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90684 
 AI시대의 정신과학적 통합심신치유 
= BMS Scientific Intefrative Body-Mind Therapeutic Healing at the AI Age

  • 저자[authors] 조효남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19No.4[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정신과학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3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국문 초록[abstracts] 
오늘날 4차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하면서 모든 과학기술이 AI중심의 융복합과학기술, 유전자조작생명과학·생명의학, 나노바이오로봇, VR·AR가상현실,양자과학·양자의학 진단·치료기술 등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심리치료·심신치유뿐 아니라 인문사회학·문화예술을 포함한 모든 분야가 초고도 융복합과학기술로 인해 통합·통섭·융합하는 대통합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그래서 통합이란 말은 어느 분야에서나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온전하고 진정한 의미의 통합·통섭이나 통전적 통합정신은 어느 분야에서도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심리치료,심신치유 쪽으로 오면, 진정한 통합·통섭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전통서양의학, 상담심리치료가 지배해 온 시대가 끝나고, 이제 오늘날과 같은 인문사회과학과 심리과학이 첨단과학기술과 고도로 융복합화되고 통합·통섭되면서 의학·심리치료·심신치유의 모든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앞으로 곧 환원주의적 뇌·인지과학이 지식생태계를 지배하는 시대가 끝나고 통합양자론·양자과학이 주도하는 심층과학으로 자리를 내주게 되면서 곧 양자뇌과학,양자인지과학,양자정신신경면역학(QPNI),양자통합생리학의 시대가 도래하게 될 것이다. 지금도 유물론자나 환원주의자가 아닌 전일적,몸맘얼 삼원일체적 뇌인지과학,인지심리학,통합적발달심리학,자아초월심리학을 온전하게 인식하는 전문가나 학자들은 진정한 심신통합의학, 통합심신치유학의 시대가 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 그래서 이제는 몸과 마음을 따로 상담·치료하지않는 시대가 되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말하자면, 지금까지의 서양 전통 상담심리치료와는 달리 전통 자연의학·보완대체의학적 심신치유에서와 같이 이 두 분야를 따로 생각하지 않고 하나로 보아야 하고, 전통적 상담심리치료를 심신치유의 일부로 포함하지만, 단계적, 통합적으로 치료치유하는 통합상담심신치유의 시대가 이미 왔음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오늘날은 그 어느 시대보다도 위험사회,과로·피로사회,계층고착·갈등사회로 인해, 혼의 위축과 비정상화,물질·행위중독,분노·화 조절장애,이념·사고중독,반사회적 개인·집단 폭력·광기 등의 다양한 정신·심신장애 증후군으로 인해 극심한 스트레스와 심신의 다양한 병리장애로 고통을 받고 있는 현대인이 많다. 특히 우리 한국인의 경우 이러한 심신의 병리장애가 복합적이고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심신치유는 동양의 전통 전일의학과 현대 서양의 자연의학,뇌인지과학,발달심리과학,통합심리학,정신동역학,의식역학,신의학(에너지의학,양자파동의학)을 상보적으로 통전,통합하는 심신치유가 되어야한다.    이 강연에서는 먼저 모든 분야,모든 계통의 치유자들이 우선 동서고금의 철학·심리학·과학의 제반 인간학,의식심리학,심신치유를 관통하는 삼원일체적 몸맘영BMS의 공통수준(몸·기·정情·맘·얼·영)의 홀론 홀라키적 원리의 이해를 바탕으로 전통지혜와 현대의 제반 정신역동·발달심리학,나선밈동역학,뇌인지과학·뇌의학,심신통합의학,신과학·신의학,양자과학·양자의식역학,정신과학을 관통하는 통섭적 통합심신치유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오늘날 인간학,뇌인지과학,정신신경먼역학,통합생리학,심리학,심리치료,심신치유 분야의 수많은 학자,과학자,전문가들에게 인간의 몸과 마음에 대한 온전한 이해가 결여되어 생기는 그들의 제반 편향된 인식,관념,사고에서 나온 거칠거나 미묘한 이원론이나 일원론적 환원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를 위해, 몸과 마음에 대한 심층홀라키적 원리의 이해와 동서양의 전통지혜의 온전한 이해, 몸과 마음의 온생명과학적 다양한 의식철학적,의식심리학적,생명과학적 이해와 통합인간과학적 이해,의식역학·정신과학적이해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현대 통합심신치유이론에서는 우선 동서양의 몸과 마음 그리고 그 치유·수련에 대한 통전적·상보적 이해를 바탕으로 진정한 통전적 통합심신치유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그런 후에, 현대 신과학·신의학적 심신치유의 원리에 대해 개관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모든 통합심신치유이론과 모든 심신통합의학적 심신치유, 신의학적 심신치유를 통전적 통합으로 포괄하는 통합양자심신치유이론과 통합심신치유학의 실제모형으로서의 모듈형 유위무위 통합심신치유 프로그램모델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이 시대와 앞으로 올 AI 시대의 심신치료치유전문가들을 위해 AI시대의 시대적,사회적 특성과 심신치유의 방향과 위상, 그리고 AI시대의 통합심신치유학의 비전에 대해 언급하였다.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1. 현대 통합 심신치유  2. 현대 심층과학적 심신치유  3. 통합치유를 위한 몸맘얼영의 심층과학적 이해  4. 통합양자 심신치유  5. 유위무위 통합심신치유  6. AI시대의 통합심신치유 비전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95
4668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90
4667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적 정당성과 미국 각 주의 원격의료제도의헌법적 근거에 관한 연구 / 최용전 2019  1513
4666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법의 시행을 둘러싼 제 문제 / 김민우 2019  1402
4665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2019  1135
4664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홍광, 이미숙 2019  1214
466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치료의 결정 / 박소연 2018  1207
4662 15 유전학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 장인호 2019  1052
4661 17 신경과학 청소년 폭력과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고찰 / 권해수, 윤일홍 2019  1070
»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정신과학적 통합심신치유/ 조효남 2019  1193
4659 15 유전학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김용성, 정진수 2019  998
4658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2019  1125
4657 17 신경과학 신경과학에 대한 도덕교육적 검토 -도덕적 행위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슬비 2019  886
465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 이성수, 최혜란 2019  905
465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2019  719
4654 8 환자 의사 관계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행위에 관한 영향요인 / 문명자, 이선혜 2019  530
4653 9 보건의료 블록체인 의료의 법적 문제 / 손경한, 박도윤 2019  787
465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 교육에서 팀 의사소통과 전문직 간 협업 / 박귀화, 박경혜 2019  620
4651 5 과학 기술 사회 선택에 관여하는 인공지능이 사용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하대권 2019  579
4650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차이 연구 / 안세은 2019  595
4649 1 윤리학 정보 투명성과 고객 결정권이 개인정보제공동의수준을 높여 주는가? / 박해령 2019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