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년 : | 2003 |
---|---|
구분 : | 학위논문 |
학술지명 : | 공주대학교 대학원: 윤리학과 윤리교육 전공 (석사) |
관련링크 : | http://www.riss.kr/link?id=T9960221 |
도덕 교과에서의 생명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Life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60-63
초록 (Abstract)
21 세기의 생명공학, 의료기술 등의 과학적 발전이 인간 생활에 풍요와 편리라는 많은 혜택을 가져다 준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면에 인간의
존엄성과 생태 환경의 파괴를 통하여 심각한 생명의 위기를 초래하였다.
생명의 가치는 효용가치 또는 쾌락 가치와는 다른 의미를 담고 있어서,
우리에게 생명을 존중할 것을 요구하며, 살아있는 것은 모두 그 자체로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앞서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인간 사유 체계의 전환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는데 이것이 곧 생명
교육이며, 그 접근 방안을 도덕 교과 교육에 적용하여 모색해 보았다.
지금까지 전개된 본 논문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 개념의 확대라는 사고의 전환이 요청된다. 전통적으로 인간만을 생명의 대상으로 바라보던 인간중심적 입장에서 벗어나, 인간 외의 생명체들도
생명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인정하는 자연 중심적 입장으로서의 인식의 전환이 우선적으로 요청된다. 즉, 생명 개념의 확대를 의미하는 것이다. 생명의
가치를 인간만을 대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 생명체로 확대함을 통하여 자연의 도구적 가치가 아닌 비도구적 가치, 본래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둘째, 생명 윤리 교육이 강화되어 좀더 체계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생명교육의 성격상 그 내용은 단순한 일개 영역의 교과를 넘어서
통합 교과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생명의 존엄성을 회복하고,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윤리를 회복하기 위해서 생명의 존엄성과 인간 생명의 개념을
자연에까지 확대하는 사고를 바탕으로 생명의 개념, 본질 및 가치와 생명의 위기 현상 및 원인 등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교과별 지도 요목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생명 윤리 교육의 방향은 인간중심적 전체론과 생명공존에 대한 보편적 배려, 자연 감상의
심미적 태도를 견지해야 한다. 산업화는 인간을 기계로 취급함으로써 본래의 나를 잃어 가는 생명 경시 풍조를 조장하였다. 이에 인간 자체의 존엄성
회복을 바탕으로 자연 생명체에 대한 존중감으로 확대함을 통하여 생명의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하며, 또한 인간이 독단적 주체자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 생명체에 대한 보편적 배려를 통한 공존적 태도가 필요하다. 자연 속 인간은 더불어 감상할 수 있는 심미적 태도를 통하여 생명 존중의
가치관을 함양해야 한다.
넷째, 생명교육에서 인성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그동안 교육은 인간 자체에 대한 연구를 간과해왔다. 이제 생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인간의 참된 자아를 바탕으로 한 인성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부분은 인간의 개념이나 본질 및 생명의 개념이나 본질
등에 대한 물음이 제기되어야 하기 때문에 철학적 성격을 지니게 된다. 생명의 문제는 과학의 영역이 관계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과학의 문제보다는
철학의 문제가 된다. 따라서 철학적 접근이 강조되는 도덕·윤리교과 교육과정에서 강조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연구의 결론을 몇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생명교육의 체계적 구성과 통합교과적 요소의 체계화 부분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차후에 다음과 같은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전망된다.
첫째, 생명교육의 지도 요소 통합과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요망된다. 생명교육의 접근 방안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주제
통합이나 교과 통합이 선행될 때, 그 효과가 크다고 본다. 교과 통합의 경우보다 더욱 접근하기 쉬운 방법은 주제 통합의 경우로 생명과 관련된
주제들을 중심으로 각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둘째, 생명교육의 단원개발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기본 및 하위 요소들은 기본 틀만을 제공했기 때문에 광범위하다. 따라서 교과 교육과정 속에서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그 지도 요소를 투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