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 윤리와 정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69472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Comparative Debate on the Criteria of brain death and civil legal effect

  • 저자[authors] 김기영(Ki-Young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 윤리와 정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No.1[2019]
  • 발행처[publisher] 국가생명윤리정책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4-5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사망,뇌사,불가역적 뇌기능상실,민법,입법,death,brain death,irreversible brain malfunction,civil law,legislation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에서는 뇌사의 기준과 뇌사 개념의 논쟁에 대한 최근 동향과 새로운 법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 법적으로 인간의 사망은 치료의 종결을 의미하고 가능한 한 장기구득의 대상이 될 수도 있으며, 뇌사의 진단이 결정되면 보통은 인공적인 호흡도 대부분 종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뇌사는 모든 인지능력을 완전히 잃었을 뿐 만 아니라 신체의 중앙제어 단위가 상실된 것을 기록된다. 이에 대해 독일윤리위원회(Deutschen Ethikrat)의 대다수 위원들은 “유기체의 단위는 깨졌으며 이러한 상태에 있는 신체는 더 이상 살아있는 사람으로 말할 수 없다”고 한다. 뇌사 판정을 위한 기록과 판단기준에 대한 일부 불명확성이나 흠결이 있다면 뇌사판정에 대한 명확성과 신뢰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뇌사 개념의 논쟁을 둘러싼 비교법적인 검토와 사망 확정에 대한 원칙과 아울러 장기 또는 조직 기증의 문제와 관계없이 추가적 치료 결정을 위한 집중 치료를 위한 필수불가결한 예후 평가의 수단으로 인정하는 뇌사 개념을 강화할 목적으로 뇌사확정에 대한 기준 강화와 질적 관리를 위해 최근 2015년 개정된 독일 연방의사회(BÄK)의 지침의 내용과 의미를 살펴보고(Ⅱ), 법적인 측면에서 뇌사의 민법상 효과도 살펴보고 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Ⅲ). 마지막으로 이러한 독일의 뇌사확정에 대한 지침개정의 의의와 뇌사기준의 강화에 대한 평가와 새로운 문제들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Ⅳ).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recent trends in the debate on the concept of brain death and new legal issues. Legally, human death means termination of treatment, possibly as long as possible for organ acquisition. When the diagnosis of brain death is determined, most of the artificial respiration is usually terminated. Brain death is not only a loss of all cognitive abilities but also a loss of the central control unit of the body. The majority of the members of the Deutschen Ethikrat said that the unit of the organism was broken and that the body in this state can no longer be said to be a living person. If there are some uncertainties or deficiencies in the records and judgment criteria for the brain death, it may arise the question of clarity and reliability of the brain death judgment.    In this respect, we review the comparative review of the debate over the concept of brain death and review the principles of death confirmation, and recognize it as an indispensable means of assessing prognosis for intensive care for additional treatment decisions, regardless of organ or tissue donation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BÄK guideline of the German federal government, which was recently revised in 2015 to strengthen the standards of brain death confirma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brain death(Ⅱ).    In the legal aspect, it is also examined the effect of the civil law on the brain death and and how it affects them(Ⅲ). Finally, Finally, the conclusion suggests the significance of the amendment of the guideline on the determination of brain death in Germany, the evaluation of the strengthening of brain death standards, and the prospect of new problems(Ⅳ).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Ⅰ. 서론  Ⅱ. 뇌사 개념의 논쟁 : 비교법적 검토  Ⅲ. 사망의 시점관련 전망과 효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506
4588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용의료기기 시장 동향 및 향후 전망 / 강경묵 외 2019  617
4587 9 보건의료 불법의료기관 근절 대책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 연구 / 안덕선 외 2018  65
4586 9 보건의료 감염방지의무위반에 따른 민사상의 책임과 한계 : 독일의 판례와 증명책임완화규정을 중심으로 / 김기영 2018  80
4585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정당한 사유에 의한 의료계약 해지권 검토 : 환자의 진료협력의무 위반을 중점으로/ 민국현 2018  139
4584 9 보건의료 의료관련감염에서 감시 개선을 위한 평가 / 박창은 2019  70
458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 이경남, 이현주 2018  272
458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2019  169
4581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김선영 2018  103
4580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 김태경 2019  1276
4579 20 죽음과 죽어감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문현공 2018  106
4578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 강선보, 이동윤 2019  179
»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김기영 2019  74
4576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의 법적 측면 / 주호노 2019  146
457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역사 / 김창곤 2019  353
4574 20 죽음과 죽어감 재발성 혹은 전이성 암 환자에서 의사에 의해 제안된 연명의료계획서(POLST)의 작성률과 환자들의 연명의료에 관한 전반적 태도 연구 2019  160
4573 10 성/젠더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증여와 젠더 수행성 연구 : 강신재와 박경리를 중심으로/ 강지희 2019  189
4572 22 동물복지 가축 전염병으로 인한 가축 살처분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박종무 2019  230
4571 9 보건의료 기업의 CSR 활동이 조직원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 조두현 2019  116
4570 4 보건의료 철학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대응 양상 : Q 방법론 적용 / 최진규 2019  136
4569 9 보건의료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에 따른 외상 후 성장 / 김미영 2019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