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년 : | 2013 |
---|---|
구분 : | 학위논문 |
학술지명 :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석사) |
관련링크 : | http://www.riss.kr/link?id=T13252699 |
생명윤리 실험연구의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일반주기 :
지도교수: 여성희
참고문헌: p. 65-72
생명공학이 발전함에 따라 불치병을 치료하고, 시험관을 통해 아기를 갖는 등 과거에는 할 수
없었던 일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인간 존엄성 훼손이나 생태계 파괴 등의 위험이 생기게 되었다. 과학 지식이 이러한 윤리 문제를 야기함에 따라
과학의 윤리적 특성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명윤리 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메타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생명윤리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생명윤리를 다룬
선행논문을 연도별, 교과별, 내용별 연구동향으로 분석하였다. 생명윤리 교육연구들을 메타분석하기 위해서 수집된 논문들의 교육목표를 작성하고, 그에
따른 교육목표를 선정하였다. 코딩도구에 따라 각 영역과 하위영역을 분석하고, 학교급과 수업차시에 따른 매개변인 분석을 하였다. 메타분석은
CMA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윤리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2000년대부터 생명과 관련된 문제의
의사결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진정한 의미의 생명윤리 교육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생명윤리 교육은 범교과적인 접근을 해왔다. 하지만
교과끼리의 생명윤리 내용의 수평적인 연계가 맞지 않아서 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과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생명윤리교육이 수평적 연계에
따라 교육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수정이 필요하다. 생명윤리의 내용적인 측면으로는 생명의료와 생명공학에 관한 연구내용이 많았다. 이는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는 생명윤리가 인간중심 생명윤리이며, 학생들이 앞으로 사회에서 직면할 수 있는 문제 상황과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둘째, 생명윤리연구의 인지적 영역을 메타분석 한 결과 생명윤리 교육의 효과가 0.423로 나타났다. 이는 생명윤리 수업을 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18% 정도 효과적이다. 학교급에 따른 효과를 보면 고등학교에서 효과가 가장 큰데, 생명윤리 내용이 초ㆍ중학생에게서는
다소 어려웠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초ㆍ중학생에게 알맞은 생명윤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인지적 영역의 하위영역인 지식에서는 차시가
증가할수록 효과가 커졌다. 장기적인 생명윤리 수업이 학생들의 지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이에 따른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생명윤리연구의 정의적 영역을 메타분석 한 결과 생명윤리 교육의 효과가 0.475로 나타났다. 이는 생명윤리 수업을 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19% 정도 효과적이다. 생명윤리 교육은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인 중에 가치를 내면화시키는 인격화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인
중 가치화는 가치에 대해 판단을 하는 고등사고에 속하기 때문에 고등학생에게서 가장 효과가 컸다. 인격화는 나이가 어릴수록 효과가 컸는데,
학교현장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가치관의 형성보다는 생물 교과가 지식의 전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위영역인 인격화는 수업
처치 기간이 길어질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가졌다. 장기적인 학습경험을 통해서 학생들의 가치판단능력이나 가치관이 발달한다.
넷째, 생명윤리의
심체적 영역을 메타분석 한 결과 생명윤리 교육의 효과가 0.509로 나타났다. 이는 생명윤리 수업을 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20% 정도
효과적이었다. 학교급에 따른 생명윤리 수업은 고등학생(28%)과 초등학생(19%)에게 효과적이었다. 처치기간에 따른 생명윤리 수업의 효과는
유의미한 통계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해보면, 생명윤리 교육이 학년에 맞게 적절히 교육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서 생명윤리 교육의 수평적 연계성이 맞아야 한다. 또한, 생명공학의 연구윤리에 대한 프로그램이 개발돼야 하며, 중학생 수준에
맞는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연구의 제한점 4
II. 이론적 배경 5
A. 생명윤리 5
1. 생명의 의미 5
2. 생명윤리학의 정의 7
3. 생명윤리의 범위 8
4. 생명윤리 교육의 필요성 13
B. 교육목표 17
1. 일반적 교육목표 17
2. 과학교육의 교육목표 19
C. 메타분석 23
1. 메타분석의 개념 23
2. 메타분석의 특성 23
3. 효과크기(effect size)의 의미 26
4. 효과크기의 통합 28
D. 선행연구의 고찰 31
1. 생명윤리 교육에 관한 연구 31
2. 메타분석에 관한 과학교육 연구 33
III. 연구방법 및 절차 34
A. 연구의 대상 34
1. 연구동향의 대상 34
2. 메타분석의 대상 35
B. 연구방법 36
1. 생명윤리 연구동향의 연구방법 36
2. 메타분석의 연구방법 36
C. 분석의 기준선정 37
1. 연구동향의 생명윤리 범주별 기준선정 37
2. 메타분석의 교육효과 목표 선정 39
D. 조사 도구의 개발 41
1. 조사 도구의 개발 41
E. 자료의 분석 41
1. 자료의 코딩 41
2. 효과크기 산출 42
3. 통계의 처리 42
IV. 연구결과 및 논의 43
A. 생명윤리의 연구동향 43
1. 연도별 생명윤리 교육의 목표 43
2. 교과별 생명윤리 교육 동향 46
3. 생명윤리 내용별 연구동향 49
B. 생명윤리의 메타분석 51
1. 인지적 영역의 메타분석 51
2. 정의적 영역의 메타분석 55
3. 심체적 영역의 메타분석 59
V. 결론 및 제언 62
참고문헌 65
부록 73
ABSTRACT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