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년 : | 2007 |
---|---|
구분 : | 학위논문 |
학술지명 : |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호스피스간호 전공 (석사) |
관련링크 : | http://www.riss.kr/link?id=T11033343 |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 Ethical Dilemmas of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일반주기 :
국문요약 : p. i-ii.
Abstract : p. 77-79.
부록 : 설문지
지도교수 :
김분한
참고문헌: p. 66-72.
초록 (Abstract)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환경,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사태, 직면한 환자상태의 불안정 및 위기 상황에서 요구되는 의사결정과 같은
스트레스 원에 계속 노출됨으로써 좌절감과 딜레마를 경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상황 속에서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하면서도 해결책이
없는 간호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직면했을 때
올바른 윤리적 가치관 확립과 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는 무엇입니까?’ 이다.
자료 수집은 2007년 4월 18일에서 5월11일까지였으며, 본 연구의 참여자는 15 병상이상의 중환자실에서
1년 이상 근무하는 간호사로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서면 동의한 1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분석방법을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에서 수집된 원자료로부터 도출한 의미 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은 총 142개였고, 이를 통한 의미 구성(formulating meanings)은 96개였다. 이를 토대로
원자료(Protocols)와의 관련성을 재확인하면서 39개의 주제(themes)를 정하였고, 주제 가운데 통합할 수 있는 것 끼리 모아 13개의
주제모음(them cluster)과 4개의 범주(categories)로 구성하였다.
분석한 결과 구조적 딜레마, 가족으로 인한 갈등,
상황적 딜레마, 삶과 죽음의 딜레마로 4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구조적 딜레마’ 범주는 <의료진과의 갈등을 느낌>,
<간호사의 모호한 역할 에 갈등을 느낌>, <책임소재에 대해 갈등을 느낌> 3 가지 주제모음을 포함한다.
‘가족으로
인한 갈등‘ 범주는 <가족과의 관계성에서 갈등함>, <가족은 중환자실에서의 연명치료에 부담을 느낌>, <가족은
사전의사결정을 하기 어려워 함>, <가족의 입장을 고려함>의 4 가지 주제모음을 포함한다.
‘상황적 딜레마’ 범주는
<간호 업무에 어려움을 느낌>, <가족의 사전의사결정시 보조 역할을 함>, <중환자실 상황에서 갈등을 느낌>의
3가지 주제모음을 포함한다.
‘삶과 죽음의 딜레마’ 범주는 <의미 없는 연명치료에 양가감정을 느낌>, <자신의 죽음을
준비함>, <최선의 노력을 다하려 함>, <생명 자체가 중요함>의 4가지 주제모음을 포함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의 현상을 이해하고 이 현상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신체적, 대처반응을 확인함으로써 앞으로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현상에서 윤리적 가치관 확립과 윤리적 딜레마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윤리적 딜레마 현상에서 명확한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고 윤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간호윤리 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병원 내 간호사 상담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윤리적 의사결정 시 체계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중환자실 특성에 맞는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이 개발되어야 하고, 병원 윤리위원회의 간호 영역에서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연구문제 = 4
4. 용어정의 = 4
Ⅱ. 문헌고찰 = 5
1. 윤리적 딜레마 = 5
2. 간호전문직과 윤리적 딜레마 = 10
Ⅲ. 연구 방법 = 17
1. 연구 설계 = 17
2. 연구 대상 = 17
3. 연구 질문 = 17
4. 자료수집 방법 = 18
5.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사항 = 19
6. 연구자의 준비 = 19
7. 자료분석 방법 = 20
Ⅳ. 연구 결과 = 22
1.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 22
2. 분석 결과 = 23
3. 통합된 구조적 진술 = 46
Ⅴ. 논의 = 51
Ⅵ.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66
ABSTRACT = 77