. The mean level of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as 4.42±0.43 out of a maximum score of 5. Subareas were in the order of respiratory etiquette (4.60±0.50), linen and environment (4.46±0.63), washing hands (4.43±0.48), sharp tools (4.39±0.61), and safety equipment (4.31±0.59).
4. By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the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F=2.90, p=.036), marital status (t=-2.35, p=.019), and education level (F=3.39, p=.036). Subjects who were married and were attending or have graduated from college had higher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t=-2.30, p=.022), marital status (t=-2.93, p=.004), occupational category (t=4.17, p=.017), and number of infection control training (t=5.57, p=.004). Subjects who were female and married scored higher, nurses scored higher than doctors, and 3-4 times of infection control training showed higher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t=2.72, p=.046), marital status (t=-2.57, p=.011), and number of infection control training (t=3.28, p=.040)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For age, subjects who were in their 50s or older or were married had high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5.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found that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and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72, p=<.001). 
Combining the results,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hospital medical professionals’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t is thought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fection control training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medical professionals. 
Key words : medical professionals,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standard precautions, awareness, performance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간호학과 성인간호 전공 노 정 화
지도교수 최 순 옥 
본 연구는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과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 정도와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감염관리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C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에 승인을 받은 후 B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의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2018년 11월 29일부터 2018년 12월 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222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측정도구는 한우석, 김재열(2008), 배정임(2009), 이상완 등(2010)이 개발한 도구를 최연순(2011)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측정도구는 Askarian 등(2004)의 도구를 김양수(2008)가 번안하고 오지은(2018)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3.26±0.57점이었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인지도 3.50±0.68점, 질 향상 효과 인식 3.30±0.65점, 운영성과 3.25±0.58점, 내부구성원만족 2.98±074점 순이었다.
2. 표준주의 인지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69±0.38점이었다. 하위 영역별 점수를 살펴보면 호흡기 에티켓 4.74±0.42점, 보호장구 4.70±0.41점, 손씻기 4.69±0.39점, 린넨 및 환경 4.65±0.54점, 날카로운 도구 4.64±0.53점 순이었다.
3. 표준주의 수행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42±0.43점이었다. 하위 영역별 점수를 살펴보면 호흡기 에티켓 4.60±0.50점, 린넨 및 환경 4.46±0.63점, 손씻기 4.43±0.48점, 날카로운 도구 4.39±0.61점, 보호장구 4.31±0.59점 순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관인증제 인식은 연령(F=2.90, p=.036), 결혼유무(t=-2.35, p=.019), 학력(F=3.39, p=.03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기혼인 경우와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인 경우 의료기관인증제 인식이 높았다. 표준주의 인지도는 성별(t=-2.30, p=.022), 결혼상태(t=-2.93, p=.004), 직종(t=4.17, p=.017), 감염관리 교육 횟수(t=5.57, p=.00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자와 기혼인 경우가 높았고 직종은 간호사가 의사보다 높았고, 감염관리 교육 횟수는 3∼4회가 표준주의 인지도가 높았다. 표준주의 수행도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t=2.72, p=.046), 결혼상태(t=-2.57, p=.011), 감염관리 교육 횟수(t=3.28, p=.04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은 50대 이상 높았고, 기혼인 경우 표준주의 수행도가 높았다. 
5. 대상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과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표준주의 인지도와 표준주의 수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72,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의료종사자의 표준주의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염관리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의료종사자,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수행도

목차[Table of content]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정의 4
    • Ⅱ. 문헌고찰 6
    • 1.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6
    • 2.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10
    • Ⅲ. 연구방법 13
    • 1. 연구설계 13
    • 2. 연구대상 13
    • 3.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13
    • 4. 연구도구 14
    • 5. 자료분석 15
    • 6. 윤리적 고려 16
    • 7 연구의 제한점 16
    • Ⅳ. 연구결과 17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 2. 대상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19
    • 3. 대상자의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21
    •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의 차이 24
    • 5. 대상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의 상관관계 28
    • Ⅴ. 논의 29
    • Ⅵ. 결론 및 제언 34
    • 1. 결론 34
    • 2. 제언 37
    • 참고문헌 38
    • 부록
    • 1. 설문지 45
    • 2. 심의결과통보서 50
    • 3. Abstract 5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94
4528 10 성/젠더 동성애에 대한 생리의학적 연구동향 분석과 기독교 교육적 고찰 / 임준섭 2019  204
4527 24 기타 PubMed를 중심으로 비교한 국내 의학데이터베이스의 실태조사 및 분석 연구 / 김현지, 남서진 2018  125
4526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21
4525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85
4524 7 의료사회학 임상실습교육 강화의 필요성 연구 / 황보민, 박종현 2018  89
452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좋은 죽음의 문제 / 김미혜 2019  6889
4522 20 죽음과 죽어감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에서 자살행동 관련 요인 / 김하늬 2019  189
4521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소고 / 김혁돈, 이재호 2019  483
452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안승우 2019  119
451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대한 고찰 / 류기환 2019  187
451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임종기치료 선호도 영향요인 – 죽음준비도, 죽음불안을 중심으로 / 김애리 2019  154
4517 12 낙태 영화감상교육 강좌를 위한 영화 활용법 연구 - 안네 초라 베라체트의 영화 <24주>를 중심으로 - / 조수진 2019  142
4516 12 낙태 치료적 낙태와 태아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고찰 / 장동익 2019  234
4515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김외숙 2019  278
451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과 보험회사 종사자의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및 실천도 분석 / 이효연 2019  86
» 9 보건의료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 노정화 2019  181
4512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표시 및 관리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박선정 2019  273
4511 1 윤리학 캐나다의 출생 관련 법제와 그 운영에관한 소고 / 최성경 2019  101
451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표시에 대한 고찰 / 정진명 2019  72
4509 9 보건의료 바이오 기술을 통한 의약품 산업의 혁신 : 단클론항체 의약품을 중심으로 / 노현지 2019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