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硏究 第54輯, 2014.6, 309-325 (17 pages)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458192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A Limitation by Social Law on the Protection of maternity in a Gender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법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458192
  •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며
    Ⅱ. 모성보호에 관한 새로운 한계 설정의 필요성
    Ⅲ. 여성근로자 건강권의 의의 및 권리범위
    Ⅳ. 모성보호의 내용구성 및 한계
    Ⅴ.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여성근로자에 대한 건강보장은 국민으로서의 인간다운 생활권에 기인한 보편적 건강보장권 및 근로권의 측면에서 출발하여 남성근로자에 대별하는 국가의 여성근로에 대한 특별보호의무를 그 헌법적 근거로 하여 권리내용이 구체화 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장기화 되고 있는 경기불황과 일자리부족 등의 노동문제를 비롯하여 이와 더불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은 과거 산업부흥기로 대별되던 시기에 이루어져 온 사회법영역에 있어서의 여성근로자 보호 차원에서의 건강보장을 구성하는 단순 법리로 이에 대응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즉, 과거 사회법영역에서 규정되던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이 남성에 대한 여성 보호의 필요성에 기인하여 그 보호법리가 구성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법의 내용을 규정하는데 치중하였다면, 현재는 노동현실의 변화에 따라 성인지적 관점에서 모성 보호의 구체적 한계를 설정하는데 그 역량이 발휘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은 근로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여성근로자 개인의 건강보장의 의의 뿐만 아니라 모성기능의 발현을 통하여 건전하고 지속적인 세대유지를 도모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의의를 동시에 가지므로 여성근로자에 대한 특별 보호는 곧 모성보호로 귀결되는데, 이러한 특별 보호는 그 구체적 권리내용의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모성유지 및 모성발현에 대한 보호의 내용을 개별 보호영역의 세분화에 따라 구체적으로 규정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호의 필요성에 근거한 입법은 자칫 보호의 과잉으로 이어져 역차별의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는 여성근로자의 건강 보장을 위한 최대범위 설정의 기준이 근로관계에 있어서의 남녀평등대우의 원칙의 예외로서의 최소허용범위 기준과 대체로 일치되는 수준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즉, 모성보장권의 구체적 권리내용의 규정 시, i) 모성유지 및 모성발현 보호를 위한 건강보장수준이 어느 정도를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설정이 어렵다는 점, ii)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을 위한 조치가 곧 모성보호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객관적 증명이 어렵다는 점, iii) 여성근로자의 건강한 상태를 유지·보호하기 위한 근로조건의 수준이 여성근로자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 등의 입법과제를 인지하고 각각의 문제에 대한 해결에 관하여 여성 보호 필요성의 관점이 아닌 성인지적 한계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94
    4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전혜정 2011  568
    47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400
    46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대리모에서의 모성 결정에 관한 고찰 / 이인영 2011  853
    4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논란에 대한 법리적 이해 / 김향미 2012  543
    4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2012  587
    43 14 재생산 기술 중국에서의 대리모 법적 제문제에 관한 소고 / 이화 2011  235
    42 14 재생산 기술 일반논문 : 대리출산의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3  603
    4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2013  601
    4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2013  299
    3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2008  363
    38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95
    37 14 재생산 기술 학술대회 발표논문 :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 이영규 2010  535
    36 14 재생산 기술 대리임신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백승흠 2007  818
    35 2 생명윤리 생명정치의 사회과학, 어떻게 할 것인가? /김환석 2013  379
    » 10 성/젠더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 손미정 2014  550
    3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2013  453
    3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법제화의 방향 / 주호노 2013  613
    3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돌봄 / 엄영란 2014  535
    30 9 보건의료 연구논문 : 병원의료윤리위원회를 둘러싼 법적문제에 대한 연구 / 이재경 2014  834
    29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